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대중문화의 이해>, 김창남, 한울
- 목 차 -
I. <대중문화의 이해> 요약
II. <대중문화의 이해> 독후감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1. 대중문화의이해 요약1.hwp
2. 대중문화의이해 요약2.hwp
3. 대중문화의이해 요약3.hwp
4. 대중문화의이해 독후감1.hwp
5. 대중문화의이해 독후감2.hwp
6. 서론작성시 참조.hwp
- 목 차 -
I. <대중문화의 이해> 요약
II. <대중문화의 이해> 독후감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1. 대중문화의이해 요약1.hwp
2. 대중문화의이해 요약2.hwp
3. 대중문화의이해 요약3.hwp
4. 대중문화의이해 독후감1.hwp
5. 대중문화의이해 독후감2.hwp
6. 서론작성시 참조.hwp
본문내용
I. <대중문화의 이해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 2014.> 요약
1) 커뮤니케이션은 인간이 사회적 삶을 영위해 나가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며, 또 인간사회가 형성, 유지, 발전하게 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17쪽)
2)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한다는 것은 그런 약속의 체계, 즉 문화 속으로 들어감으로써 다른 사람과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된다는 의미이다.(21쪽)
3) 문화적 사고란 주어진 문화가 역사의 산물임을 이해하는 것, 그것의 의미와 기능을 비판적으로 볼 줄 아는 것, 그리고 자유롭게 새로운 대안을 모색할 줄 아는 것, 그것이 문화적 사고의 요체이다.(24쪽)
4) 대중문화라는 개념은 한 사회 내의 문화 속에 대중적이라고 할 수 있는 어떤 속성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결국 대중 혹은 대중적이라는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는가 하는 것이 대중문화라는 개념을 정의하는 관건이 된다.(32쪽)
5) 대중문화는 그것에 대립되는 상대개념이 무엇인가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지녀 왔다. 대중문화는 그것을 논하는 사람에 따라 고급문화, 민속문화, 대량문화, 지배문화, 노동계급문화 등등 다양한 범주의 상대개념이 되어 왔다.(34쪽)
6) 민중문화라는 대립항을 설정하면 대중문화는 대중을 마취시키는 지배의 도구라는 측면에서 정의되며, 민족문화와 대비시킬 경우에는 문화제국주의의 산물이라는 성격이 부각된다. 어느 편이건 대중문화는 긍정적이기보다는 부정적인 쪽으로 규정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36쪽)
7) 대중문화가 정체성 갈등의 장이며 권력투쟁의 영역임이 가장 잘 드러나는 경우는 특히 세대 간의 문화적 차이와 관련해서이다. 1990년대 이후 우리 사회의 문화담론에서 중심적 지위를 차지했던 신세대 문화 논쟁은 새로운 세대의 문화가 기성의 문화와 충돌하면서 나타났던 사회적 반응을 잘 보여 준다.(49쪽)
8) 봉건주의 체제에서 사회는 엄격한 계급질서에 의해 지배되었다. 권력을 가진 귀족들은 그들끼리의 지배사회를 유지하면서 자유롭게 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었고, 이들에 의해 엘리트적인 고급문화의 전통이 형성된다.(55쪽)
9) 문화정체성 갈등의 또 다른 주요 요인은 계급이라는 변수이다. 사실 문화는 치열한 계급투쟁의 장이다. 문화를 고급문화와 대중문화로 나누는 시각에도 따지고 보면 엘리트계급의 계급적 이해관계가 투영되어 있다.(62쪽)
- 중략 -
1) 커뮤니케이션은 인간이 사회적 삶을 영위해 나가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며, 또 인간사회가 형성, 유지, 발전하게 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17쪽)
2)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한다는 것은 그런 약속의 체계, 즉 문화 속으로 들어감으로써 다른 사람과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된다는 의미이다.(21쪽)
3) 문화적 사고란 주어진 문화가 역사의 산물임을 이해하는 것, 그것의 의미와 기능을 비판적으로 볼 줄 아는 것, 그리고 자유롭게 새로운 대안을 모색할 줄 아는 것, 그것이 문화적 사고의 요체이다.(24쪽)
4) 대중문화라는 개념은 한 사회 내의 문화 속에 대중적이라고 할 수 있는 어떤 속성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결국 대중 혹은 대중적이라는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는가 하는 것이 대중문화라는 개념을 정의하는 관건이 된다.(32쪽)
5) 대중문화는 그것에 대립되는 상대개념이 무엇인가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지녀 왔다. 대중문화는 그것을 논하는 사람에 따라 고급문화, 민속문화, 대량문화, 지배문화, 노동계급문화 등등 다양한 범주의 상대개념이 되어 왔다.(34쪽)
6) 민중문화라는 대립항을 설정하면 대중문화는 대중을 마취시키는 지배의 도구라는 측면에서 정의되며, 민족문화와 대비시킬 경우에는 문화제국주의의 산물이라는 성격이 부각된다. 어느 편이건 대중문화는 긍정적이기보다는 부정적인 쪽으로 규정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36쪽)
7) 대중문화가 정체성 갈등의 장이며 권력투쟁의 영역임이 가장 잘 드러나는 경우는 특히 세대 간의 문화적 차이와 관련해서이다. 1990년대 이후 우리 사회의 문화담론에서 중심적 지위를 차지했던 신세대 문화 논쟁은 새로운 세대의 문화가 기성의 문화와 충돌하면서 나타났던 사회적 반응을 잘 보여 준다.(49쪽)
8) 봉건주의 체제에서 사회는 엄격한 계급질서에 의해 지배되었다. 권력을 가진 귀족들은 그들끼리의 지배사회를 유지하면서 자유롭게 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었고, 이들에 의해 엘리트적인 고급문화의 전통이 형성된다.(55쪽)
9) 문화정체성 갈등의 또 다른 주요 요인은 계급이라는 변수이다. 사실 문화는 치열한 계급투쟁의 장이다. 문화를 고급문화와 대중문화로 나누는 시각에도 따지고 보면 엘리트계급의 계급적 이해관계가 투영되어 있다.(62쪽)
- 중략 -
추천자료
교육의 철학적 이해
[과학기술의 철학적 이해]우두법과 정치학
피타고라스의 철학 이해 - 『The hours』와 연관하여
[서양철학의 이해] 데카르트 철학에 대한 논의(방법서설) 데카르트 방법서설
포스트모더니즘과 상생철학시대의 종교이해
인간과교육:)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 관점 인간관의 특징 / 과학적 인간관 비판 / 콜버그...
인간과교육2017)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하...
인간과교육3공통)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
인간과교육) 1.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 설명, 과...
인간과교육 2017년) 1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
인간과교육3공통)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
[인간과교육]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
인간과교육 1. 후기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있는 인간관의 특징, 과학적인간...
(인간과교육3A)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