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추측, 감정, 어림짐작, 착오 등 주관적 요인 최소화, 가능하면 비객관적 도구는 여러 사람이 공통으로 평가해서 결과 종합하기 등이 있다.
ㅁ. 실용도
- 한 검사도구가 경비와 시간 그리고 노력을 적게 들이고도 소기의 목적을 얼마나 달성할 수 있느냐의 정도를 말한다. 지시사항이 간단하고 분명하며, 검사문항의 수가 적당하여 검사실시가 용이해야 한다. 그리고 채점의 용이성과 결과 해석의 용이성, 그리고 검사 비용의 적절성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3. 결론
- 평소에 우리는 심리검사를 하며 이것을 어떤 이유로 신뢰해야할지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리고 ‘심리검사’라는 분야가 언제, 어떤 이유로 처음 개발된 것인지는 더욱 모른다. 최소한 이 글을 보며 어떤 것을 기준으로 심리검사의 신뢰성을 판단할수 있을지 알게 하고 싶었다. 서양에서의 역사는 대략 190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며, 특히 세계 1차대전 때부터 심리검사의 발달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국내에서는 좀더 늦은 1950년대였고, 그러다보니 서양의 검사를 그대로 번안하여 가져온 것도 많다. 그러나 그로부터 50년이 지난 지금은 우리나라의 한국가이던스, 중앙적성연구소, K.T.C. 등의 전문기관들이 좀더 우리나라 사람에게 맞는 검사들을 만들어냈다.
좋은 심리검사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타당도, 신뢰도, 객관도, 실용도 등 네 가지를 들고 있다. 이 네 가지 가운데 1차적 기준으로 타당도와 신뢰도를 요구하며, 제 2차적 기준으로 객관도와 실용도를 문제시하는데 평가도구의 비판 요인도 대부분 1차적 기준인 신뢰도와 타당도에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이 잘 갖춰 있는지 확인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다.
재미로 보는 가벼운 테스트야 웃어넘길 수 있는 것이지만, 전문기관에서 담당하는 심리검사는 한 사람의 인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만큼의 힘을 갖고 있다. 특히나 컴퓨터와 인터넷이라는 훌륭한 매체를 통해 앞으로 심리검사는 더 다양한 유형으로 발전해나갈 것이다. 그런 상황에서, 우리는 분명 제대로 분별해내는 눈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베어, 디어드리, 『융 : 분석심리학의 창시자』, 열린책들, 2008
브라운, F.G, 『교육 심리검사의 원리』, 원미사, 1999
브렘스, 크리스챤, 『심리상담과 치료의 기본기술』, 아카데미프레스, 2005
카버, 찰스 S, 『성격심리학 : 성격에 대한 관점들』, 학지사, 2005
마이어스, 대이비드 G, 『(마이어스의) 심리학개론』, 시그마프레스, 2008
펄빈, 로렌스 A, 『성격심리학』, 박학사, 2005
와그너, 『심리학 : 애니어그램으로 본 9가지 성격 유형』, 제롬 파라북스, 2006
프리덴버그, 리사, 『심리검사 : 설계, 분석 및 활용』, 시그마프레스, 2004
웰메스, 데이비드 G, 『심리학 연구방법』, 시그마프레스, 2006
웨딩, 대니, 『심리치료 사례 연구』, 학지사, 2006
강봉규, 『심리검사의 이론과 기법』, 동문사, 2000
김성곤, 『심리검사 이론과 실제』, 한국가이던스, 2000
김중술, 『사례로 읽는 임상심리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박경, 『심리검사의 이론과 활용』, 학지사, 2006
박아청, 『성격 심리학의 이해』, 교육과학사, 2001
안창일, 『임상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4
이부영, 『분석심리학 : C. G. Jung의 인간심성론』, 일조각, 1998
조성환, 『성격 : 성격! 뭐, 내가 다 아니까 중요하지 않다고? : MBTI와 Jung 심리학』, 한림미디어, 2002
최정윤, 『심리검사의 이해』, 시그마프레스, 2003
탁진국, 『심리검사 :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학지사, 1996
ㅁ. 실용도
- 한 검사도구가 경비와 시간 그리고 노력을 적게 들이고도 소기의 목적을 얼마나 달성할 수 있느냐의 정도를 말한다. 지시사항이 간단하고 분명하며, 검사문항의 수가 적당하여 검사실시가 용이해야 한다. 그리고 채점의 용이성과 결과 해석의 용이성, 그리고 검사 비용의 적절성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3. 결론
- 평소에 우리는 심리검사를 하며 이것을 어떤 이유로 신뢰해야할지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리고 ‘심리검사’라는 분야가 언제, 어떤 이유로 처음 개발된 것인지는 더욱 모른다. 최소한 이 글을 보며 어떤 것을 기준으로 심리검사의 신뢰성을 판단할수 있을지 알게 하고 싶었다. 서양에서의 역사는 대략 190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며, 특히 세계 1차대전 때부터 심리검사의 발달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국내에서는 좀더 늦은 1950년대였고, 그러다보니 서양의 검사를 그대로 번안하여 가져온 것도 많다. 그러나 그로부터 50년이 지난 지금은 우리나라의 한국가이던스, 중앙적성연구소, K.T.C. 등의 전문기관들이 좀더 우리나라 사람에게 맞는 검사들을 만들어냈다.
좋은 심리검사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타당도, 신뢰도, 객관도, 실용도 등 네 가지를 들고 있다. 이 네 가지 가운데 1차적 기준으로 타당도와 신뢰도를 요구하며, 제 2차적 기준으로 객관도와 실용도를 문제시하는데 평가도구의 비판 요인도 대부분 1차적 기준인 신뢰도와 타당도에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이 잘 갖춰 있는지 확인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다.
재미로 보는 가벼운 테스트야 웃어넘길 수 있는 것이지만, 전문기관에서 담당하는 심리검사는 한 사람의 인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만큼의 힘을 갖고 있다. 특히나 컴퓨터와 인터넷이라는 훌륭한 매체를 통해 앞으로 심리검사는 더 다양한 유형으로 발전해나갈 것이다. 그런 상황에서, 우리는 분명 제대로 분별해내는 눈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베어, 디어드리, 『융 : 분석심리학의 창시자』, 열린책들, 2008
브라운, F.G, 『교육 심리검사의 원리』, 원미사, 1999
브렘스, 크리스챤, 『심리상담과 치료의 기본기술』, 아카데미프레스, 2005
카버, 찰스 S, 『성격심리학 : 성격에 대한 관점들』, 학지사, 2005
마이어스, 대이비드 G, 『(마이어스의) 심리학개론』, 시그마프레스, 2008
펄빈, 로렌스 A, 『성격심리학』, 박학사, 2005
와그너, 『심리학 : 애니어그램으로 본 9가지 성격 유형』, 제롬 파라북스, 2006
프리덴버그, 리사, 『심리검사 : 설계, 분석 및 활용』, 시그마프레스, 2004
웰메스, 데이비드 G, 『심리학 연구방법』, 시그마프레스, 2006
웨딩, 대니, 『심리치료 사례 연구』, 학지사, 2006
강봉규, 『심리검사의 이론과 기법』, 동문사, 2000
김성곤, 『심리검사 이론과 실제』, 한국가이던스, 2000
김중술, 『사례로 읽는 임상심리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박경, 『심리검사의 이론과 활용』, 학지사, 2006
박아청, 『성격 심리학의 이해』, 교육과학사, 2001
안창일, 『임상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4
이부영, 『분석심리학 : C. G. Jung의 인간심성론』, 일조각, 1998
조성환, 『성격 : 성격! 뭐, 내가 다 아니까 중요하지 않다고? : MBTI와 Jung 심리학』, 한림미디어, 2002
최정윤, 『심리검사의 이해』, 시그마프레스, 2003
탁진국, 『심리검사 :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학지사, 199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