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1회기
2. 2회기
3. 3회기
4. 4회기
5. 5회기
6. 6회기
7. 7회기
8. 8회기
참고자료
2. 2회기
3. 3회기
4. 4회기
5. 5회기
6. 6회기
7. 7회기
8. 8회기
참고자료
본문내용
결혼생활에 혹이 영향을 미치고 있지는 않은지 확인한다. 배우자의 원 가족과 관계 맺기를 시행한다. 배우자 가족에 대한 기대를 어떻게 다룰 수 있는지 관련된 문제들은 어떻게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난 이후에 사랑 만들기 계획서를 다시 과제로 받는다.
7. 7회기
7회기의 주제는 ‘부부의 역할 수행’이다. 변화해야할 영역은 서로 잘 수행해온 역할을 확인하고 이를 칭찬하며 적극 지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배우자에게 기대하는 역할이 있다면 이 역시 확인하고 조정한다. 자녀 양육의 책임은 부부 모두의 공동 역할임을 인식하고 함께 나누는 방법을 찾는다. 세부 활동은 다음과 같다. 나의 배우자가 기대하는 부부역할을 확인한다. 그동안 잘 수행해온 역할을 확인하고 배우자에게 기대하는 역할을 확인하며 이에 대한 협의를 진행한다. 자녀양육에 관해서는 그 어려움을 함께 공유하고 나누는 시간을 가진다. 그 과정에서 책임감을 나눈다. 마지막은 역시나 과제를 할당받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8. 8회기
마지막 8회기의 주제는 ‘부부의 긍정적인 미래 설계’이다. 변화할 영역으로는 프로그램을 통해 강화된 요인들을 바탕으로 부부의 긍정적인 미래를 설계하는 것이다. 그리고 팀원들과 프로그램의 종결을 축하하는 것이다. 세부 활동으로는 부부 꼴라쥬를 만든다. 그리고 결혼식 때 말고 새로운 언약서를 작성한다. 또한 부부 및 구성원들과 프로그램 종결을 축하하는 피드백을 나누고 서로를 축복해주는 시간을 갖는다.
참고자료
『결혼 초기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김희진, 평택대학교. 2005
7. 7회기
7회기의 주제는 ‘부부의 역할 수행’이다. 변화해야할 영역은 서로 잘 수행해온 역할을 확인하고 이를 칭찬하며 적극 지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배우자에게 기대하는 역할이 있다면 이 역시 확인하고 조정한다. 자녀 양육의 책임은 부부 모두의 공동 역할임을 인식하고 함께 나누는 방법을 찾는다. 세부 활동은 다음과 같다. 나의 배우자가 기대하는 부부역할을 확인한다. 그동안 잘 수행해온 역할을 확인하고 배우자에게 기대하는 역할을 확인하며 이에 대한 협의를 진행한다. 자녀양육에 관해서는 그 어려움을 함께 공유하고 나누는 시간을 가진다. 그 과정에서 책임감을 나눈다. 마지막은 역시나 과제를 할당받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8. 8회기
마지막 8회기의 주제는 ‘부부의 긍정적인 미래 설계’이다. 변화할 영역으로는 프로그램을 통해 강화된 요인들을 바탕으로 부부의 긍정적인 미래를 설계하는 것이다. 그리고 팀원들과 프로그램의 종결을 축하하는 것이다. 세부 활동으로는 부부 꼴라쥬를 만든다. 그리고 결혼식 때 말고 새로운 언약서를 작성한다. 또한 부부 및 구성원들과 프로그램 종결을 축하하는 피드백을 나누고 서로를 축복해주는 시간을 갖는다.
참고자료
『결혼 초기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김희진, 평택대학교. 2005
키워드
추천자료
가족생활교육내용과 교육사의 자질
가족생활교육의 개요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의 가족구조와 가치관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에 따른 가족생활교육의 필요성에 대...
가족생활교육, 아동문학, 아동발달
가족생활교육의 주체에 대해 논하시오.
가족생활교육 실시과정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문제들은 어떤 것이 있으며, 그 문제를 어떻게...
가족전문가 시대에 대해 설명하고(도래원인, 필요성, 양상 등) 이와 관련하여 가족생활교육사...
[가족생활家族生活교육] 애착의 정의와 유형(분리불안, 안정애착, 불안정애착) 및 애착의 단...
노년기 혹은 이혼가정 혹은 재혼가족의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세요
한 부모가족의 형태 중 미혼모 또는 미혼부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
가족생활교육의 전망
가족생활교육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행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요소들과 전략 등이 필요한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