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콜버그의 도덕성 이론 단계
2. 하인츠의 딜레마를 토대로 콜버그의 도덕성 이론 단계에 따른 하인츠의 행동 평가
Ⅲ 결론 및 의견
참고문헌
Ⅱ 본론
1. 콜버그의 도덕성 이론 단계
2. 하인츠의 딜레마를 토대로 콜버그의 도덕성 이론 단계에 따른 하인츠의 행동 평가
Ⅲ 결론 및 의견
참고문헌
본문내용
▶ 옳은 행동의 이유는 합리적 인간으로서 원리의 타당성을 알고 그것에 충성하기 때문이다.
② 하인츠 딜레마: 6단계에서는 다음의 두 가지 반응을 예상할 수 있다.
▶찬성: 하인츠는 도덕적으로 볼 때 약을 훔칠 수밖에 없다. 생명과 개인의 기본권이 법에
의해 보장을 받지 못할 때, 그 원리를 확보하기 위해서 그 법을 위반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약사는 일반적인 법의 관념에 따라 행동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재산권을 사실상 포기한 거나 마찬가지이다.
▶반대: 자기 부인의 생명을 포함하여 어떤 사람의 생명이건 간에 생명을 구하기 위해 약을 훔치는 행위는 도덕적으로 용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 약을 필요로 하는 다른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도 마찬가지로 그 약에 대한 동등한 권리를 갖고 있다. 만약 한번 복용할 약 밖에 없다면 누가 그 약을 차지할 것인가를 보다 공정한 방식으로 결정해야 할 것이다.
찬성의 경우는 보편적 관점에서 하인츠가 약을 훔치는 행위를 도덕적으로 정당화될 뿐만 아니라 도덕적인 의무라고 본다. 약을 훔쳐서 생명을 구하지 않으면, 생명이 위태로운 사람은 공정한 대우를 받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반대의 경우는 생명의 존귀함을 인정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가 언제든지,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약의 취사선택은 보다 공정한 방식에 의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③ 사회적 관점: 이 단계는 사회적 협정을 이끌고 그것의 바탕이 되는 도덕적 관점을 취한다. 도덕성의 본질, 즉 다른 사람을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서 존중하는 기본 도덕적 전제를 인식하는 합리적인 개인적 관점을 취한다. 정의라고 하는 보편적인 원리는 인식될 수 있는 원리일 뿐만 아니라 항상 특정한 결정을 하는데 바탕이 되어 왔던 원리인 것이다.
Ⅲ 결론 및 의견
콜버그는 인간의 도덕 발달 단계를 3수준 6단계로 나누어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3수준이란 6단계를 2개의 단계를 한 묶음으로 엮어 3수준으로 구분해 놓은 것으로서 인습 이전 수준, 인습수준, 인습 이후 및 원리의 수준이다. 인습 이전 수준에서는 제 1단계와 2단계인 벌과 복종의 단계, 개인적·도구적 목적과 교환의 단계가 포함되며, 인습 수준에서는 제 3단계와 4단계인 개인 간의 기대·관계·공조의 단계와 사회 체제 및 양심 유지의 단계가 포함되며, 인습 이후 및 원리의 수준에서는 제 5단계와 6단계인 권리 우선과 사회 계약 또는 유용성의 단계와 보편적 윤리적 원리의 단계가 포함된다. 이러한 단계들을 바탕으로 상위의 단계로 나아갈 때 정의로운 공동체 속에서 참여적 민주주의의 경험을 통해 참된 도덕적 성숙을 기대할 수 있다고 보았다. 즉, 콜버그는 그의 단계적 도식을 개방함에 있어서, 피아제가 도덕성의 발달 단계를 자기 규제성 여부를 근거로 해서 두 단계로 나누었으며, 기본 개념에 입각하고 분석하여 보다 정교하고 종합적이며 논리적으로 일관성을 갖는 구조를 갖추려고 시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임규혁임웅(2008), 교육심리학(2판). 학지사
김민남 외 역(2000), 도덕발달의 철학, 교육과학사
② 하인츠 딜레마: 6단계에서는 다음의 두 가지 반응을 예상할 수 있다.
▶찬성: 하인츠는 도덕적으로 볼 때 약을 훔칠 수밖에 없다. 생명과 개인의 기본권이 법에
의해 보장을 받지 못할 때, 그 원리를 확보하기 위해서 그 법을 위반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약사는 일반적인 법의 관념에 따라 행동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재산권을 사실상 포기한 거나 마찬가지이다.
▶반대: 자기 부인의 생명을 포함하여 어떤 사람의 생명이건 간에 생명을 구하기 위해 약을 훔치는 행위는 도덕적으로 용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 약을 필요로 하는 다른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도 마찬가지로 그 약에 대한 동등한 권리를 갖고 있다. 만약 한번 복용할 약 밖에 없다면 누가 그 약을 차지할 것인가를 보다 공정한 방식으로 결정해야 할 것이다.
찬성의 경우는 보편적 관점에서 하인츠가 약을 훔치는 행위를 도덕적으로 정당화될 뿐만 아니라 도덕적인 의무라고 본다. 약을 훔쳐서 생명을 구하지 않으면, 생명이 위태로운 사람은 공정한 대우를 받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반대의 경우는 생명의 존귀함을 인정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가 언제든지,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약의 취사선택은 보다 공정한 방식에 의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③ 사회적 관점: 이 단계는 사회적 협정을 이끌고 그것의 바탕이 되는 도덕적 관점을 취한다. 도덕성의 본질, 즉 다른 사람을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서 존중하는 기본 도덕적 전제를 인식하는 합리적인 개인적 관점을 취한다. 정의라고 하는 보편적인 원리는 인식될 수 있는 원리일 뿐만 아니라 항상 특정한 결정을 하는데 바탕이 되어 왔던 원리인 것이다.
Ⅲ 결론 및 의견
콜버그는 인간의 도덕 발달 단계를 3수준 6단계로 나누어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3수준이란 6단계를 2개의 단계를 한 묶음으로 엮어 3수준으로 구분해 놓은 것으로서 인습 이전 수준, 인습수준, 인습 이후 및 원리의 수준이다. 인습 이전 수준에서는 제 1단계와 2단계인 벌과 복종의 단계, 개인적·도구적 목적과 교환의 단계가 포함되며, 인습 수준에서는 제 3단계와 4단계인 개인 간의 기대·관계·공조의 단계와 사회 체제 및 양심 유지의 단계가 포함되며, 인습 이후 및 원리의 수준에서는 제 5단계와 6단계인 권리 우선과 사회 계약 또는 유용성의 단계와 보편적 윤리적 원리의 단계가 포함된다. 이러한 단계들을 바탕으로 상위의 단계로 나아갈 때 정의로운 공동체 속에서 참여적 민주주의의 경험을 통해 참된 도덕적 성숙을 기대할 수 있다고 보았다. 즉, 콜버그는 그의 단계적 도식을 개방함에 있어서, 피아제가 도덕성의 발달 단계를 자기 규제성 여부를 근거로 해서 두 단계로 나누었으며, 기본 개념에 입각하고 분석하여 보다 정교하고 종합적이며 논리적으로 일관성을 갖는 구조를 갖추려고 시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임규혁임웅(2008), 교육심리학(2판). 학지사
김민남 외 역(2000), 도덕발달의 철학, 교육과학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