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목차
Ⅰ. 심장의 이해
1. 심장.......................................................................p.1
2. 심근의 전기 생리적 특성..........................................p.1
3. 심장의 전기적 활동..................................................p.3
4. 심장의 전도체계.......................................................p.4
Ⅱ. 심전도의 기본 개념
1. 심전도의 정의 및 기록원리........................................p.5
2. 심전도의 목적...........................................................p.6
Ⅲ. 유도체계
1. 표준유도..................................................................p.7
2. 사지유도..................................................................p.8
3. 흉부유도..................................................................p.8
4. 유도부위의 의미........................................................p.9
Ⅳ. 심전도의 기본파형...................................................p.9
Ⅴ. 심전도를 이용한 심박동수 계산..............................................p.11
Ⅵ. 심전도파형 판독순서..............................................................p.12
Ⅵ. 부정맥
1. 동결절에서 발생하는 부정맥.........................................p.13
2. 심방에서 발생되는 부정맥............................................p.17
3. 심실에서 발생되는 부정맥............................................p.22
4. 방실차단....................................................................p.26
5. 속차단.......................................................................p.30
6. 기타 심전도 변화........................................................p.32
Ⅶ. 심장의 주요 약물.................................................................................p.39
※ 참고문헌...........................................................................p.41
1. 심장.......................................................................p.1
2. 심근의 전기 생리적 특성..........................................p.1
3. 심장의 전기적 활동..................................................p.3
4. 심장의 전도체계.......................................................p.4
Ⅱ. 심전도의 기본 개념
1. 심전도의 정의 및 기록원리........................................p.5
2. 심전도의 목적...........................................................p.6
Ⅲ. 유도체계
1. 표준유도..................................................................p.7
2. 사지유도..................................................................p.8
3. 흉부유도..................................................................p.8
4. 유도부위의 의미........................................................p.9
Ⅳ. 심전도의 기본파형...................................................p.9
Ⅴ. 심전도를 이용한 심박동수 계산..............................................p.11
Ⅵ. 심전도파형 판독순서..............................................................p.12
Ⅵ. 부정맥
1. 동결절에서 발생하는 부정맥.........................................p.13
2. 심방에서 발생되는 부정맥............................................p.17
3. 심실에서 발생되는 부정맥............................................p.22
4. 방실차단....................................................................p.26
5. 속차단.......................................................................p.30
6. 기타 심전도 변화........................................................p.32
Ⅶ. 심장의 주요 약물.................................................................................p.39
※ 참고문헌...........................................................................p.41
본문내용
질환(심근허혈증, 급성 심근경색증),
느린 심실보충리듬을 동반한 3도 방실차단 등을 들 수 있음
③ digitalis, quinidine, procainamide의 과량 투여나 저산소증, 산독증, 전해질불균형
(저칼륨증, 고칼륨증)에 의해 일어남
(2) 진단적 특성
① 심박동수 : 정상적으로 조절되는 심실 박동은 없다.
심실은 1분에 300~500회까지 아무렇게나 꿈틀거린다.
② 리듬 : 총체적으로 불규칙하다.
③ pacemaker 부위
- 심실세동의 pacemaker 부위는 purkinje 조직망과
심실 심근에 있는 여러 부위의 이소성 pacemaker
이다.
④ PR간격 : PR 간격은 없다.
⑤ R-R간격 : R-R 간격은 없다.
⑥ QRS군 : 없다.
⑦ 심실 세동파(VF파) 특성
a. 심방이나 심실의 조직적인 탈분극이 없다.
b. 심실세동파의 시작과 끝을 흔히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다. → 기간 측정 불가
c. 심실 세동파는 꾸불꾸불하여 기저선의 위에서 아래로 향한다.
d. 진폭은 1mm이하로부터 10mm 정도까지 매우 다양하다.
(3) 임상적 의의
① 심실세동이 일어나는 순간, 조직적인 심실 탈분극과 수축, 그에 따른 심장박출은 정지하게 되어 맥박과 혈압이 측정되지 않는다.
② 수초 이내에 의식불명, 발작, 무호흡으로 이어지게 되며 즉시 치료가 필요하다.
③ 거친 심실 세동의 경우 부정맥의 초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어느 정도 기간이 경과한 미세한 심실 세동보다 difibrillation shock에 의해 회복되기 쉽다.
④ 세동제거기의 사용 직 후 lidocaine, epinephrine, amiodarone, magnesium sulfate, NaHCO3를 투여할 수 있다.
defibrillation이 효과가 없는 경우 CPR을 실시하며 혈압을 상승시키기 위해 혈압상승제를 투여하기도 한다.
4. 방실차단
1) 1도 방실차단(first-degree AV block)
일반적으로 방실 결절을 통한 전기적 충격의 전도가 지속적으로 지연되어 발생되는 부정 맥이다. 특징으로 PR간격이 지연되어 0.20초 이상이며, 리듬은 일정하다.
(1) 원인
- 방실결절을 통해 전기적 충격의 전도가 지연되는 것으로 드물게는 방실차단은 심실의 His purkinje 체계의 방실결절 아래 부위에 일어나기도 한다.
1도 방실 차단은 정확한 원인 없이 일어날 수 있으나 다음 상황에서도 발생한다.
a. 급성 하방심근경색, 급성 우심실 심근경색
→ 방실결절의 허혈, 미주신경의 과잉 활동
b. 허혈성 심질환
c. 미주신경의 과도한 억압활동
d. digitalis 중독
e. 전해질 불균형, 급성 류마티스열, 심근염
f. amiodarone, beta-blockers, calcium channel blockers의 투여
(2) 진단적 특성
① 심박동수 : 기존 동성 리듬의 박동수와 같으며 심실과 심방 박동수가 동일하다.
② 리듬 : 기존의 리듬과 같다.
③ pacemaker 부위 : 기존과 동일
④ P파 : P파는 일정하며 QRS 군에 선행한다.
⑤ PR 간격 : 0.20초보다는 길지만 박동과 박동 사이 간격은 일정하다.
⑥ RR 간격 : 기존 리듬의 RR 간격이다.
⑦ QRS 군 : 보통은 정상이나 심실내 전도 장애 시 비정상적으로 나타난다.
(3) 임상적 의의
① 1도 방실차단은 대부분 그 자체로는 증상, 징후가 없어 치료가 필요치 않다.
② 1도 방실차단은 특정 약물을 과량 투여하거나 2, 3도 방실차단으로 진전될 수 있음을명심해야 한다.
③ 서맥과 동반하여 나타나면 산소를 투여하고 방실전도를 촉진하는 atropine을 투여할 수 있다.
2) 2도 방실차단 (Type 1)
매 P파 후에 방실결절을 통한 전기적 충격의 점도가 점차적으로 지연되다가 한번씩 완전히 차단되는 부정맥이다. 따라서 PR간격이 점차적으로 길어지다가 QRS군이 뒤따르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1) 원인
- 방실 결절을 통한 전기적 충격의 전도장애에 의해 발생한다. 따라서 이미 각 차단이 존 재하지 않는 다면 QRS 군은 정상이다.
a. 급성하방심근경색, 급성 우심실 심근 경색
b. 허혈성 심질환
c. 미주신경의 과잉 억압 활동
d. digitalis 중독
e. 특정 약물 과잉 시 ; amiodarone, beta-blockers, calcium channel blockers
f. 고칼륨혈증과 같은 전해질 불균형
g. 급성 류마티스열, 심근염
(2) 진단적 특성
① 심박동수 : 기존의 리듬 혹은 심방 리듬의 박동수와 같다. 심실박동수는 심방 박동수보다 전형적으로 적다.
② 리듬 ; 심방 리듬은 일정하지만 심실 리듬은 보통 불규칙적이다.
③ pacemaker : 동일
④ P파 : 일정하며 QRS군에 선행한다.
⑤ PR간격 : P파 후에 QRS군이 소실될 때 점차적으로 길어지며 비전도 P파 후에는 휴지기가 나타난다.
⑥ R-R간격 : PR간격이 점차적으로 길어지므로 R-R 간격은 P파가 전도되지 않을 때까지 점차 짧아지며, 이러한 주기는 반복된다.
→ P파가 전도되지 않은 P파 후에 즉각적으로 출현함으로써 RR간격을 같은 간격으로 유지할 만큼 PR 간격이 증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⑦ QRS군 : 정상이다. 그러나 심실 내 전도 장애가 존재하면 비정상일 수 있다.
(3) 임상적 의의
① TypeⅠ2도 방실차단은 보통 일시적이고 가역적이다.
② 증상도 거의 없으며 고도의 방실 차단으로 진전할 수 있기 때문에 심전도 monitoring이 필요하다.
③ TypeⅠ방실차단에서 심박동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면 atropine 투여가 효과적이다.
3) 2도 방실차단 - Type Ⅱ 방실차단(Mobitz type Ⅱ)
전기적 전도가 좌우각 중에서 한 개는 완전히 차단되고 다른 하나는 간헐적으로 차단되는 부정맥이다. 이 부정맥에는 규칙적으로 QRS군이 없는 방실차단으로 차단 비율은 4:3, 3:2 인 것과 각 차단(bundle branch block)이 있다.
(1) 원인
① 일반적으로 His 속 아래 부위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좌우각 중 하나는 전기적 충격이 간헐적으로 차단되고 다른 하나는 완전히 차단
② 비정상적으로
느린 심실보충리듬을 동반한 3도 방실차단 등을 들 수 있음
③ digitalis, quinidine, procainamide의 과량 투여나 저산소증, 산독증, 전해질불균형
(저칼륨증, 고칼륨증)에 의해 일어남
(2) 진단적 특성
① 심박동수 : 정상적으로 조절되는 심실 박동은 없다.
심실은 1분에 300~500회까지 아무렇게나 꿈틀거린다.
② 리듬 : 총체적으로 불규칙하다.
③ pacemaker 부위
- 심실세동의 pacemaker 부위는 purkinje 조직망과
심실 심근에 있는 여러 부위의 이소성 pacemaker
이다.
④ PR간격 : PR 간격은 없다.
⑤ R-R간격 : R-R 간격은 없다.
⑥ QRS군 : 없다.
⑦ 심실 세동파(VF파) 특성
a. 심방이나 심실의 조직적인 탈분극이 없다.
b. 심실세동파의 시작과 끝을 흔히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다. → 기간 측정 불가
c. 심실 세동파는 꾸불꾸불하여 기저선의 위에서 아래로 향한다.
d. 진폭은 1mm이하로부터 10mm 정도까지 매우 다양하다.
(3) 임상적 의의
① 심실세동이 일어나는 순간, 조직적인 심실 탈분극과 수축, 그에 따른 심장박출은 정지하게 되어 맥박과 혈압이 측정되지 않는다.
② 수초 이내에 의식불명, 발작, 무호흡으로 이어지게 되며 즉시 치료가 필요하다.
③ 거친 심실 세동의 경우 부정맥의 초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어느 정도 기간이 경과한 미세한 심실 세동보다 difibrillation shock에 의해 회복되기 쉽다.
④ 세동제거기의 사용 직 후 lidocaine, epinephrine, amiodarone, magnesium sulfate, NaHCO3를 투여할 수 있다.
defibrillation이 효과가 없는 경우 CPR을 실시하며 혈압을 상승시키기 위해 혈압상승제를 투여하기도 한다.
4. 방실차단
1) 1도 방실차단(first-degree AV block)
일반적으로 방실 결절을 통한 전기적 충격의 전도가 지속적으로 지연되어 발생되는 부정 맥이다. 특징으로 PR간격이 지연되어 0.20초 이상이며, 리듬은 일정하다.
(1) 원인
- 방실결절을 통해 전기적 충격의 전도가 지연되는 것으로 드물게는 방실차단은 심실의 His purkinje 체계의 방실결절 아래 부위에 일어나기도 한다.
1도 방실 차단은 정확한 원인 없이 일어날 수 있으나 다음 상황에서도 발생한다.
a. 급성 하방심근경색, 급성 우심실 심근경색
→ 방실결절의 허혈, 미주신경의 과잉 활동
b. 허혈성 심질환
c. 미주신경의 과도한 억압활동
d. digitalis 중독
e. 전해질 불균형, 급성 류마티스열, 심근염
f. amiodarone, beta-blockers, calcium channel blockers의 투여
(2) 진단적 특성
① 심박동수 : 기존 동성 리듬의 박동수와 같으며 심실과 심방 박동수가 동일하다.
② 리듬 : 기존의 리듬과 같다.
③ pacemaker 부위 : 기존과 동일
④ P파 : P파는 일정하며 QRS 군에 선행한다.
⑤ PR 간격 : 0.20초보다는 길지만 박동과 박동 사이 간격은 일정하다.
⑥ RR 간격 : 기존 리듬의 RR 간격이다.
⑦ QRS 군 : 보통은 정상이나 심실내 전도 장애 시 비정상적으로 나타난다.
(3) 임상적 의의
① 1도 방실차단은 대부분 그 자체로는 증상, 징후가 없어 치료가 필요치 않다.
② 1도 방실차단은 특정 약물을 과량 투여하거나 2, 3도 방실차단으로 진전될 수 있음을명심해야 한다.
③ 서맥과 동반하여 나타나면 산소를 투여하고 방실전도를 촉진하는 atropine을 투여할 수 있다.
2) 2도 방실차단 (Type 1)
매 P파 후에 방실결절을 통한 전기적 충격의 점도가 점차적으로 지연되다가 한번씩 완전히 차단되는 부정맥이다. 따라서 PR간격이 점차적으로 길어지다가 QRS군이 뒤따르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1) 원인
- 방실 결절을 통한 전기적 충격의 전도장애에 의해 발생한다. 따라서 이미 각 차단이 존 재하지 않는 다면 QRS 군은 정상이다.
a. 급성하방심근경색, 급성 우심실 심근 경색
b. 허혈성 심질환
c. 미주신경의 과잉 억압 활동
d. digitalis 중독
e. 특정 약물 과잉 시 ; amiodarone, beta-blockers, calcium channel blockers
f. 고칼륨혈증과 같은 전해질 불균형
g. 급성 류마티스열, 심근염
(2) 진단적 특성
① 심박동수 : 기존의 리듬 혹은 심방 리듬의 박동수와 같다. 심실박동수는 심방 박동수보다 전형적으로 적다.
② 리듬 ; 심방 리듬은 일정하지만 심실 리듬은 보통 불규칙적이다.
③ pacemaker : 동일
④ P파 : 일정하며 QRS군에 선행한다.
⑤ PR간격 : P파 후에 QRS군이 소실될 때 점차적으로 길어지며 비전도 P파 후에는 휴지기가 나타난다.
⑥ R-R간격 : PR간격이 점차적으로 길어지므로 R-R 간격은 P파가 전도되지 않을 때까지 점차 짧아지며, 이러한 주기는 반복된다.
→ P파가 전도되지 않은 P파 후에 즉각적으로 출현함으로써 RR간격을 같은 간격으로 유지할 만큼 PR 간격이 증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⑦ QRS군 : 정상이다. 그러나 심실 내 전도 장애가 존재하면 비정상일 수 있다.
(3) 임상적 의의
① TypeⅠ2도 방실차단은 보통 일시적이고 가역적이다.
② 증상도 거의 없으며 고도의 방실 차단으로 진전할 수 있기 때문에 심전도 monitoring이 필요하다.
③ TypeⅠ방실차단에서 심박동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면 atropine 투여가 효과적이다.
3) 2도 방실차단 - Type Ⅱ 방실차단(Mobitz type Ⅱ)
전기적 전도가 좌우각 중에서 한 개는 완전히 차단되고 다른 하나는 간헐적으로 차단되는 부정맥이다. 이 부정맥에는 규칙적으로 QRS군이 없는 방실차단으로 차단 비율은 4:3, 3:2 인 것과 각 차단(bundle branch block)이 있다.
(1) 원인
① 일반적으로 His 속 아래 부위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좌우각 중 하나는 전기적 충격이 간헐적으로 차단되고 다른 하나는 완전히 차단
② 비정상적으로
추천자료
급성심근경색의 진단과 이해
무기질 제제의 종류 - 수액제제
심폐소생술(CPCR)
심폐소생술 용어의 정의, 단계 원리 보고서
[심폐소생술][CPR]심폐소생술(CPR)의 원리, 목적, 종류, 소아심폐소생술(CPR)고찰과 심폐소생...
[환자간호사례][간호사례][환자][간호][수술환자간호] 만성신부전환자간호사례, 안수술환자간...
부정맥(arrhythmia) 정리
응급실 케이스 일지(4일)
운동부하검사 결과해석
생활과건강) 충분한 휴식을 취한 상태에서 혈압을 2회 측정 후 평균혈압 분석, 고혈압 진단기...
Cardiac CT
운동중 순환계
[간호학과] 저혈량성 쇼크[Hypovolemic Shock] 사례연구 case
급성 심근경색증 케이스 스터디 (Myocardial infarction) - 심근경색증 케이스, 심근경색증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