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란드 [Greenland]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그린란드 [Greenland]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그린란드(Greenland)


※ 그린란드의 어원
※ Greenland가 그린랜드가 아니라 그린란드로 표기되는 이유
※ 그린란드의 기초정보
※ 노르웨이령 그린란드의 시작
※ 그린란드의 기후
(1)현재의 기후
☆ 그린란드의 온난화에 대한 의견 대립
(2) 과거의 기후
※ 그린란드는 왜 얼음에 덮이게 되었을까?
※ 에이리크 토르발드손
※ 그린란드의 역사
※ 그린란드의 마을과 주민, 삶
Ⅰ.인구 및 인종
Ⅱ. 언어와 교육
Ⅲ. 의식주
Ⅳ. 사냥
Ⅴ. 동토의 땅에서의 운송수단. 개썰매
Ⅵ. 그린란드의 마을들과 문화들
※ 그린란드의 정치․사회
※ 덴마크의 정치
※ 그린란드의 자치권, 독립
※ 그린란드의 생물
※ 그린란드의 지구 온난화

본문내용

해 실시되는 행정권을 가지며, 국회의 동의하에 외교상 국가를 대표한다. 헌법은 1849년에 발포된 뒤, 1915년 부인참정권 등 선거권이 확대된 신헌법이 제정되고, 1920년과 1953년 개정되었다. 국회는 1953년의 헌법개정으로 양원제에서 단원제로 바뀌었으며, 임기 4년의 의원은, 정원 179명 중 135명은 선거구에서 직접선거로 선출되고, 40명은 정당별 득표율에 의해 각 정당에, 나머지 4명은 자치령인 페로제도와 그린란드에 각각 2명씩 배분된다.
※ 그린란드의 자치권, 독립
그린란드(Greenland)는 982년 노르웨이인 에리크가 최초로 섬에 상륙하여 ‘초록섬’이라고 명명하였다.985년부터 이주가 시작되었고, 1261년 노르웨이가 지배했으나, 그 후 약 300년 동안은 일반사람들의 관심 밖에 있었다. 16세기 이후 북서항로의 개척자들이 다시 발견하여, 1721년 선교사 H.에게데가 고트호브에 식민지를 개척함으로써 오늘날 덴마크령의 기초를 닦았다.
1600년대에 덴마크의 주권이 확립되기는 했지만, 1924년 노르웨이는 2세기의 아이슬란드인 이주민들을 근거 삼아 그린란드에 대해 맹렬하게 소유권을 주장했다. 그러나 이 주장은 각하되었고 1953년 국제 재판소는 그린란드에 대한 덴마크의 소유권을 비준했다. 이런 상태는 20년간 계속되었지만 그린란드 인들은 일어나 더 많은 자치권을 얻어내었다. 1979년 덴마크 정부는 그린란드의 자치를 인정했고 1998년에는 그린란드 인들이 원하는 대로 독립의 권리를 승인했다.
※ 그린란드의 생물
대부분의 사람들은 극지방에는 추운 겨울만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것은 분명한 오해이다. 북극은 짧지만 여름이 존재하고, 그 여름동안 생물들은 다채로운 생태계를 보여줍니다. 백야 현상으로 햇볕은 24시간 내내 에너지를 뿜어내기 때문에 기온이 영상으로 올라가 반팔 차림으로도 지낼 수 있다. 기온이 영상으로 올라가는 여름에 2~3주 동안 극성스럽게 사람들을 괴롭히다가, 기온이 낮아지면 흔적도 없이 사라진다.
그린란드는 남부 일부 지방을 제외하고 북위 66도 이북인 북극지방에 위치하고 있다. 남부지방도 북극권 기후대와 유사한 툰드라 기후대에 속해있기 때문에 아무리 한 여름이라고 해도 풀과 10cm미만의 작은 꽃 이외에 나무는 생존할 수 없다.
그러나 나르사수아끄의 뒷 산에는 사람 키 높이 만한 자작나무와 버드나무 소나무, 낙엽송 등이 제법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나무가 우거진 숲에선 소규모 이긴 하지만 양봉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린란드와 나무 그리고 그린란드와 꿀벌이 조화를 이루는 것 같진 않지만 엄연한 사실이다. 여름에 나르사수아끄에선 다섯 곳에서 약 6만 마리의 벌이 연간 300kg의 꿀을 생산한다.
나르사수아끄의 뒷산에 있는 나무는 사람들이 인위적으로 추위에 강한 나무를 심은 것이다. 낮은 기온 때문에 성장은 더디지만, 이식된 나무들은 현재에도 잘 자라고 있다. 그러나 이곳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 나무는 생존할 수 없기 때문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린란드 남부에 자리잡은 그린란드 농업연구소에서는 감자, 브로콜리, 양배추 등 농작물과 국화, 제비꽃, 피트니아 등 화초 50여종과 젖소 6마리가 시험적으로 재배되고 사육되고 있다. 이곳은 북극지역에서 농업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툰드라 농업의 중심지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선 최근 사과와 딸기 재배도 시험 중이다. 그린란드에서는 추위 때문에 해충이 살지 않아서 모든 작물은 무공해 작물이다.
그린란드 바다에서는 사냥꾼들의 표적이 되는 밍크고래와, 바다표범이 살고 있다. 바다표범의 먹이인 대구 청어와 대구의 먹이인 새우들이 먹이사슬을 이루면서 바다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다. 육지에서 동물은 북극곰·북극토끼·북극여우·북극이리·순록·사향우(麝香牛)·양이 잘 어울려 살고 있다.
동물들 중에는 가장 중요한 동물이 있다. 바로 썰매를 끄는 개들이다. 그린란드는 여름 한철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연안이 혹독한 추위로 얼어버린다. 그때 유일한 운송수단이 바로 개썰매이다. 사람들은 이 개들이 끄는 썰매를 타고 이동한다. 그린란드 5만6천명의 인구와 맞먹는 존재로 살아가는 가장 중요한 동물이다.
※ 그린란드의 지구 온난화
사람들의 생활방식은 지구 온난화 때문에 많이 변했다. 예전에는 마을 젊은이들은 대부분 사냥꾼이었다. 그런데 지금은 모두 외지로 나가고, 늙은 사냥꾼만 남아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자연히 모피산업도 줄어들었다. 래브라도해에 면한 카코르톡 마을은 바다표범 모피·가죽 가공으로 유명하다. 그런데 한때는 15만마리 분량에 이르던 바다표범 가죽이 지난해에는 9만마리 분량 밖에 안 왔다. 그린란더들은 기후변화가 던져준 희망과 숙제 사이에서 꿈을 실현시키려 분투하고 있다고 더타임스는 전했다.
바다표범의 사냥뿐만이 아니다. 숲을 구경해 볼 수도 없었던 그린란드 사람들은, 숲을 가질 수 있게 되리라는 희망도 생겼다. 1893년 덴마크의 한 식물학자가 바이킹 마을에 소나무 네 그루를 심었다. 이 나무들은 아직까지 살아있으나, 100여년 동안 조금씩 자라나는데 그쳤다. 그런데 기후가 바뀌면서 최근 몇년새 갑자기 나무들의 생장 속도가 빨라졌다. 자치정부는 나무를 더 심어 100㏊ 정도의 ‘진짜 숲’을 만들 계획이다. 그린란드 최초의 숲이 생겨날 날도 머지 않았다고 사람들은 기대하고 있다.
외국 광산회사들도 잇달아 진출하고 있다. 빙하가 물러나면서 광산 개발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영국 광업회사 앵거스 앤드 로스는 다음달 그린란드 서부의 아연광산을 다시 문 열 계획이다. 블랙앤젤이라는 이름의 이 광산은 1989년 한파로 빙하에 덮인 뒤 계속 닫혀있었다.
금과 다이아몬드를 찾는 ‘미네랄 사냥꾼’들도 몰려들고 있다. 그린란드는 여름에도 땅을 파기가 쉽지 않아 광업이 활성화되지 못했지만, 조사가 진행된다면 상당한 규모의 광물·에너지 자원을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예전 같으면 채굴 비용이 비싸 다들 엄두도 안 냈겠지만 고유가·자원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동토의 광산들까지 파헤쳐질 처지가 된 것이다. 업체들은 “요즘 같은 상황에서는 이 지역 광산들도 충분히 수지가 맞을 것”이라며 기대에 들떠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3.10.23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41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