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197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지역사회 복지의 역사
2)10년 후 우리나라 사회복지에 대한 전망
참고자료
2)10년 후 우리나라 사회복지에 대한 전망
참고자료
본문내용
두로 떠오르는 문제들에 대한 안정화가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복지의 재분배적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현재와 같이 능력주의의 분배원칙이 적용된다면 재분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은 극소수이기 때문에 분배원칙의 기준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복지의 일차적인 주체는 국가여야 한다. 따라서 직업복지 및 자원복지는 최대한 장려하고 후원하되 국가복지의 보조역할을 하는 정도로 그 범위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직업복지와 자원복지에 관련된 재원은 국민들의 자발적이고 순수한 참여를 통해서 마련되어지게끔 부단한 자율성에 대한 논의와 그 대화의 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참고자료
-『한국의 복지정책과 국가 : Esping Andersen의 복지국가체제 3유형론의 관점에서』, 심남,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2
그리고 복지의 재분배적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현재와 같이 능력주의의 분배원칙이 적용된다면 재분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은 극소수이기 때문에 분배원칙의 기준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복지의 일차적인 주체는 국가여야 한다. 따라서 직업복지 및 자원복지는 최대한 장려하고 후원하되 국가복지의 보조역할을 하는 정도로 그 범위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직업복지와 자원복지에 관련된 재원은 국민들의 자발적이고 순수한 참여를 통해서 마련되어지게끔 부단한 자율성에 대한 논의와 그 대화의 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참고자료
-『한국의 복지정책과 국가 : Esping Andersen의 복지국가체제 3유형론의 관점에서』, 심남,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2
추천자료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운동과 관악사회복지에 대하여
[사회복지학]지역사회복지론-지역사회복지와교육
지역사회복지 현안과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의 역할에 대해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이념,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목적에 대해 제시한 후, 건강한 지...
지역사회복지와 네트워크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성격, 네트워크의 개념과 이론)
지역사회복지론 3공통) 지역사회복지실천의 모델인 로스만의 모델, 웨일과 갬블의 모델, 테일...
지역사회복지란 무엇인지에 대한 개념에 대하여 국내외 학자의 이론을 5개 이상 정리하고 여...
지역사회복지론3공통) 우선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과정을 교재 제5장에 소개된 네 단계(문제확...
[지역사회복지론 공통] 우선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과정을 교재 제5장에 소개된 네 단계(문제확...
[사회복지실천론] 사회통제적 성격과 지역사회환경과 생활개선의 의미를 기술하고 이 두 운동...
[지역사회복지론] 우선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과정을 교재 제5장에 소개된 네 단계(문제확인, ...
지역사회복지관의 주요사업 중 학습자가 지역사회에서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업 3가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