쯔쯔가무시 A+ case study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쯔쯔가무시 A+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1.문헌고찰
1)정의
2)원인
3)증상
4)진단
5)치료
6)예방

Ⅱ.본론 1.대상자 정보
2.주호소
3.건강력
4.검사자료
5.약물치료
6.간호과정

Ⅲ.결론
1.참고 문헌

본문내용

성궤양용제
투여용량 & 투여경로
20mg , P.O
투여목적 기대효과
- 경증의 위식도역류 질환 및 관련 증상(속쓰림, 산역류, 연하통)치료
- 역류식도염의 재발방지를 위한 장기유지요법
- 지속적으로 비스테로이드소염진통제를 투여해야 하는 환자에서 비스테로이드소염진통제에 의한 위십이지장궤양의 예방
부작용
상복부통, 변비, 고창, 구토, 무력증, 두통, 어지럼증
대상자에게 투여되는 이유 : tsutsugamushi균이 인체내로 들어가 구진과 궤양을 일으키기 때문에 더 이상의 증식을 막기 위해 투여한다.
6)간호과정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몸이 으슬으슬 떨려”
“열이 나는 것 같아.
열 좀 재줘“
-체온 37.8°C
-호흡 수가 23~28회로 빠름
-맥박이 높음.
10/20
2PM
5PM
7PM
B.T
37.8
37.3
37.1
P
88
108
120
R
23
24
28
-식은 땀을 흘리심
- WBC 수치가 높게 나타남.(10/17)
WBC : 12.46
(정상치 : 4.0~10.0
-대상자의 얼굴색이 붉다.
간호진단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기대결과
장기목표: -7일이내에 체액 부족의 위험을 예방하도록 한다.
-7일이내에 체온하강을 위한 중재방법을 교육받고 수행할 수 있다.
-7일이내에 대상자의 체온이 정상범위에 있다.
단기목표: -대상자에게 열감이 없다.
-4시간 이내에 체온이 정상범위 안에 들 것이다.
(36.5~37.5°C)
간호계획 및 수행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 수행
간호 평가
-매 duty시 3시간간격으로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지속적 사정은 대상자의 상태파악과, 약물 치료의 효과성등을 평가하기에 필수적이다.
나타날 수 있다.
- 매 duty시 3시간 간격으로 활력징후를 체크하였다.
-주기적으로 활력징후를 확인함으로써 대상자의 현상태를 파악하였다.
-체온이 37.5℃이상일 경우는 몸을 노출시키고 미온수에 적신 수건으로 닦아주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체표면을 닦아주는 과정에서 노출된 체표면에서의 열 대류, 체표면에서의 수분증발, 전도를 통하여 열을 소실시킨다.
-보호자에게 체온이 37.5℃이상일 경우 몸을 노출 시키고 미온수에 적신 수건으로 닦아주도록 교육하였다.
-보호자가 대상자에게 실천하는 것을 관찰하지 못하였다.
-탈수증상을 관찰하고 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체액부족으로 인한 탈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보호자에게 대상자가 탈수증상의 가능성이 있음을 설명하고,대상자에게 주기적으로 수분섭취를 해줄 것을 격려한다.
-대상자 옆에 물통이 놓여져 있었고, 보호자는 대상자가 물을 반컵정도 먹었다고 말하였다.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잠을 거의 못자”
“잠이 들었다 하면 또 깨고 설잠도 잘 못자는 것 같아”
-하품을 자주 하는 모습
-침대에 누운지 30분 후까지 잠들지 못하고 깨어 있음
-시각적상사척도(visual analog scale) : 0점.
간호진단
질병과 관련된 수면 장애
기대결과
장기목표: 대상자는 피로감을 더 이상 호소하지 않으며 6~8시간 정도까지 깨지 않고 충분한 숙면을 취한다.
단기목표: 대상자에게 수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환경을 만들며, 방법을 교육하면 대상자, 보호자는 이를 실천한다.
간호계획 및 수행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 수행
간호 평가
-대상자의 수면척도를 사정한다.
-대상자의 수면상태와 질을 파악할 수 있다.
-시각적 상사척도(visual analog scale)
10cm길이의 직선을 수평으로 그린다.
‘제일 잘 잔 밤’,‘잠을 제일 못잔 밤’ 같이 서로 반대되는 문구들을 직선의 양쪽 끝에 기입.
중간: 평균적으로 수면을 취한 밤
-대상자는
‘잠을 제일 못잔 밤’으로 0점에 해당하였으며 대상자의 수면 상태를 파악하였다.
-수면을 위한 환경을 조성한다.
-너무 환한 조명으로는 멜라토닌(잠을 촉진하는 호르몬)의 분비가 어려워져 수면을 방해한다.
-잠자리에 들려고할때 커텐을 쳐드려 빛을 어느정도 차단하였으며, 병실의 문을 닫아 소음을 줄였다.
여분의 베개를 제공하여 편안함을 유지시켜주었다.
-대상자에게 수면에 방해받지 않게하고, 숙면을 더 잘 취할 수 있는 환경이 되었다.
-잠자리에 들기전 수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교육한다.
-공복감을 완화시키고 몸을 이완시켜 효과적으로 수면을 촉진 시킨다.
-대상자와 보호자분께 잠들기전 따뜻한 음료나 가벼운 스낵을 드실 것을 교육하였다.
-잠자리에 들기전에 따뜻한 물을 드시는 것이 자주 관찰되었다.
-수면 증진을 위해 근육이완요법, 심호흡요법을 교육한다.
-근긴장을 이완 시킨다.
-대상자에게 근긴장도를 완화시키며 편안한 잠자리에 들게하기 위해서 목적을 설명하고 근육이완요법과 심호흡요법을 교육하였다
(1.숨을 길게 내쉬면서 몸에 힘을 빼고 눈을 감는다.
2.손을 주먹을 꽉쥐고 손끝에서부터 어깨까지 팔 전체에 힘을 꽉준다.
3.힘을 준 상태를 3초간 지속한후 순간적으로 힘을 뺀다
4.이 동작을 목-어깨-등-가슴-배-대퇴부-종아리 순으로 반복한다.)
-대상자가 직접 설명을 들으며 따라하는 모습이 보였다.
Ⅲ.결론
우선 내과병동은 정말 일이 많아서 간호사 선생님들도 학생 간호사인 우리에게
병동내부에 어떤 물건이 어디에 위치해 있다던지 병원내부구조도 갈수록 빠삭해질 만큼 일을 많이 시켜주셨고, 그만큼 보고 듣는게 많아서 배우고 가는 점이 많았다.
내과병동만의 특징은 대부분 심장쪽이나 호흡기계쪽이 이상이 있는 분들이 오시는데 감염관리가 필요한 VRE나 결핵환자도 있고, 고혈압이나 당뇨등 만성질환이 있는분들도 많고, 아침 점심 저녁 활력징후 차이가 많거나 하신분들이 많다. 그래서 갑자기 두통이나 열이 난다던지 혈압이나 맥박이 변동이 있다던지 언제 어떻게 상태가 달라질지 모르고, 외에도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놓칠 수 있는 부분 , 증상호소나 손씻기등 개인위생같은 점들이 있기 때문에 항상 잘 관찰하고 민감해야 한다는 것을 느꼈다.
-참고 문헌-
조경숙 외(2013). 성인간호학 상권 79~80p. 현문사
임상간호연구회(2014). 최신 임상 간호 핸드북 58~59p. 대광의학
최순희 외(2004). 표준화된 간호진단 결과 중재의 연계 142~270p. 현문사
  • 가격3,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7.12.18
  • 저작시기201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09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