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회복지실천의 기록
I. 기록의 형태
1. 메모
2. 녹음과 녹화
II. 기록의 내용과 목적
1. 기록의 내용
2. 기록의 목적 및 활용
3. 기록의 종류
1) 과정기록
2) 요약기록
3) 시청각 자료의 이용
4) 문제 중심 기록
* 참고문헌
I. 기록의 형태
1. 메모
2. 녹음과 녹화
II. 기록의 내용과 목적
1. 기록의 내용
2. 기록의 목적 및 활용
3. 기록의 종류
1) 과정기록
2) 요약기록
3) 시청각 자료의 이용
4) 문제 중심 기록
*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는 않는다.
3) 시청각 자료의 이용
비디오나 오디오를 통한 촬영과 녹음 등은 클라이언트에게 유익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왜냐하면 클라이언트 자신의 상호작용을 있는 그대로의 생생한 그림으로 보여주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목소리를 듣게 되었을 때 자신이 분명하게, 알아들을 수 있을 만큼 큰 소러로 말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시청각 자료이용 시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반드시 클라이언트의 허락을 받아야 한다 : 클라이언트는 녹화 초기에 불편해할 수도 있지만 몰입하면 녹화한다는 사실을 잊게 된다. 특히 첫 녹화 이후에는 의식하는 정도가 현저히 줄어들 수 있다. 수퍼바이저가 한 쪽에서만 볼 수 있는 일방경(one way mirror)을 통해서 상담 장델을 관찰하면서 피드백을 주는 경우에도 클라이언트에게 허락을 받아야 한다.
2/ 녹화된 회기(session)를 요약하여 기록하여야 한다.,
3/ 수퍼바이저와 함께 테이프의 요약기록을 검토하여야 한다.
4/ 수퍼바이저와의 토론을 통하여 배운 것을 업무에 적용하고, 기관이 사용하는 양식대로 보고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4) 문제 중심 기록(POR :Problem-Orientated Record)
보건 및 정신보건 세팅에서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형식이며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주요 부분으로 나눈다.
1/ 데이터베이스(data base) : 수집된 자료와 정보
2/ 문제목록 :자료수집과정 동안 정의된 모든 문제들의 목록을 작성
3/ 초기 계획, 서비스 제공자들은 목록으로 작성된 문제들의 각각에 대한 계획을 세운다.
4/ 진행 노트: 계획이 세워지고 실행된 이후에 진행과 변화는 문제번호와 제목에 따라 메모된다.
이러한 기록의 형식에는 SOAP 기록이 있다. 일반적으로 SOAP는P0R(문제 중심 기록)에서 나왔으나 POR 체계와는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 참고문헌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현대 복지국가의 사회복지교육 : 현외성 저, 공동체,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3) 시청각 자료의 이용
비디오나 오디오를 통한 촬영과 녹음 등은 클라이언트에게 유익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왜냐하면 클라이언트 자신의 상호작용을 있는 그대로의 생생한 그림으로 보여주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목소리를 듣게 되었을 때 자신이 분명하게, 알아들을 수 있을 만큼 큰 소러로 말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시청각 자료이용 시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반드시 클라이언트의 허락을 받아야 한다 : 클라이언트는 녹화 초기에 불편해할 수도 있지만 몰입하면 녹화한다는 사실을 잊게 된다. 특히 첫 녹화 이후에는 의식하는 정도가 현저히 줄어들 수 있다. 수퍼바이저가 한 쪽에서만 볼 수 있는 일방경(one way mirror)을 통해서 상담 장델을 관찰하면서 피드백을 주는 경우에도 클라이언트에게 허락을 받아야 한다.
2/ 녹화된 회기(session)를 요약하여 기록하여야 한다.,
3/ 수퍼바이저와 함께 테이프의 요약기록을 검토하여야 한다.
4/ 수퍼바이저와의 토론을 통하여 배운 것을 업무에 적용하고, 기관이 사용하는 양식대로 보고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4) 문제 중심 기록(POR :Problem-Orientated Record)
보건 및 정신보건 세팅에서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형식이며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주요 부분으로 나눈다.
1/ 데이터베이스(data base) : 수집된 자료와 정보
2/ 문제목록 :자료수집과정 동안 정의된 모든 문제들의 목록을 작성
3/ 초기 계획, 서비스 제공자들은 목록으로 작성된 문제들의 각각에 대한 계획을 세운다.
4/ 진행 노트: 계획이 세워지고 실행된 이후에 진행과 변화는 문제번호와 제목에 따라 메모된다.
이러한 기록의 형식에는 SOAP 기록이 있다. 일반적으로 SOAP는P0R(문제 중심 기록)에서 나왔으나 POR 체계와는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 참고문헌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현대 복지국가의 사회복지교육 : 현외성 저, 공동체,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추천자료
사회복지실천 모델 중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자신이 활용하고 싶은 모델에 대하여 개념 및 배...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인간발달의 이해 및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 발달의 개념, 발달이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환경의 이해 및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 사회환경의 개념, 사회...
클라이언트 중심모델의 등장배경 및 주요개념과 실천개념을 정리하고, 사회복지에 미친 영향...
[사회복지실천론] 접수단계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활동 - 사회복지실천의 과정과 접수의...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 모델(문제해결과정) - 통합적 접근 모델로서의...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의 등장배경(통합적 접근의 시도 배경과 이유, ...
[사회복지실천론] 가족 수준의 사회복지실천의 필요성과 목적, 가족의 개념, 가족의 형태, 가...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 모델(문제해결과정) - 통합적 접근 모델로서의...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 과정에서의 평가에 대한 이해 - 사회복지실천 평가의 필요성...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의 등장배경(통합적 접근의 시도 배경과 이유, ...
[사회복지실천론] 가족 수준의 사회복지실천의 필요성과 목적, 가족의 개념, 가족의 형태, 가...
사회복지정책의 개념과 특성 사회복지정책과 사회복지실천의 관계 사회복지정책과정 사회복지...
사회복지실천론)매슬로우의 욕구 5단계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시고 사회복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