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분만과 출산 동안의 불편함
1) 신경학적 근원
2) 통증 지각
3) 통증에 대한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2. 불편감의 비약물적 관리
1) 이완과 호흡법
2) 경찰법과 억압
3) 음악
4) 수중요법
5) 경피전기신경자극
6) 지압
7) 온‧냉요법
8) 치료적 접촉과 마사지
3. 불편감의 약물적 관리
1) 전신무통
2) 국소마취
3) 전신마취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분만과 출산 동안의 불편함
1) 신경학적 근원
2) 통증 지각
3) 통증에 대한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2. 불편감의 비약물적 관리
1) 이완과 호흡법
2) 경찰법과 억압
3) 음악
4) 수중요법
5) 경피전기신경자극
6) 지압
7) 온‧냉요법
8) 치료적 접촉과 마사지
3. 불편감의 약물적 관리
1) 전신무통
2) 국소마취
3) 전신마취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디게 함
- 자궁수축의 통증은 변화시키지 않음
⑥ 음부신경 : 제2,3천골신경으로부터 갈라져 나오는 큰 신경으로, 회음부와 그 주변을 지배하고 있으며 회음신경, 항문신경, 음경배신경으로 갈라진다.
음부신경 차단 (Pudendal Nerve Block)
- 각 좌골극 주변 음부 신경 차단을 위한 국소마취약의 주입
- 질 하부, 외음부, 회음부의 통증완화를 제공
⑦ 척추 무통 마취
- 경막 외 차단과 비교해서 척추관 내 마약주입은 쉽고, 통증완화가 빨리 시작되며, 신생아 호흡억제가 적고, 운동차단을 일으키지 않음
- 하지만 마약의 활동기간에 따라 분만 동안 효과가 지속되지 않거나, 단지 몇 시간만 제한될 수 있음
3) 전신마취(general anesthesia)
- 전신마취는 척추나 경막 외 마취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시간이 없을 때, 제왕절개 응급 수술을 위해, 또는 국소마취 사용의 금기증을 가지고 있을 때 사용
- 효과가 빨리 시작되고, 의식상실이 빠르게 일어남
- 일반적으로 단기간용 진정제인 thiopental은 무의식을 일으키기 위해 혈관 내 주사함
- 전신마취의 1차적 합병증은 자궁이완과 모체 구토, 질식의 위험을 가진 태아억제
Ⅲ. 결론
우리는 심현경님의 분만이 점차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발생하는 통증의 발생기전과 그에 따른 완화법을 알아보기 위해 이 과제를 수행하였다.
분만의 통증과 불편함은 내장통과 체성 통증에 관련되어진다. 분만 1기 동안 내장통, 2기 동안 체성통증을 경험하며, 3기의 통증은 분만 1기 초기에 경험되는 것과 유사하다. 통증 지각은 사람마다 차이가 있으며, 통증에 대한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로는 생리적 측면, 불안, 이전 출산의 경험, 환경 등이 있다.
불편감의 관리법에는 비약물적인 방법과 약물적인 방법이 있다. 비약물적인 관리법으로는 긴장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킴으로써 통증을 경감시키는 이완과 호흡법, 음악청취, 경찰법과 역압, 수중요법, 온냉요법 등이 있다. 불편감의 약물적인 관리법으로는 순환계를 통해 한 가지 이상의 약물을 사용한 전신무통법, 마약을 사용하여 중 정도의 통증을 완화시키는 방법, 정신안정제, 항불안제, 진정제, 마취제, 국소침윤, 음부 신경 차단 등의 방법이 있다.
Ⅳ. 참고문헌
1. 김혜원 외. (2011). 여성건강간호학Ⅰ, 서울: 정담미디어, pp. 412~417
2. 유은광 외. (2005). 모성간호학 상권, 서울: 현문사, pp. 587~617
- 자궁수축의 통증은 변화시키지 않음
⑥ 음부신경 : 제2,3천골신경으로부터 갈라져 나오는 큰 신경으로, 회음부와 그 주변을 지배하고 있으며 회음신경, 항문신경, 음경배신경으로 갈라진다.
음부신경 차단 (Pudendal Nerve Block)
- 각 좌골극 주변 음부 신경 차단을 위한 국소마취약의 주입
- 질 하부, 외음부, 회음부의 통증완화를 제공
⑦ 척추 무통 마취
- 경막 외 차단과 비교해서 척추관 내 마약주입은 쉽고, 통증완화가 빨리 시작되며, 신생아 호흡억제가 적고, 운동차단을 일으키지 않음
- 하지만 마약의 활동기간에 따라 분만 동안 효과가 지속되지 않거나, 단지 몇 시간만 제한될 수 있음
3) 전신마취(general anesthesia)
- 전신마취는 척추나 경막 외 마취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시간이 없을 때, 제왕절개 응급 수술을 위해, 또는 국소마취 사용의 금기증을 가지고 있을 때 사용
- 효과가 빨리 시작되고, 의식상실이 빠르게 일어남
- 일반적으로 단기간용 진정제인 thiopental은 무의식을 일으키기 위해 혈관 내 주사함
- 전신마취의 1차적 합병증은 자궁이완과 모체 구토, 질식의 위험을 가진 태아억제
Ⅲ. 결론
우리는 심현경님의 분만이 점차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발생하는 통증의 발생기전과 그에 따른 완화법을 알아보기 위해 이 과제를 수행하였다.
분만의 통증과 불편함은 내장통과 체성 통증에 관련되어진다. 분만 1기 동안 내장통, 2기 동안 체성통증을 경험하며, 3기의 통증은 분만 1기 초기에 경험되는 것과 유사하다. 통증 지각은 사람마다 차이가 있으며, 통증에 대한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로는 생리적 측면, 불안, 이전 출산의 경험, 환경 등이 있다.
불편감의 관리법에는 비약물적인 방법과 약물적인 방법이 있다. 비약물적인 관리법으로는 긴장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킴으로써 통증을 경감시키는 이완과 호흡법, 음악청취, 경찰법과 역압, 수중요법, 온냉요법 등이 있다. 불편감의 약물적인 관리법으로는 순환계를 통해 한 가지 이상의 약물을 사용한 전신무통법, 마약을 사용하여 중 정도의 통증을 완화시키는 방법, 정신안정제, 항불안제, 진정제, 마취제, 국소침윤, 음부 신경 차단 등의 방법이 있다.
Ⅳ. 참고문헌
1. 김혜원 외. (2011). 여성건강간호학Ⅰ, 서울: 정담미디어, pp. 412~417
2. 유은광 외. (2005). 모성간호학 상권, 서울: 현문사, pp. 587~617
추천자료
중환자실케이스 (DIC, 임신중 급성 지방간, 급성신부전)
[간호학]모성-제왕절개
(지역사회 간호학) 고혈압 - 보건소
[아동간호학 - 아동 사례연구] 재생불량성 빈혈 (aplastic anemia) 케이스
[여성건강간호학] 제왕절개 케이스 간호과정
[영아발달] 다양한 대안분만법의 특징과 장단점을 설명하시오 (수중 분만법·조산원 분만법·르...
[아동간호학실습]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호흡곤란증후군) 케이스 case study
[간호학] 문맥성 고혈압과 식도정맥류 관리와 간호
[간호학] 분만 Ⅰ기 간호
[간호학] 비약물적 통증관리
[간호학] 산전관리
[간호학] 신생아의 신체사정
[간호학] 조산
임상포트폴리오 여성간호학 간호사례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