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환경>> 태양광발전의 경제성이 앞으로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조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명과환경>> 태양광발전의 경제성이 앞으로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태양광 발전의 문제는 경제성
2. 태양광발전에 큰 장애 요소
1) 일정하지 않은 발전량
2) 토지비용
3) 태양전지의 고효율화
4) 제조 및 경제 달성이 관건
3. 태양광 시설의 확장례: 농업공존형 태양광 발전
4. 정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찾아볼 수 있다. 농업공존형 태양광 농지에서 경작한 쌀과 미설치 비교부지에서 자란 벼의 생육상태를 비교한 후 추수를 진행한 결과 태양광이 설치된 곳의 벼와 미설치 농지 벼의 생육상태가 거의 같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모듈 설치 농지의 재배면적은 비교부지 대비 85.9퍼센트였고, 태양광 발전 설비 설치 면적을 고려하면, 재배면적에서도 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농업공존형 태양광은 농지 난개발을 최소화하며, 추가로 태양광 시설도 보급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실증 연구 중인 국내 농업공존형 태양광은 아직 농업진흥지역에서는 설치할 수 없다. 일본의 사례와 같이 농지 일시전용허가(구조물 기둥의 표면적만큼)를 통해 농업진흥지역에 제한적으로 농업공존형 태양광 시설 설치를 허용하면 무분별한 농지 난개발과 농지 침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업인에게 안정적인 소득을 보장할 수 있다. 다만 제도 도입을 위해서는 강력한 규제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일시적으로 전용하는 것인 만큼 경지면적 감소가 예상되거나 유사한 상황에 직면하면 태양광 발전소 허가를 취소하고, 시설물을 철거할 수 있는 규제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즉, 농업공존형 태양광은 농사+태양광 발전에서 농업이 우선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농업공존형 태양광이 아직 해외에서도 실증단계인 만큼 여러 분야의 연구개발을 필요로 한다. 농업공존형 시설에서 재배하기에 적합한 품종 발굴이 필요하고, 반대로 주요 품종에 맞는 태양광 시설도 필요하다. 벼 재배뿐만 아니라 밭작물 재배에도 적합한 시설 개발이 필요하고, 더 나아가 과수시설에 적합한 시설 개발도 요구된다. 또한 국내 기후조건과 강우, 강설, 강풍 등 재해에 견딜 수 있는 농업공존형 태양광 표준모델, 그에 대한 안전기준 등도 우선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4. 정리
살펴본 바와 같이, 태양광 발전과 관련된 여러 경제적인 문제를 극복함으로써 발전 판매뿐만 아니라 자가 소비용 태양광 발전, 농업공존형 태양광 발전 등으로 확장될 수 있을 거라 기대한다. 상당한 수준의 에너지 저장용 배터리, 태양전지의 고효율화를 달성하여 지구에 위협을 가하지 않는 무공해의 신재생에너지인 태양광 발전 시대를 맞이하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뉴턴프레스(2018). 태양광 발전. 아이뉴턴(뉴턴코리아)
윤천석(2013). 신재생에너지. 인피니티북스
이완근(2016). 태양광 선언, 햇빛e세상
박종화(2013). 알기쉬운 태양광발전. 문운당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03.19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88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