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5. 실험 결과
6. 결과 분석
7. 토의 및 건의사항
8. 참고 문헌
6. 결과 분석
7. 토의 및 건의사항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는 모두 약 0.4%이하로 매우 정확한 측정값을 보여준다. 이 실험도 이론값과 비교하여 최소 주기를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위의 그래프는 측정값 근방에서의 d의 값에 따른 이론적인 주기와 측정된 d의 값을 비교한 것이다. 이론적 그래프는 5mm간격으로 나타냈으며 그래프에서도 알 수 있듯 70mm에서 최솟값을 보인다. 수학적으로 계산하면
에서
이다. 따라서 정리하면 일 때 극솟값을 가진다. 이므로 에서 최솟값을 가지며 이는 실험 결과와 잘 일치한다.
이 원판형 물리진자 역시 실험 1과 같은 이유로 가 증가하면 주기가 증가하게 된다.
실험3. 비틀림 상수
총 3가지 종류의 철사에 대해 비틀림 상수를 측정했으며 그 값은 아래와 같다.
측정된 비틀림 상수는 0.00492, 0.3054, 0.106 (Nm/rad) 이다.
실험4. 비틀림 진자
실험에 사용한 원판의 질량과 반지름은 각각 이다. 주기 계산을 위해 사용된 식은 아래와 같다.
각각 총 5번의 진동 주기를 계산하였으며 이의 평균값을 측정값으로 이용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5.에서 사용한 철사 3개를 이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 결과 오차가 약 10%안 밖으로 오차가 다소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프를 보면 단진동 하는 것이 아닌 감쇠운동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 말은 어디선가 에너지 손실이 크게 일어났다는 것이다. 실제로 회전하는 동안 소음이 심하게 들렸으며 이는 회전축과 철사가 잘 고정되지 않았거나 정확히 수평이 아니었을 가능성이 크다.
6. 결과 분석
① 물리 진자의 경우 실험 오차가 모두 0.5%이하로 상당히 정확한 값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물리진자의 그래프를 확인하면 거의 감쇠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외부 저항에 대한 영향이 거의 없어 주기가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d의 값에 따른 주기의 변화는 감소하다 144.34mm에서 최솟값을 가지고 다시 증가한는 모습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물리진자는 초기 각도가 증가할수록 주기가 증가하며 그 이유를 수식으로 밝혔다.
② 비틀림 상수는 철사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커졌으며 이는 두께에 따라 회전축에 따른 응력 값이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③ 비틀림 진자의 경우 실험 결과 오차가 다소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프를 보면 단진동 하는 것이 아닌 감쇠운동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이 저항력이 속력 또는 속력의 제곱에 비례하는 감소운동이라고는 말할 수는 없지만 어디선가 에너지 손실이 크게 일어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7. 토의 및 건의사항
비틀림 진자의 주기를 측정할 때는 철사가 회전축과 평행하게 설치되었는지 확인해야한다. 약간이라도 나란하지 않으면 회전하는 동안 소음과 마찰이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철사가 구부러졌다 펼쳐지며) 이것은 감쇠를 유발하며 큰 오차를 발상시키게 된다.
8. 참고 문헌
1. 실험 매뉴얼 (물리 진자, 비틀림 진자)
2. YoungandFreedman,"University Physics",14thEdition
위의 그래프는 측정값 근방에서의 d의 값에 따른 이론적인 주기와 측정된 d의 값을 비교한 것이다. 이론적 그래프는 5mm간격으로 나타냈으며 그래프에서도 알 수 있듯 70mm에서 최솟값을 보인다. 수학적으로 계산하면
에서
이다. 따라서 정리하면 일 때 극솟값을 가진다. 이므로 에서 최솟값을 가지며 이는 실험 결과와 잘 일치한다.
이 원판형 물리진자 역시 실험 1과 같은 이유로 가 증가하면 주기가 증가하게 된다.
실험3. 비틀림 상수
총 3가지 종류의 철사에 대해 비틀림 상수를 측정했으며 그 값은 아래와 같다.
측정된 비틀림 상수는 0.00492, 0.3054, 0.106 (Nm/rad) 이다.
실험4. 비틀림 진자
실험에 사용한 원판의 질량과 반지름은 각각 이다. 주기 계산을 위해 사용된 식은 아래와 같다.
각각 총 5번의 진동 주기를 계산하였으며 이의 평균값을 측정값으로 이용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5.에서 사용한 철사 3개를 이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 결과 오차가 약 10%안 밖으로 오차가 다소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프를 보면 단진동 하는 것이 아닌 감쇠운동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 말은 어디선가 에너지 손실이 크게 일어났다는 것이다. 실제로 회전하는 동안 소음이 심하게 들렸으며 이는 회전축과 철사가 잘 고정되지 않았거나 정확히 수평이 아니었을 가능성이 크다.
6. 결과 분석
① 물리 진자의 경우 실험 오차가 모두 0.5%이하로 상당히 정확한 값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물리진자의 그래프를 확인하면 거의 감쇠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외부 저항에 대한 영향이 거의 없어 주기가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d의 값에 따른 주기의 변화는 감소하다 144.34mm에서 최솟값을 가지고 다시 증가한는 모습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물리진자는 초기 각도가 증가할수록 주기가 증가하며 그 이유를 수식으로 밝혔다.
② 비틀림 상수는 철사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커졌으며 이는 두께에 따라 회전축에 따른 응력 값이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③ 비틀림 진자의 경우 실험 결과 오차가 다소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프를 보면 단진동 하는 것이 아닌 감쇠운동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이 저항력이 속력 또는 속력의 제곱에 비례하는 감소운동이라고는 말할 수는 없지만 어디선가 에너지 손실이 크게 일어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7. 토의 및 건의사항
비틀림 진자의 주기를 측정할 때는 철사가 회전축과 평행하게 설치되었는지 확인해야한다. 약간이라도 나란하지 않으면 회전하는 동안 소음과 마찰이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철사가 구부러졌다 펼쳐지며) 이것은 감쇠를 유발하며 큰 오차를 발상시키게 된다.
8. 참고 문헌
1. 실험 매뉴얼 (물리 진자, 비틀림 진자)
2. YoungandFreedman,"University Physics",14thEdition
키워드
추천자료
[기계공학실험] Ultrasonic Testing {비파괴검사(Non-Destructive Examination : NDE}
[물리실험] 원운동과 구심력 측정 실험 (예비+결과레포트)
기초공학실험 - 인장 시험
[일반물리학실험 예비보고서] 쿨롱(Coulomb)의 법칙 - 두 개의 도체구를 대전시키고 도체구 ...
[일반물리학실험 예비보고서] 이중슬릿에 의한 빛의 간섭과 회절
물리 실험 결과 보고서 - 축전기와 정전용량 (2)
[일반물리학실험] (결과) <4>중력 가속도
[물리실험] 기전력측정 : 기전력을 알고 있는 표준전자와 습동전위차계 (slide wire potentio...
[기계][기계과학공작][기계요소][기계가치][기계설계]기계와 기계과학공작, 기계와 기계요소,...
[일반물리학실험] 길이 측정 보고서 : 버니어캘리퍼와 마이크로미터의 원리를 이해하고, 사용...
일반물리학 실험 - 일과 에너지 결과보고서
[화공실험] 매트랩(MATLAB)을 이용한 화학공정 모델링 및 모사 결과 : MATLAB과 MATLAB의 SIM...
[실험레포트]일반물리학실험2 직류 회로
기술논문_공학작문및발표_실혐보고서_부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