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람의 영혼은 불멸하여 동물의 각혼과 크게 다름을 논함
2)『천주실의』에 대한 평가와 남은 과제
<참고문헌>
2)『천주실의』에 대한 평가와 남은 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 사욕 억제 등에 대해 질문하면 마테오 리치가 여기에 대해 답하면서 중국의 전통 신앙과 미신, 불교 ·유교의 교리를 비판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여기에 대담자로 나오는 학자들은 마테오 리치와 친분이 깊었던 이대(李戴) ·풍기(馮琦) ·서광계(徐光啓) ·조간변 ·오재해(吳在海) ·공도립 등이다. [출처] 두산백과
(畸人十編, 1608)이다. 이 책의 특징은 다른 종파에 대한 부정과 비판이 일체 없다는 점이다. 이는 리치 자신이 더 중국적 문화에 익숙해져 중국 지식인들의 심리적 정서를 더 잘 이해하는데서 오는 결과였다. 그의 책은 더욱 유려하며 강한 설득력을 가지고 있었다. 마테오리치는 기독교 신앙이 중국문화에 어떠한 해를 끼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중국문화를 더욱 풍부하고 완전하게 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우리가 마테오리치를 보며 얻을 수 있는 것은 동서 문화 융합과 화합의 정신이고, 그것을 더욱 오늘의 시대에 맞게끔 발현하는 것이 우리의 남은 과제인 것이다.
<참고문헌>
- 마테오 리치, 송영배 외 역, 『천주실의』,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 송영배 지음, 『동서철학의 충돌과 융합』, 서울: (주)사회평론, 2012
(畸人十編, 1608)이다. 이 책의 특징은 다른 종파에 대한 부정과 비판이 일체 없다는 점이다. 이는 리치 자신이 더 중국적 문화에 익숙해져 중국 지식인들의 심리적 정서를 더 잘 이해하는데서 오는 결과였다. 그의 책은 더욱 유려하며 강한 설득력을 가지고 있었다. 마테오리치는 기독교 신앙이 중국문화에 어떠한 해를 끼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중국문화를 더욱 풍부하고 완전하게 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우리가 마테오리치를 보며 얻을 수 있는 것은 동서 문화 융합과 화합의 정신이고, 그것을 더욱 오늘의 시대에 맞게끔 발현하는 것이 우리의 남은 과제인 것이다.
<참고문헌>
- 마테오 리치, 송영배 외 역, 『천주실의』,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 송영배 지음, 『동서철학의 충돌과 융합』, 서울: (주)사회평론, 201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