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당말 시기의 특징과 당의 쇠망
2. 당송변혁과 시대구분론
Ⅰ. 나이토 코난(內藤湖南)의 견해
Ⅱ. 미야자키 이치사다(宮崎市定)의 견해
Ⅲ. 마에다 나오노리(前田直典)의 견해
3. 당송변혁기에 나타난 변화
Ⅰ. 정치, 사회적 특징
Ⅱ. 경제적 특징
Ⅲ. 문화, 학술적 특징
4. 당송변혁이 중국의 역사에서 가지는 의의와 영향
※ 참고서적 및 참고 웹 사이트
2. 당송변혁과 시대구분론
Ⅰ. 나이토 코난(內藤湖南)의 견해
Ⅱ. 미야자키 이치사다(宮崎市定)의 견해
Ⅲ. 마에다 나오노리(前田直典)의 견해
3. 당송변혁기에 나타난 변화
Ⅰ. 정치, 사회적 특징
Ⅱ. 경제적 특징
Ⅲ. 문화, 학술적 특징
4. 당송변혁이 중국의 역사에서 가지는 의의와 영향
※ 참고서적 및 참고 웹 사이트
본문내용
나눈다는 것 자체부터가 이미 큰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또한 이 같은 역사 구분법은 서양에서부터 나타난 구분법인데 굳이 우리 동아시아에서 이를 따라야 할 이유가 있는 것인지 의문이다. 우리는 그저 당송변혁시기에 큰 변혁이 있었고 그 내용이 어떤 것인지 이해하고 공부하면 된다고 생각한다.
중국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도 이같은 역사 구분법을 통해 학생들에게 교육하고 있다. 대개 고려 이전까지를 고대, 고려시대를 중세, 조선시대를 근세로 보고 있는데, 고려는 고려만의 특색이 있고 조선은 조선만의 특색이 있으며 그 둘의 공통적인 부분 또한 있는 것이다. 이것을 굳이 후대 사람들이 마음대로 끼워 맞추기 식으로 구분한다는 것은 불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중국의 역사 또한 마찬가지다.
역사를 있는 그대로 자연스럽게 바라봐야한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 참고서적 및 참고 웹 사이트
1. 김영제, ‘당송재정사‘ (신서원)
2. 김규희, 김현성, 천왕성, 나은정, ‘누드교과서 세계사’ (이투스)
3. 錢穆, ‘中國史의 새로운 理解’ (집문당)
4. 위키백과 ‘미야자키 이치사다’
http://ko.wikipedia.org/wiki/%EB%AF%B8%EC%95%BC%EC%9E%90%ED%82%A4_%EC%9D%B4%EC%B9%98%EC%82%AC%EB%8B%A4
5.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rntmf6905/20038392184
http://blog.naver.com/rntmf6905/20038392149
http://blog.naver.com/rntmf6905/20038392204
중국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도 이같은 역사 구분법을 통해 학생들에게 교육하고 있다. 대개 고려 이전까지를 고대, 고려시대를 중세, 조선시대를 근세로 보고 있는데, 고려는 고려만의 특색이 있고 조선은 조선만의 특색이 있으며 그 둘의 공통적인 부분 또한 있는 것이다. 이것을 굳이 후대 사람들이 마음대로 끼워 맞추기 식으로 구분한다는 것은 불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중국의 역사 또한 마찬가지다.
역사를 있는 그대로 자연스럽게 바라봐야한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 참고서적 및 참고 웹 사이트
1. 김영제, ‘당송재정사‘ (신서원)
2. 김규희, 김현성, 천왕성, 나은정, ‘누드교과서 세계사’ (이투스)
3. 錢穆, ‘中國史의 새로운 理解’ (집문당)
4. 위키백과 ‘미야자키 이치사다’
http://ko.wikipedia.org/wiki/%EB%AF%B8%EC%95%BC%EC%9E%90%ED%82%A4_%EC%9D%B4%EC%B9%98%EC%82%AC%EB%8B%A4
5.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rntmf6905/20038392184
http://blog.naver.com/rntmf6905/20038392149
http://blog.naver.com/rntmf6905/2003839220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