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정치와경제>>가공식품 식품첨가물 분석(주요 첨가물의 특성, 건강에 대한 영향과 관련한 논란, 평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계의정치와경제>>가공식품 식품첨가물 분석(주요 첨가물의 특성, 건강에 대한 영향과 관련한 논란, 평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가공식품(비비고 왕만두)의 식품첨가물 분석
1) 주요 첨가물
2) 주요 첨가물의 특성과 건강에 대한 영향

2. 평가 및 논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류하면 다음과 같다.
비교적 안전한
첨가물
베이킹파우더 등의 팽창제, 염화마그네슘 등의 응고제, 수산화칼슘 등의 경화제
주의를 요하는
첨가물
화학조미료(글루탐산나트륨, 아미노산류 등), 산미제(구연산, 젖산, 호박산, 아스코르빈산, 비타민 등), 각종 착향료, 착색료(치자색소, 카로티노이드, 캐러멜 색소, 홍국색소 등), 감미료(소르비톨, 액상과당, 스테비오사이드, 감초 등), pH조정제(초산나트륨, 구연산나트륨, 사과산타트륨, 글루코노델타락톤 등), 색소유지제(니코틴산아미드, 아스코르빈산나트륨, 명반 등), 품질개량제(프로필렌글리콜, 인산염, 명반), 천연보존료(폴리리신, 이리단백, 펙틴화합물), 면류 품질개량제(견수, 탄산칼슘, 프로필렌글리콜 등)
독성이 강하여
가능한 구입하지
않아야 할 첨가물
합성착색료적색 (102호, 적색 3호, 황색 4호, 황색 5호, 청색 1호, 청색 2호 등), 합성감미료(사카린나트륨,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등), 발색제(아질산나트륨), 산화방지제(디부틸히드록시툴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등), 합성보존료(소르빈산, 소르빈산칼륨, 안식향산부틸 등), 항곰팡이제(OPP, TBZ)
<표1>
“비비고 왕만두”의 경우 첨가물을 대충 보면, 독성이 강한 첨가물은 들어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표기된 복합조미식품의 경우 구체적으로 어떤 성분이 들어갔는지 불명확하다. 또한 MSG 즉 글루탐산나트륨은 들어가지 않았다 하더라도, 아미노산류인 향미증진제가 들어갔고, 품질개량제로서 인산염 등 주의를 요하는 성분이 첨가되었다.
수많은 가공식품이 존재하는 가운데 “비비고 왕만두”를 저급한 식품으로 분류할 일은 없을 것이다. 우리는 식품첨가물이 유해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기에, 가능한 가공 식품 구입은 자제하거나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현명하다는 생각이다. 부득이 구입할 시에는 함유 성분을 꼼꼼히 따져보는 것이 좋겠다. 되도록 첨가물을 넣지 않을 정도의 덜 가공된, 단순 가공식품을 구입하도록 하자.
현대 식생활에서 모든 음식을 직접 조리해서 먹는 것은 참으로 힘든 일이다. 어쨌든 신선식품을 구입하여 집에서 직접 요리해 먹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인 것은 당연하다.
참고문헌
와타나베 유지 저/김정환 역(2014). 먹으면 안되는 10대 식품첨가물. 싸이프레스
아베 쓰카사 저/정만철 역(2016). 인간이 만든 위대한 속임수 첨가물2. 국일미디어
황태영(2014). 식품첨가물의 숨겨진 비밀. 경향BP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03.08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71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