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내가 조사한 대순진리교란?(흔히 말하는 도를 아십니까?)
-조사과정& 대순진리교 사람들에 대한 관찰과 인터뷰
-그들이 왜 그 종교에 빠졌을까?
-대순진리교에 빠졌던 사람에 대한 인터뷰
-그들의 특징
-그들의 종교행위
-같은 점과 다른 점.
-이들의 종교적 범주화 및 포교를 가능하게 하는 문화적인 재료들을 '조상'과 같은 친족체계에서 가져오는데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의미하는 바는?
-그들이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
-소감과 내가 느낀 점.
-조사과정& 대순진리교 사람들에 대한 관찰과 인터뷰
-그들이 왜 그 종교에 빠졌을까?
-대순진리교에 빠졌던 사람에 대한 인터뷰
-그들의 특징
-그들의 종교행위
-같은 점과 다른 점.
-이들의 종교적 범주화 및 포교를 가능하게 하는 문화적인 재료들을 '조상'과 같은 친족체계에서 가져오는데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의미하는 바는?
-그들이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
-소감과 내가 느낀 점.
본문내용
차려놓고 절을 하고 조상님에 대한 기도를 하는 것)를 지내는 것 같았지만 나는 하나의 신을 믿고 제사대신 예배(목사님의 인도에 따라 성경을 읽고 찬송하는등의 의식?)를 드린다는 것이 달랐다. 전도를 할 때 기독교인들은 어디 교회라는 것을 밝히지만 대순진리교 사람들은 자신이 대순진리교라는 것을 밝히지 않는다.
결론: 그들의 방식은 일반 종교들과 유사했지만 전도할 때 대순진리교라는 것을 밝히지 않거나 제사를 드리는 것에 있어서 일반 사람들의 돈을 떼어먹는다거나 등등 피해사례가 너무 많았다. 따라서 대순진리교의 의도가 불건전 하다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 인 것 같다.
이들의 종교적 범주화 및 포교를 가능하게 하는 문화적인 재료들을 '조상'과 같은 친족체계에서 가져오는데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의미하는 바는?
내 생각에는 우리나라가 유교가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었을 뿐 아니라 지금까지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조상에 대한 공경과 자신의 뿌리(ex:족보)에 대한 관심이 크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이 조상에 대해 이야기를 할 때 사람들이 쉽게 넘어가는 것 같다. 결국 오늘날 한국사회에 의미하는 바는 유교가 뿌리 깊게 박혀있다고 볼 수 있다.
그들이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
내가 생각하기에 그들은 평안과 진리를 추구하는 것 같았다. 신을 믿으며 조상을 섬기고 계속 진리에 대한 연구를 한다. 내가 성경이라는 틀 안에서 세상을 보듯이 그들도 자신들이 믿고 섬기는 진리의 틀 안에서 세상을 보고 있었다. 그들의 규율 안에서 그들만의 세상을 만들어 가고 있는 것 같다.
소감과 내가 느낀 점.
조사를 하면서 매우 흥미진진했다. 시간이 좀더 있었다면 대순진리교에 빠졌던 사람을 어떻게라도 만나서 더욱 심도 있게 인터뷰를 할 수 있었을 텐데 아쉬움이 남는다. 현제 대순진리교에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는 인터뷰가 불가능 했다. 오히려 다가가면 피하는 느낌이랄까? 하지만 많은 것을 느꼈다. 내가 기독교인이라서 그들을 더욱 안 좋게 보고 이단이라고 생각도 했고 안 좋은 소문도 많았다. 하지만 그들도 그들의 나름대로 진리를 연구하고 있었고 그들만의 세계가 있었다. 돈 뜯거나 살인 이런건 아니긴 하지만... 또한 그들을 미행하면서 그 아주머니를 쫓아가니까 오히려 피하는 것을 느끼고 인터뷰 자료도 보고 얘기를 해보니까 외로운 사람들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결국 그들은 힘들고 지쳐서 의지하고 싶었던 것이다. 그래서 내가 기독교라서 하나님을 믿으면서 너무 좋으니까 전도하는 것처럼 그들이 말하는 그들만의 평안을 찾아서 전하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 물론 돈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도 많지만... 다른 종교에 대해 좀더 열린 마음을 가지고 포용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이단이라고 생각은 버릴 수가 없다. 너무 안 좋은 소문이 많아서 그런 것 같다. 그런 소문이나 일들은 그들이 스스로 개혁하고 그들 안에서 바꾸어나가야 된다는 생각이 든다. 이번 조사를 하면서 내 마음이 좀더 열린 느낌이 들어서 신선했다. 다음에 이런 기회가 또 주어진다면 좀 더 여유를 갖고 심도 있게 조사해보고 싶다.
결론: 그들의 방식은 일반 종교들과 유사했지만 전도할 때 대순진리교라는 것을 밝히지 않거나 제사를 드리는 것에 있어서 일반 사람들의 돈을 떼어먹는다거나 등등 피해사례가 너무 많았다. 따라서 대순진리교의 의도가 불건전 하다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 인 것 같다.
이들의 종교적 범주화 및 포교를 가능하게 하는 문화적인 재료들을 '조상'과 같은 친족체계에서 가져오는데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의미하는 바는?
내 생각에는 우리나라가 유교가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었을 뿐 아니라 지금까지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조상에 대한 공경과 자신의 뿌리(ex:족보)에 대한 관심이 크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이 조상에 대해 이야기를 할 때 사람들이 쉽게 넘어가는 것 같다. 결국 오늘날 한국사회에 의미하는 바는 유교가 뿌리 깊게 박혀있다고 볼 수 있다.
그들이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
내가 생각하기에 그들은 평안과 진리를 추구하는 것 같았다. 신을 믿으며 조상을 섬기고 계속 진리에 대한 연구를 한다. 내가 성경이라는 틀 안에서 세상을 보듯이 그들도 자신들이 믿고 섬기는 진리의 틀 안에서 세상을 보고 있었다. 그들의 규율 안에서 그들만의 세상을 만들어 가고 있는 것 같다.
소감과 내가 느낀 점.
조사를 하면서 매우 흥미진진했다. 시간이 좀더 있었다면 대순진리교에 빠졌던 사람을 어떻게라도 만나서 더욱 심도 있게 인터뷰를 할 수 있었을 텐데 아쉬움이 남는다. 현제 대순진리교에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는 인터뷰가 불가능 했다. 오히려 다가가면 피하는 느낌이랄까? 하지만 많은 것을 느꼈다. 내가 기독교인이라서 그들을 더욱 안 좋게 보고 이단이라고 생각도 했고 안 좋은 소문도 많았다. 하지만 그들도 그들의 나름대로 진리를 연구하고 있었고 그들만의 세계가 있었다. 돈 뜯거나 살인 이런건 아니긴 하지만... 또한 그들을 미행하면서 그 아주머니를 쫓아가니까 오히려 피하는 것을 느끼고 인터뷰 자료도 보고 얘기를 해보니까 외로운 사람들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결국 그들은 힘들고 지쳐서 의지하고 싶었던 것이다. 그래서 내가 기독교라서 하나님을 믿으면서 너무 좋으니까 전도하는 것처럼 그들이 말하는 그들만의 평안을 찾아서 전하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 물론 돈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도 많지만... 다른 종교에 대해 좀더 열린 마음을 가지고 포용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이단이라고 생각은 버릴 수가 없다. 너무 안 좋은 소문이 많아서 그런 것 같다. 그런 소문이나 일들은 그들이 스스로 개혁하고 그들 안에서 바꾸어나가야 된다는 생각이 든다. 이번 조사를 하면서 내 마음이 좀더 열린 느낌이 들어서 신선했다. 다음에 이런 기회가 또 주어진다면 좀 더 여유를 갖고 심도 있게 조사해보고 싶다.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의 기독교 문화와 대중문화
[소비문화] 우리나라 소비문화에 관한 고찰
[욕구조사][청소년 욕구조사][성적욕구][문화욕구][복지욕구]욕구조사의 필요성, 욕구조사의 ...
‘낯선 문화’에 대한 이해와낯선 문화와의 비교를 위해 현장으로 가야 하는 이유는? (A+...^^)
한국과 일본의 결혼 문화 비교 - 결혼의 유래, 한국과 일본의 결혼 문화
[예술]종합예술로서의 건축, 예술의 경건성, 디지털기술의 문화예술 혁명, 고급예술과 저급예...
대학생 글쓰기 특강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느낀점, 독후감, 나의 견해, 나의 소감, 조사분석
어린이 문화 담론과 과거와 현재의 어린이 표상 분석 연구 - 로틴 문화와 드라마 속 어린이를...
[모니터링][위생관리][학교급식][냉장고식품보관][교통문화지수]위생관리 모니터링, 학교급식...
[행정관료, 공무원, 행정문화, 행정안정성, 공익성확보]행정관료(공무원)와 행정문화, 행정관...
[가족복지론] 다문화가족에 대한 이해 (다문화가족)
[인간과사회 C형] 내가 그동안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사실이나 익숙하게 여겨온 대상 가운데 ...
[노인복지론] 노인여가문화에 대하여 외국의 사례와 비교하여 서술하고, 우리나라 노인여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