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김유정(金裕貞, 1908~1937)
●소낙비●
1. 표층서사구조
2. 심층서사구조
●만무방●
1. 표층서사구조
2. 심층서사구조
●소낙비와 만무방●
1. 1930년대 우리 농촌의 현실
2. 궁핍의 의미
3. 아이러니(irony) 기법
●소낙비●
1. 표층서사구조
2. 심층서사구조
●만무방●
1. 표층서사구조
2. 심층서사구조
●소낙비와 만무방●
1. 1930년대 우리 농촌의 현실
2. 궁핍의 의미
3. 아이러니(irony) 기법
본문내용
시대적 상황에 기인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그러나 이 같은 응칠의 행위가 오히려 농민들로부터 선망의 대상이 되고 있음은 왜곡된 사회에 대한 냉소주의의 표현이라 볼 수 있다. 인물들의 현실 개선의 의지는 긍정적인 방향이 아니라 부정적인 방향으로 제시된다. 그들은 절망적인 현실 앞에서 반사회적인 수단-도박, 절도 등에 의해 현실의 극복을 시도하지만 번번이 좌절되고 만다. 작가가 제시한 인물들의 행위가 타락한 방식으로 제시되어 있음은 타락한 사회상을 있는 그대로 제시하려는 의도로 볼 수 있다. 작가는 1930년대의 현실 상황을 반어적으로 파악했으며, 그것은 김유정에게 있어 수사적인 차원이 아니라, 현실의 구조를 인식하고 왜곡된 사회 현실의 모순에 정면으로 대응하는 방식이다. 당시 소작인들의 궁핍상을 반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소설 미학의 측면에서도 뛰어난 성과를 보여 준다. 주인공의 대범하고 적극적인 행동이 반사회적인 것일수록, 그것이 농민 계층의 꿈이 되고 부러움을 사고 있다는 사실은 서글픈 아이러니이다. 이는 30년대와 같은 모순된 사회에서 응칠과 같은 반사회적인 행동 양식이야말로 당대의 비참한 상황을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이라는 씁쓸한 메시지를 환기하고 있다.
추천자료
<무진기행>의 표층, 심층 서사구조분석
포석 조명희(抱石 趙明熙)의 「낙동강」 - 표층서사구조, 심층서사구조
혈(血)의 누(淚) (혈의 누 작품분석, 작가 이인직, 표층서사구조, 심층서사구조)
호랑이 젖꼭지 - 작가 김승희, 층 서사구조, 심층 서사구조
윤대녕의 『천지간 (天地間)』 분석!! - 표층서사구조 , 심층서사구조
성석제의 『첫사랑』 - 줄거리, 표층 서사 구조, 심층 서사 구조
김동인(金東仁)의 『배따라기』, 『광화사 (狂&#30059;師)』 분석 (표층서사구조, 심층서...
김인숙의 「바다와 나비」 (등장인물, 표층 서사구조, 심층 서사구조, 이분법적 구조, 그레마...
황순원(黃順元)의 『독 짓는 늙은이』 요약 분석 (표층서사구조, 심층서사구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