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학교 교육의 중요성
본론
1.초등학교 방과 후 학교(운영학교명, 계획 연도)
2.중학교 방과 후 학교
3.두 프로그램 비교
4.내가 운영하고 싶은 프로그램
결론-방과 후 학교
본론
1.초등학교 방과 후 학교(운영학교명, 계획 연도)
2.중학교 방과 후 학교
3.두 프로그램 비교
4.내가 운영하고 싶은 프로그램
결론-방과 후 학교
본문내용
갈아가면서 읽는 것으로 대신한다. 그러고 나서 서로 감상평을 말하도록 한다.
7주 차에는 편지를 쓸 것이다. 대상은 부모님, 형제, 자매, 친구, 군인 아저씨, 대통령님, 선생님 등 아무나 상관없다. 간단하게 편지의 형식에 대해 알려주고, 손 편지가 갖는 의미에 대해서 생각 할 시간을 갖도록 장려한다. 전달할 수 있는 대상이면 전달할 것임을 명시하고 편지를 쓰게 한다.
8주 차에는 산문을 쓰는 법에 대해서 배운다. 주제를 주고 그에 맞는 글을 쓰는 연습을 진행하는 데 이 때에 아이들은 완성 후 선생님에게 첨삭을 받는다. 완성하지 못한 글은 9주 차까지 연결해서 완성하도록 한다.
9주 차에는 8주 차에 작성하던 산문을 완성시키고, 이미 완성을 한 학생들에게는 4주 차에서 추천 했던 책을 읽게 한다.
10주~11주 차에는 초등학생들이 헷갈릴만한 맞춤법에 대한 교육을 진행한다. 다소 늦은 10주차가 와서 맞춤법에 대한 교육을 하는 것은 실제로 학생들의 글을 9주 간 관찰하면서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맞춤법, 띄어쓰기 등에 대해서 파악하여 가르치기 위함이다. 또한 맞춤법을 먼저 가르치면 거기에 너무 신경을 써서 자유로운 글쓰기에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맞춤법 교육을 뒤로 미루어 진행하는 것으로 한다.
12주 차에는 그동안 배웠던 모든 글 쓰는 것에 대한 경험과 지식을 동원하여 자유 주제로 글 한 편을 쓰는 것으로 한다.
13주 차에는 12주 차에 썼던 글에 대한 첨삭을 받고, 반 아이들과 공유한다. 학생들이 작성한 글을 제본하여 책 형태로 다시 학생들에게 전달한다.
이로써 13주에 걸친 글쓰기 교실은 끝이 난다.
결론-방과 후 학교
방과 후 학교가 학생들에 솔직히 큰 의미가 없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모두 경험한 사람으로서 방과 후 학교를 통해서 인생에 어떤 전환점을 맞거나, 신박한 경험을 하거나 했었던 적이 내 기억으로는 단 한 번도 없다.
하지만 방과 후 학교를 어떻게 기획하느냐에 따라서 분명 그 프로그램을 통해서 다른 세상에 눈을 뜨고, 힘든 마음을 위로 받을 학생이 생겨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위에 언급 되었던 많은 교육 프로그램이 아니라 학생들의 힘든 몸과 마음을 달랠 활동을 계획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집단 상담 같은 형태로 학생들의 현재 상태를 진단하고, 이겨 나갈 방법을 찾는 수업이 진행 되는 것도 좋다고 생각한다.
방과 후 학교를 통해 청소년 교육에 힘을 실을 수 있게 된다면 좋겠다.
7주 차에는 편지를 쓸 것이다. 대상은 부모님, 형제, 자매, 친구, 군인 아저씨, 대통령님, 선생님 등 아무나 상관없다. 간단하게 편지의 형식에 대해 알려주고, 손 편지가 갖는 의미에 대해서 생각 할 시간을 갖도록 장려한다. 전달할 수 있는 대상이면 전달할 것임을 명시하고 편지를 쓰게 한다.
8주 차에는 산문을 쓰는 법에 대해서 배운다. 주제를 주고 그에 맞는 글을 쓰는 연습을 진행하는 데 이 때에 아이들은 완성 후 선생님에게 첨삭을 받는다. 완성하지 못한 글은 9주 차까지 연결해서 완성하도록 한다.
9주 차에는 8주 차에 작성하던 산문을 완성시키고, 이미 완성을 한 학생들에게는 4주 차에서 추천 했던 책을 읽게 한다.
10주~11주 차에는 초등학생들이 헷갈릴만한 맞춤법에 대한 교육을 진행한다. 다소 늦은 10주차가 와서 맞춤법에 대한 교육을 하는 것은 실제로 학생들의 글을 9주 간 관찰하면서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맞춤법, 띄어쓰기 등에 대해서 파악하여 가르치기 위함이다. 또한 맞춤법을 먼저 가르치면 거기에 너무 신경을 써서 자유로운 글쓰기에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맞춤법 교육을 뒤로 미루어 진행하는 것으로 한다.
12주 차에는 그동안 배웠던 모든 글 쓰는 것에 대한 경험과 지식을 동원하여 자유 주제로 글 한 편을 쓰는 것으로 한다.
13주 차에는 12주 차에 썼던 글에 대한 첨삭을 받고, 반 아이들과 공유한다. 학생들이 작성한 글을 제본하여 책 형태로 다시 학생들에게 전달한다.
이로써 13주에 걸친 글쓰기 교실은 끝이 난다.
결론-방과 후 학교
방과 후 학교가 학생들에 솔직히 큰 의미가 없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모두 경험한 사람으로서 방과 후 학교를 통해서 인생에 어떤 전환점을 맞거나, 신박한 경험을 하거나 했었던 적이 내 기억으로는 단 한 번도 없다.
하지만 방과 후 학교를 어떻게 기획하느냐에 따라서 분명 그 프로그램을 통해서 다른 세상에 눈을 뜨고, 힘든 마음을 위로 받을 학생이 생겨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위에 언급 되었던 많은 교육 프로그램이 아니라 학생들의 힘든 몸과 마음을 달랠 활동을 계획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집단 상담 같은 형태로 학생들의 현재 상태를 진단하고, 이겨 나갈 방법을 찾는 수업이 진행 되는 것도 좋다고 생각한다.
방과 후 학교를 통해 청소년 교육에 힘을 실을 수 있게 된다면 좋겠다.
키워드
추천자료
방과후 보육 보고서
방과 후 아동지도
[선진국]선진국의 방과후교육, 선진국의 생명과학산업, 선진국의 여성농업인지원, 선진국의 ...
[초등도덕과교육]초등학교 6학년 도덕과(도덕교육) 목표와 실태, 초등학교 6학년 도덕과(도덕...
평생학습(평생교육) 특성, 평생학습(평생교육) 배경, 평생학습(평생교육) 실태, 평생학습(평...
방과 후 교실 운영 사례
방과후 아동지도
남북경협(남북경제협력) 지원체제(지원체계), 중소기업행정, 인터넷쇼핑몰 지원체제(지원체계...
[공부방][웹공부방][방과후공부방][사이버]공부방의 변화과정, 공부방과 방과후공부방, 공부...
[진로의식][진로의식 의미][진로의식 성숙][진로계획][진로탐색][진로지도]진로의식의 의미, ...
2003년(2000년대) 미디어교육, 2003년(2000년대) ICT활용교육과 IT(정보기술)교육, 2003년(20...
[방과후放課後 아카데미 사업] 방과후 아카데미 사업 개요, 방과후 아카데미 사업 특징, 방과...
(청소년복지론 공통)청소년복지 실천현장의 인터넷 방문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