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목차
Ⅰ.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1) 정의
2) 분류
3) 원인
4) 증상
5) 합병증
6) 진단
7) 치료
8) 협심증에 좋은 음식
Ⅱ.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1) 정의
2) 분류
3) 원인
4) 증상
5) 합병증
6) 진단
7) 치료
8) 협심증에 좋은 음식
Ⅱ.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신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탈수, 심부전 등의 원인으로 신장으로 가는 혈액이 부족해서 소변을 만들지 못하는 경우, 신장 자체에 이상이 있어서 소변을 만들어내지 못하는 경우, 소변은 생성되지만 소변이 배설되는 요도 및 방광이 막혀서 소변이 배설되지 못하는 경우 이렇게 세 가지가 있다
1-④ ST분절의 하강은 허혈성 심 질환을 뜻한다.
① 혈압, 심장박동수
9.4
64/46mmHg
152회/분
▼
9.6
101/62mmHg
71회/분
혈압과 심장박동수가 정상범위로 유지되었다.
②
9.4
9.6
복부 팽만 단단.
복부 팽만
soft.
복부 팽만 단단.
복부 soft
복부 팽만 단단.
복부 soft
복부 팽만 Soft
복부 soft
복부증상이 정상으로 돌아왔다.
③
9.4
▶
9.6
2055
/965
2070
/2070
섭취량과 배설량이 똑같게 유지되었다.
④ 9/7
심전도 상 A-fib리듬이 경하게 있고 ST분절 하강이 존재함.
2. 산소요법을 실시한다.
① ①endotracheal intubation을 통해 인공호흡기를 연결하였다.
(인공호흡기 모드 : CMV
FiO2 : 630%, PEEP : 7)
2-① -인공호흡기 회로 내 압력을 양압으로 유지하여 대상자의 자발호흡노력을 힘들지 않게 공기가 쉽게 폐 내로 말려들어가도록 한다.
-흡기 중 산소농도를 올려도 ABGA가 낮을때 적용하고 인공호흡기 제거 직전에 사용하기도 한다.
(흡기 : 폐포 개방,
호기 : 폐포 허탈방지)
SPO2가 95-100%로 유지되었다.
3. 처방에 따라 약물적 중재를 시행한다.
① PRN] Nitroglycerin 1T를 설하로 투여하였다.
② 8시간마다 lasix mix를 IV투여하였다.
③ norpin을 6cc/hr IV로 투여하였다.
④ Diovan 40mg 0.5Tab을 1일/1회 경구로 투여하였다.
⑤ Nebilet 5mg 0.5Tab을 1일/1회 경구로 투여하였다.
⑥ Crestor 20mg 1Tab을 1일/1회 경구로 투여하였다.
⑦ Aldactone 필름코팅정 25mg 1Tab을 1일/1회 경구로 투여하였다.
3-① Nitroglycerin은 혈관확장제로 협심증에서 흉통을 완화시킨다.
3-② lasix는 이뇨제로 I/O의 균형을 맞춰주기위해 사용된다.
3-③ norpin은 급성저혈압을 치료하기위해 사용된다.
3-④ Diovan심부전시 혈압강하제로 사용된다.
3-⑤ Nebilet는 심부전시 혈압강하제로 사용된다.
3-⑥ Crestor는 동맥경화용제로 고지혈증을 치료한다.
3-⑦ Aldactone 필름코팅정은 이뇨제로 I/O의 균형을 맞춰 주기위해 사용된다.
주관적 사정
객관적 사정
- 미골 발진이 일어남. (2x2)
- 항문주위가 빨갛게 발진됨.
- 전신 경한 부종이 보임.
- 지속적으로 묽은 변과 설사를 누고 있음.
9.9 5PM
9.10 11AM
9.10 4PM
무른 변 100
무른 변 100
설사 100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근거
평가
#3. 부동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
단기목표
1.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로 피부 발적이 사라진다.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피부 통합성이 유지된다.
1. 대상자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사정한다.
① 매 duty마다 기저귀를 확인하여 발한, 상처배농, 대소변 실금으로 인한 수분을 제거하고 피부상태를 확인하였다.
9.9 5PM
9.10 11AM
9.10 4PM
무른 변
100
무른 변
100
설사 100
② 매 duty마다 억제대를 풀어 수건을 대어주고 위치를 변경하였다.
③ 매 duty마다 뼈 돌출부위를 사정하고 베개를 적용하였다.
1-① 대상자의 피부를 관찰하고 이를 기록하며, 변화가 있을 시 보고하여 즉시 치료에 임하게 할 수 있다.
1-②,③ 욕창의 가장 큰 요인은 바깥에서 오는 압력이므로, 압력의 발생을 낮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압력 자체를 감소시키거나 체위를 바꾸어 압력의 지속을 끊어 욕창 발생 정도를 낮출 수 있다.
피부 발적이 사라지지 않았지만 더 이상 발진이 생기지 않았다.
2. 압박받는 부위를 최소화시키고 혈액순환을 증진시킨다.
① 깨끗하고 건조하고 주름없는 침상을 유지시켜 주었다.
② 피부의 혈액순환을 돕기 위해 Air mattress를 적용하였다.
③ 1-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해주었다.
2-① 주름이 많은 침요 위에 누워있는 대상자는 마찰력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아 욕창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2-② Air mattress는 침대에 경험하는 압력을 줄이는 데 도움을 주고, 피부 혈액 순환에도 도움을 준다.
2-③ 자세 변화 없이 움직이지 않는 경우, 약 4시간이 경과하면서부터 욕창이 시작될 수 있다. 욕창의 가장 큰 요인은 바깥에서 오는 압력이므로, 압력의 발생을 낮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압력 자체를 감소시키거나 체위를 바꾸어 압력의 지속을 끊어 욕창 발생 정도를 낮출 수 있다.
피부 발적이 사라지지 않았지만 더 이상 발진이 생기지 않았다.
3. 처방에 따라 약물적 중재를 시행한다.
① 하루 2회 발진부위에 Travocort cream을 도포해주었다.
② 매 duty마다 발진부위에 메디폼으로 드레싱을 해주었다.
3-① 심한 염증 및 습진 등의 임상증상을 수반하는 피부 진균증인 백선, 피부 칸디다증, 어루러기 등 치료를 위해 1일 1~2회 환부에 적당량을 발라준다.
3-② 욕창 상처 부위에 적절한 습윤 환경을 조성해야하며 습윤 환경에서 치유에 필요한 성장인자들이 효과적으로 역할을 수행 할 수 있기 때문에 상처부위를 깨끗하게 한 후 메디폼으로 드레싱 해준다.
피부 발적이 사라지지 않았지만 더 이상 발진이 생기지 않았다.
Ⅲ. 결;론
실습소감
※ 참고문헌
전시자 외 9인(2011),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박정숙 외(2009), 성인간호학ⅱ, 엘스비어코리아
성미혜 (2008),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임상약리학(2011), 최명애 외 공저, 엘스비어코리아
약물정보 킴스온라인(http://www.kimsonline.co.kr)
약물정보 드럭인포(https://www.druginfo.co.kr/index.aspx)김남영, 김윤희, 김은아, 2009. 중환자 간호, 현문사
1-④ ST분절의 하강은 허혈성 심 질환을 뜻한다.
① 혈압, 심장박동수
9.4
64/46mmHg
152회/분
▼
9.6
101/62mmHg
71회/분
혈압과 심장박동수가 정상범위로 유지되었다.
②
9.4
9.6
복부 팽만 단단.
복부 팽만
soft.
복부 팽만 단단.
복부 soft
복부 팽만 단단.
복부 soft
복부 팽만 Soft
복부 soft
복부증상이 정상으로 돌아왔다.
③
9.4
▶
9.6
2055
/965
2070
/2070
섭취량과 배설량이 똑같게 유지되었다.
④ 9/7
심전도 상 A-fib리듬이 경하게 있고 ST분절 하강이 존재함.
2. 산소요법을 실시한다.
① ①endotracheal intubation을 통해 인공호흡기를 연결하였다.
(인공호흡기 모드 : CMV
FiO2 : 630%, PEEP : 7)
2-① -인공호흡기 회로 내 압력을 양압으로 유지하여 대상자의 자발호흡노력을 힘들지 않게 공기가 쉽게 폐 내로 말려들어가도록 한다.
-흡기 중 산소농도를 올려도 ABGA가 낮을때 적용하고 인공호흡기 제거 직전에 사용하기도 한다.
(흡기 : 폐포 개방,
호기 : 폐포 허탈방지)
SPO2가 95-100%로 유지되었다.
3. 처방에 따라 약물적 중재를 시행한다.
① PRN] Nitroglycerin 1T를 설하로 투여하였다.
② 8시간마다 lasix mix를 IV투여하였다.
③ norpin을 6cc/hr IV로 투여하였다.
④ Diovan 40mg 0.5Tab을 1일/1회 경구로 투여하였다.
⑤ Nebilet 5mg 0.5Tab을 1일/1회 경구로 투여하였다.
⑥ Crestor 20mg 1Tab을 1일/1회 경구로 투여하였다.
⑦ Aldactone 필름코팅정 25mg 1Tab을 1일/1회 경구로 투여하였다.
3-① Nitroglycerin은 혈관확장제로 협심증에서 흉통을 완화시킨다.
3-② lasix는 이뇨제로 I/O의 균형을 맞춰주기위해 사용된다.
3-③ norpin은 급성저혈압을 치료하기위해 사용된다.
3-④ Diovan심부전시 혈압강하제로 사용된다.
3-⑤ Nebilet는 심부전시 혈압강하제로 사용된다.
3-⑥ Crestor는 동맥경화용제로 고지혈증을 치료한다.
3-⑦ Aldactone 필름코팅정은 이뇨제로 I/O의 균형을 맞춰 주기위해 사용된다.
주관적 사정
객관적 사정
- 미골 발진이 일어남. (2x2)
- 항문주위가 빨갛게 발진됨.
- 전신 경한 부종이 보임.
- 지속적으로 묽은 변과 설사를 누고 있음.
9.9 5PM
9.10 11AM
9.10 4PM
무른 변 100
무른 변 100
설사 100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근거
평가
#3. 부동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
단기목표
1.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로 피부 발적이 사라진다.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피부 통합성이 유지된다.
1. 대상자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사정한다.
① 매 duty마다 기저귀를 확인하여 발한, 상처배농, 대소변 실금으로 인한 수분을 제거하고 피부상태를 확인하였다.
9.9 5PM
9.10 11AM
9.10 4PM
무른 변
100
무른 변
100
설사 100
② 매 duty마다 억제대를 풀어 수건을 대어주고 위치를 변경하였다.
③ 매 duty마다 뼈 돌출부위를 사정하고 베개를 적용하였다.
1-① 대상자의 피부를 관찰하고 이를 기록하며, 변화가 있을 시 보고하여 즉시 치료에 임하게 할 수 있다.
1-②,③ 욕창의 가장 큰 요인은 바깥에서 오는 압력이므로, 압력의 발생을 낮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압력 자체를 감소시키거나 체위를 바꾸어 압력의 지속을 끊어 욕창 발생 정도를 낮출 수 있다.
피부 발적이 사라지지 않았지만 더 이상 발진이 생기지 않았다.
2. 압박받는 부위를 최소화시키고 혈액순환을 증진시킨다.
① 깨끗하고 건조하고 주름없는 침상을 유지시켜 주었다.
② 피부의 혈액순환을 돕기 위해 Air mattress를 적용하였다.
③ 1-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해주었다.
2-① 주름이 많은 침요 위에 누워있는 대상자는 마찰력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아 욕창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2-② Air mattress는 침대에 경험하는 압력을 줄이는 데 도움을 주고, 피부 혈액 순환에도 도움을 준다.
2-③ 자세 변화 없이 움직이지 않는 경우, 약 4시간이 경과하면서부터 욕창이 시작될 수 있다. 욕창의 가장 큰 요인은 바깥에서 오는 압력이므로, 압력의 발생을 낮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압력 자체를 감소시키거나 체위를 바꾸어 압력의 지속을 끊어 욕창 발생 정도를 낮출 수 있다.
피부 발적이 사라지지 않았지만 더 이상 발진이 생기지 않았다.
3. 처방에 따라 약물적 중재를 시행한다.
① 하루 2회 발진부위에 Travocort cream을 도포해주었다.
② 매 duty마다 발진부위에 메디폼으로 드레싱을 해주었다.
3-① 심한 염증 및 습진 등의 임상증상을 수반하는 피부 진균증인 백선, 피부 칸디다증, 어루러기 등 치료를 위해 1일 1~2회 환부에 적당량을 발라준다.
3-② 욕창 상처 부위에 적절한 습윤 환경을 조성해야하며 습윤 환경에서 치유에 필요한 성장인자들이 효과적으로 역할을 수행 할 수 있기 때문에 상처부위를 깨끗하게 한 후 메디폼으로 드레싱 해준다.
피부 발적이 사라지지 않았지만 더 이상 발진이 생기지 않았다.
Ⅲ. 결;론
실습소감
※ 참고문헌
전시자 외 9인(2011),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박정숙 외(2009), 성인간호학ⅱ, 엘스비어코리아
성미혜 (2008),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임상약리학(2011), 최명애 외 공저, 엘스비어코리아
약물정보 킴스온라인(http://www.kimsonline.co.kr)
약물정보 드럭인포(https://www.druginfo.co.kr/index.aspx)김남영, 김윤희, 김은아, 2009. 중환자 간호, 현문사
추천자료
[성인간호학][Ulcerative Colitis][궤양성대장염]케이스 스터디(Case Study),문헌고찰
[성인간호학][Ulcerative Colitis][궤양성대장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간호과정
[성인간호학][Acute Bronchitis][급성기관지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Esophageal cancer][식도암]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OPLL][후종인대 골화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Ossification of posterio...
[성인간호학][Angina pectoris][협심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직장암][Colon cancer]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Spinal Stenosis][척추관협착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간경화][LC]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liver cirrhosis]
[성인간호학][DM][당뇨]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간호과정, 간호진단
[성인간호학][뇌졸중][CVA]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ICH][뇌출혈]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Intra Cerebral Hemorrhage)
[성인간호학][쯔쯔가무시][tsutsugamushi]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성인간호학][백내장][cataract]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