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메멘토의 줄거리
3. 메멘토를 통하여 배울 수 있는 기록 관리학의 지향점
4. 맺음말
2. 메멘토의 줄거리
3. 메멘토를 통하여 배울 수 있는 기록 관리학의 지향점
4. 맺음말
본문내용
있었던 기록관리의 폐단에 대한 개혁을 위해 세계 각국이 이젠 부단히 노력하고 있으며 그러한 시대적 조류 속에서 우리나라도 1999년 공공기관의 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면서 이제는 정부 차원에서 기록관리 혁신을 개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매우 바람직한 모습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 물론 아직까지 미국을 위시(爲始)한 서구 선진국들의 오랜 역사를 통해 발달된 기록관리 체계가 우리나라에 완전히 자리 잡지 않아 우리에게 남은 여러 과제들이 있긴 하지만 조선왕조실록의 편찬을 비롯한 우리나라 특유의 기록관리의 역사적 맥락들과 세계 최상위를 다투는 IT기술의 보편화 및 발달, 그리고 이제는 훨씬 더 민주화되어 가는 사회적 분위기(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행정조사기본법, 공공기관의 개인 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등의 제정)의 시대적 조류에 힘입어 자연히 우리나라도 성공적인 기록관리 체계를 차츰 구축해 나갈 수 있으리라 믿는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국가 차원에서 기록관리를 위한 실질적인 여러 사회적 제도나 체제의 구축ㆍ정립도 중요하겠지만 ‘기록’과 ‘기록관리학’에 대한 개개인들의 올바른 인식의 정립 또한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