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결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결핵이란

1. 결핵의 병태생리
1) 결핵의 감염 및 발병
2. 특징과 위험요인
3. 발생빈도
4. 임상증상

Ⅱ. 결핵의 진단

1. 방사선 검사
2. 객담검사
1) 항산균 도말 검사 (AFB stain)
2) 항산균 배양 검사 (AFB culture)
3) 약제 감수성 검사
4) 결핵균 및 리팜핀 내성검사 (신속 Xpert)
3. 분자생물학적 진단 (PCR)
4. 면역학적 진단
1) 투베르쿨린 검사 (TST)
2) 인터페론 감마 분비검사 (IGRA)

* 잠복결핵 *

Ⅲ. 폐결핵의 진단과정
1. 도말 양성이면서 결핵균 핵산 증폭검사 양성인 경우
2. 도말 양성이면서 결핵균 핵산 증폭검사 음성인 경우
3. 도말 음성이면서 결핵균 핵산증폭 검사 양성인 경우
4. 도말 음성이면서 결핵균 핵산 증폭 검사 음성인 경우

Ⅳ. 치료
1. 항결핵제
1) 1차 항결핵제
2) 2차 항결핵약제

* 항결핵제의 투여방법, 부작용, 간호시 주의사항 *
2. 항결핵제 투여중 부작용 발생시 대처방안
3. 초치료
4. 약제내성 결핵의 치료
5. 보조치료
6. 특수상황에서의 결핵의 치료

Ⅴ. 치료 경과 관찰 및 치료종료 판정

Ⅵ.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 (Non tuberculous mycobacteria: NTM)
1. 정의
2. 진단
3. NTM의 종류

Ⅸ. Case study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기 때문에 임산부에서는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다.
1차약제로 치료하는 산모에서 모유수유를 해도 소량의 약물만이 아기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모유수유를 중단할 이유는 없다.
Ⅴ. 치료 경과 관찰 및 치료종료 판정
치료를 시작한 후 도말과 배양검사가 2회 연속음성으로 나올 때까지 최소한 한달에 한번 객담검사를 시행하고 균음전이 되면 1개월 간격으로 검사하며 치료 종결시점에서 마지막 객담 검사를 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결핵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치료경과 및 악화의 지표는 균음전 여부이다. 진단당시 균양성 환자는 치료에 의한 균음전 상태를 치료 종결 시까지 유지하면 치료에 성공한 것이고 균이 계속 나오면 치료 실패를 의미한다.
치료종결 시점은 투여기간이 아닌 투여횟수가 중요하다.(6개월요법시 180회, 9개월요법시 270회) 즉 치료기간에만 맞추는 경우 투여약물의 용량이 부족해서 불완전한 치료종결이 될 수 있다.
Ⅵ.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 (Non tuberculous mycobacteria: NTM)
1. 정의
결핵균과 나병균을 제외한 마이코 박테리아를 말한다.
자연에 감염 보유 숙주가 없는 결핵균과 달리 NTM은 자연수와 토양 등 자연환경에 정상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과거에는 임상검체에서 NTM이 분리되어도 대분 오염균 또는 집락군등 비병원성균으로 여겨왔다.
최근 들어 NTM을 병원균으로 인식하게 된 계기가 첫째, AIDS 환자에서 발생하는 기회감염증의 중요한 원인균의 하나라는 것이 밝혀졌다. 둘째, 폐결핵과 유사하게 상엽의 공동을 동반한 폐질환뿐만 아니라 매우 다양한 형태의 폐질환을 일으킨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셋째, NTM 배양과 동정을 이전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진단법이 개발되었고 최근들어 NTM은 만성 폐질환의 중요한 원인균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사람과 사람사이에서 전염이 없기 때문에 환자를 격리할 필요는 없다.
2. 진단
객담에서 NTM이 분리되었을 때 오염균 또는 집락균과 폐질환의 병원균과의 구별을 위해서는 정확한 균동정과 함께 적절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미생물학적 기준에 따른 진단이 필요하다.
항산균 도말 검사와 배양검사는 NTM에서도 그대로 적용한다. 도말검사에서는 결핵균과 NTM 모양이 구별되지 않는다. 약제감수성 검사는 결핵균에 비해 시행이 힘들고 또한 해석이 어려워 시행하지 않는다.
3. NTM의 종류
현재까지 100여종 가까이 균종이 알려져 있으며 계속 새로운 균종이 밝혀지고 있다. NTM으로 인한 질환은 폐질환, 림프절염, 피부질환, 파종성 질환 등 4가지 특징적인 임상 증후군으로 분류된다. 이중 폐질환은 90% 이상을 차지한다.
1) M. avium complex 폐질환
NTM 폐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다. (M. avium, M. intracullulare 두가지 균종이 속함)
치료는 여러 약제를 장기간 사용해야 한다.
대부분의 일차 항결핵제는 치료효율이 낮고 재발률도 높았다. 1990년대 이후 Clari thromycin, azithromycin 등을 사용한다.
2) 신속 성장형 NTM 폐질환
M. chelonae/absces년 group과 M. fortuitum group
중년이상의 비흡연자 여성에서 흔히 발생하며 기저질환이 없을 경우 병의 진행이 매우 느려 증상 발생부터 진단까지 평균 2년이상 소요된다. 높은 내성을 보이고 정주용 항생제를 사용해야하며 장기간 치료해야하므로 치료가 매우 어렵다.
Ⅸ. Case study
1. 이○○ (M/59)
1) 간호력
- 진단명: pul. Tb
- 입원기간: 2015.10.5~10.13
- 입원동기: 기저질환 없던 분으로 내원 한달 전부터 general weakness,
coughing, fever있어 l/c 들렀다 opd 통해 adm함
2) 검사결과
10/5
1. Diffuse consolidation in both
lung fields.
-> DDx) 1. active pulmonary TB.
2. pneumonia.
REC) chest CT.
2. Moderate amount of left
hydropneumothorax.
Suspicious several bullae in
left lung
3) 처방
- 10/6 Tb Med. start => 퇴원 후 11/25 외래 처방
INH 100mg 3t
RIF 300mg 1c +150mg 1c
EBM 400mg 2t
PZA 500mg 2t
pyridoxin 50mg 1t
Avelox 400mg 1t
=> 12/23 외래 처방
결핵 항생제 감수성 결과에 따라 약 조절함
=> INH, EMB Stop, Prothionamide 추가
- 1/20, 2/24 AFB 결과 및 외래 처방 (12/23과 동일함)
2. 이○○ (M/40)
1) 간호력
- 진단명: Old Tb, DM, CKD (2015.6월 PD start)
- 입원기간: 2015.12.23~2016.1.18
- 입원동기: 내원 15일전부터 투석액이 뿌옇게 배액 되었으며 Abd. pain, diarrhea N/V 있어 opd 통해 adm함
2) 경과
CAPD culture에서 배양되는 균 없으며 항생제 사용 중에도 PD WBC 감소 더딤
R/O Tuberculosus peritonitis => HD로 전환
1. Probable stable pulmonary tbc. in
both lungs
2. Subsegmental atelelctasis in the
right middle lobe and left lingular division.
3. small amount of pericardial
effusion.
3) 처방
- 1/5부터 Tb medication start함
- 외래 처방(2/19)=> 3/5이후부터 PZA stop 예정임)
Ⅷ. 참고문헌
* 대한 결핵 및 호흡기 학회 www. lungkorea.org
* 질병관리본부 결핵 제로 홈페이지 tbzero.cdc.go. kr
* 조경숙, 김희경, 박순옥 외 (2013) 성인간호학. 현문사
* 임상간호 실무지침 Ⅲ. 서울대학교 출판부
* 권대준외 (2007) 병원 미생물학. 고려의학
  • 가격3,2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7.11.28
  • 저작시기201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98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