목차
1.서론
2.사회복지현장에서 양적조사의 중요성
3.사회복지현장에서 양적 조사가 필요한 상황
4.양적 조사를 할 때 유의사항
5.결론
6.참고자료
2.사회복지현장에서 양적조사의 중요성
3.사회복지현장에서 양적 조사가 필요한 상황
4.양적 조사를 할 때 유의사항
5.결론
6.참고자료
본문내용
한다.
응답자가 일고 답하는 형식의 설문에서는 일반적으로 설문의 중요주제를 먼저 묻고 일반배경변수는 나중에 질문하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응답자가 질문할 때에는 레포형성에 도움이 되는 인구사회학적인 배경질문을 먼저하고 민감한 부분은 뒤로 하는 것이 좋다.
일곱째, 예비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질문에 부적적하지 않는지, 이해하기 곤란한 부분이 있지 않은지, 응답하기에 혼동스러운 부분이 있지 않은지 질문을 마치는데 얼마의 시간이 소요 되는지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예비검사는 당연히 시행되어져야 한다.
여덟째, 질문문항은 명확해야 한다.
질문문항의 명확성은 주어진 질문이 모든 응답자에게 동일하게 인식된다는 것이다. 어떤 용어는 그 자체가 애매모호한 것이 있고 일정 수준 이상의 교육을 필한 사람만이 이해할 수 있는 것도 있고, 특정집단에만 알려진 사투리나 특수한 언어도 있으며 다른 집단에는 다른 의미를 가지는 것도 있다. 그러므로 사용하는 용어나 언어가 분명해야 한다.아홉째, 질문의 응답범주가 포괄적이어야 한다.
어떤 응답자든 질문에 응답할 수 있도록 응답보기는 포괄적이어야 한다. (ex: "귀하의 학력은"이라는 질문보기가 ① 초등학교졸업 ② 중학교졸업 ③고등학교졸업 ④대학교졸업이라면 무학이나 대학원 졸업한 사람은 질문에 답할 수가 없다. )
5. 결론
1960년대까지만 해도 과학모델의 주류는 경험주의 또는 계량적 연구방법이었다. 이 방법의 원칙은 과학은 이론을 지지하는 관찰의 집합체로 구성되며, 이 관찰은 객관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객관적이라는 것은 가능한 연구자의 가치나 편향이 개입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계량적 방법과 원칙들은 도전을 받게 되었는데, 특히 과학의 역사를 연구하는 학자와 새로운 과학을 개척하는 사람 그리고 과학 분야에서 전통적으로 소외되었던 사람(주로 여성, 소수민족 등)들이 기존의 계량적 방법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사람들이 제기한 기존의 주류 과학적 방법에 대한 의문은 새로운 과학적 연구방법을 등장시키게 하였으며, 이 주류에 대한 대안은 결국 해석주의 또는 질적 연구방법으로 명명되었다.
사회복지계 내부에서 과학적 접근방법 중 어떤 접근방법이 사회복지에서 더 좋은가는 많은 논란이 있어 왔으나 지금은 경험주의와 해석주의 모두 사회복지의 지식과 이론을 산출하는 데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사회복지실천에 있어 다양한 모델이 있고, 각 모델마다 장·단점이 있는 것처럼 각 연구방법에도 각기 장·단점이 있다. 따라서 문제는 언제, 어떤 방법을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으로 귀결된다. 어떤 문제는 경험주의적(양적) 접근방법에 더 적합하고, 또 어떤 문제는 해석주의적(질적) 접근방법이 더 적합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조사연구방법은 사회복지실천과 마찬가지로 어떤 한 가지 접근방법이 항상 옳거나 더 나은 방법이라고 말할 수 없고, 연구 목적과 연구 질문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할 수 있다.
6. 참고 자료
신호철(2015), 질적연구와 양적연구, 가정의학회지제26권 : J Korean Acad Fam Med
김기원, "사회복지조사론", 나눔의 집, 2009
장택원(2015) : 세상에서 가장 쉬운 사회조사 방법론, 커뮤니케이션북스
이현철, 김영천 외 1명 저, 통합연구방법론 (질적연구 + 양적연구), 아카데미프레스, 2013.
SPSS를 활용한 사회과학조사방법론, 안광호, 임병훈 공저 (학현사 , 2012)
서미경외 공저(2010), 「사회복지실천윤리」, 서울 : 양서원
『사회과학 연구방법론』이군희 (광암출판사 , 2014)
김영종. "사회복지조사방법론". 서울:학지사. 2010.
응답자가 일고 답하는 형식의 설문에서는 일반적으로 설문의 중요주제를 먼저 묻고 일반배경변수는 나중에 질문하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응답자가 질문할 때에는 레포형성에 도움이 되는 인구사회학적인 배경질문을 먼저하고 민감한 부분은 뒤로 하는 것이 좋다.
일곱째, 예비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질문에 부적적하지 않는지, 이해하기 곤란한 부분이 있지 않은지, 응답하기에 혼동스러운 부분이 있지 않은지 질문을 마치는데 얼마의 시간이 소요 되는지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예비검사는 당연히 시행되어져야 한다.
여덟째, 질문문항은 명확해야 한다.
질문문항의 명확성은 주어진 질문이 모든 응답자에게 동일하게 인식된다는 것이다. 어떤 용어는 그 자체가 애매모호한 것이 있고 일정 수준 이상의 교육을 필한 사람만이 이해할 수 있는 것도 있고, 특정집단에만 알려진 사투리나 특수한 언어도 있으며 다른 집단에는 다른 의미를 가지는 것도 있다. 그러므로 사용하는 용어나 언어가 분명해야 한다.아홉째, 질문의 응답범주가 포괄적이어야 한다.
어떤 응답자든 질문에 응답할 수 있도록 응답보기는 포괄적이어야 한다. (ex: "귀하의 학력은"이라는 질문보기가 ① 초등학교졸업 ② 중학교졸업 ③고등학교졸업 ④대학교졸업이라면 무학이나 대학원 졸업한 사람은 질문에 답할 수가 없다. )
5. 결론
1960년대까지만 해도 과학모델의 주류는 경험주의 또는 계량적 연구방법이었다. 이 방법의 원칙은 과학은 이론을 지지하는 관찰의 집합체로 구성되며, 이 관찰은 객관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객관적이라는 것은 가능한 연구자의 가치나 편향이 개입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계량적 방법과 원칙들은 도전을 받게 되었는데, 특히 과학의 역사를 연구하는 학자와 새로운 과학을 개척하는 사람 그리고 과학 분야에서 전통적으로 소외되었던 사람(주로 여성, 소수민족 등)들이 기존의 계량적 방법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사람들이 제기한 기존의 주류 과학적 방법에 대한 의문은 새로운 과학적 연구방법을 등장시키게 하였으며, 이 주류에 대한 대안은 결국 해석주의 또는 질적 연구방법으로 명명되었다.
사회복지계 내부에서 과학적 접근방법 중 어떤 접근방법이 사회복지에서 더 좋은가는 많은 논란이 있어 왔으나 지금은 경험주의와 해석주의 모두 사회복지의 지식과 이론을 산출하는 데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사회복지실천에 있어 다양한 모델이 있고, 각 모델마다 장·단점이 있는 것처럼 각 연구방법에도 각기 장·단점이 있다. 따라서 문제는 언제, 어떤 방법을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으로 귀결된다. 어떤 문제는 경험주의적(양적) 접근방법에 더 적합하고, 또 어떤 문제는 해석주의적(질적) 접근방법이 더 적합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조사연구방법은 사회복지실천과 마찬가지로 어떤 한 가지 접근방법이 항상 옳거나 더 나은 방법이라고 말할 수 없고, 연구 목적과 연구 질문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할 수 있다.
6. 참고 자료
신호철(2015), 질적연구와 양적연구, 가정의학회지제26권 : J Korean Acad Fam Med
김기원, "사회복지조사론", 나눔의 집, 2009
장택원(2015) : 세상에서 가장 쉬운 사회조사 방법론, 커뮤니케이션북스
이현철, 김영천 외 1명 저, 통합연구방법론 (질적연구 + 양적연구), 아카데미프레스, 2013.
SPSS를 활용한 사회과학조사방법론, 안광호, 임병훈 공저 (학현사 , 2012)
서미경외 공저(2010), 「사회복지실천윤리」, 서울 : 양서원
『사회과학 연구방법론』이군희 (광암출판사 , 2014)
김영종. "사회복지조사방법론". 서울:학지사. 2010.
추천자료
[사회복지조사론] 조사목적에 따른 조사유형을 비교 설명, 조사유형별 사례를 실제 사회현상...
[사회복지조사론] 사회과학과 자연과학 및 사회과학으로서의 사회복지학
[사회복지조사론] 면접조사의 이해 - 면접조사의 의의, 면접자의 선발 및 훈련, 면접조사의 ...
[사회복지조사론] 단일사례설계의 개념과 특성 및 단일사례설계 과정과 측정방법
단일사례설계의 유형 - AB조사설계, ABA조사설계, ABAB조사설계, BAB조사설계, ABCD조사설계,...
(사회복지조사론) 신뢰도와 타당도 이론정리 (측정의 오류, 신뢰도의 개념과 측정 방법, 타당...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 통계자료 기사를 스크랩하고, 조사자료(통계자료)가 충분히 기사...
사회복지개론,사회복지조사론,인간행동과사회환경,가족복지론,아동복지론,사회복지실천론,사...
사회복지조사론 - 신뢰도, 타당도, 척도, 실험조사설계, 욕구조사, 자료수집방법
★ 사회복지조사론 -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해 설명하고 사회복지조사에 있어 신뢰도와 타당도...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 조사설계시 유형별을 요약하고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 조사설계
사회복지조사론_사회복지와 관련된 우리사회의 사회문제 중 하나를 선정하고, 이를 해결하기 ...
사회복지조사론)사회복지 실천가에게 필요한 척도로서 사회복지 서비스의 질과 관련한 척도를...
사회복지조사론)자신의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연구 또는 조사를 한다고 가정한 후 다음과 같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