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세균성 성전파 감염
클라미디아, 임질, 매독, 골반염증성질환
2. 바이러스성 성전파 감염
인유두종 바이러스, 바이러스성 감염,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성병성 림프육아종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Ⅴ. 부록
Ⅱ. 본론
1. 세균성 성전파 감염
클라미디아, 임질, 매독, 골반염증성질환
2. 바이러스성 성전파 감염
인유두종 바이러스, 바이러스성 감염,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성병성 림프육아종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Ⅴ. 부록
본문내용
등에 재발
1차 감염
- 잠복기: 3~14일
- 생식기 부위 수포 형성
- 서혜부 임파선 종창, 발열, 무력감
2차 감염
- 7~10일 후 발생
- 10일 이내 수포 소실
진단
시진으로 경부, 질, 외음의 다발성 궤양, 소포, 발적 확인
병소로부터 얻은 삼출물로 균배양하여 확진
Pap 도말검사 및 Tzanck's검사(herpes simplex진단을 위한 세포검사)
혈청검사, 직접면역형광법검사
치료 및 간호
증상에 따른 대증 요법
항 바이러스 제제 투여; 5% acyclovir 연고
모유수유 가능
좌욕: 통증 완화
5) 성병성 림프육아종(Lymphogranuloma)
원인
성병성 임파육종 바이러스(Chlamydia trachomatis)
-> Feri 검사로 진단
증상
며칠의 잠복기-> 질, 자궁경부, 외생식기에 소농포가 나타났다가 소실 -> 2~3주 후 화농성 서혜부위샘염, 서혜부위샘종, 림프관의 이상비대 성 변화, 림프수종, 배농루 초래
치료 및 관리
항생제 투여: 클로로마이세틴, 스트렙토마이신, 아크로 마이신
설파제
외과적 절개: 상피병의 큰 덩어리 제거
모든 육아종성 질병 시 생검하여 악성종양과 감별진단 필요
Ⅲ. 결론
우리는 정경아님에게 나타날 수 있는 성전파성 질환에 대해 알아보았다. 질·항문·구강성교를 통한 미생물의 전파에 의해 유발되는 생식기의 감염인 성전파성 질환에는 세균성 성전파 감염과 바이러스성 성전파 감염이 있다. 세균성 성전파 감염 중 다수의 성 파트너가 있는 경우와 피임도구의 사용부족으로 발생하는 클라미디아가 있는데 이는 항생제를 사용하여 관리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치료에 대한 내성이 빨리 생기며 높은 전염성을 가지는 임질이 있는데 eficime, cefriaxone 투여하여 치료를 할 수 있다. 그 외 매독, 골반염증성질환등이 있을 수 있다. 두 번째로 바이러스성 성전파 감염에는 먼저 인유두종 바이러스는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바이러스성 성병이다. 증상이 잘 나타지 않으며 HPV-DNA검사로 진단을 내릴 수 있다. 다음 바이러스성 간염에는 A형ㆍB형ㆍC형 간염으로 나눠져 각각 다른 증상과 진단등이 있다. 체액의 교환, 임신 동안에 모체에서 태아로의 전달 등으로 인해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의 감염이 나타날 수 있는데 급성 혈청 변환 단계, 무증상 감염 단계. AIDS로의 진전인 3단계로 증상이 나타나며 Rapid HIV 검사, 확증 검사로 진단을 내릴 수가 있다. 그 외 단순포진 바이러스, 성병성 림프육아종 등의 감염이 있다.
우리는 이번 과제를 통해 여러 가지의 성전파성 질환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이 과제를 토대로 알게된 내용을 잘 숙지하고 이해해야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1. 유은광 외(2008). 모성 · 여성 건강 간호학 Ⅰ, 서울: 현문사, pp. 239~261
2. 김혜원 외(2014). 여성건강간호학Ⅰ, 서울: 현문사, pp. 182~207
3.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2012). 여성건강간호학Ⅰ, 서울: 수문사, pp. 435~453
Ⅴ. 부록1
[성전파성감염과 태아 및 신생아]
성전파성감염
태아와 신생아에 미치는 영향
클라미디아
분만하는 동안 감염될 수 있음.
신생아 결막염, 폐렴, 저체중아, 조산, 사산
임질
분만하는 동안 감염될 수 있음.
비염, 질염, 요도염, 태아 모니터부위의 감염
실명, 패혈증
헤르페스Ⅱ
출생 시 노출될 수 있음.
정신지체, 조산, 저체중아, 사망
매독
자궁으로 전파될 수 있음.
태아와 신생아 사망 초래
피부궤양, 발진, 열, 약하고 거친 울음, 간과 비장 비대, 황달과 빈혈, 다양항 기형 등
트리코모나스
열, 과민성, 조산, 저체중아
생식기 사마귀
후두의 사마귀로 발전(후두유두종증)
1차 감염
- 잠복기: 3~14일
- 생식기 부위 수포 형성
- 서혜부 임파선 종창, 발열, 무력감
2차 감염
- 7~10일 후 발생
- 10일 이내 수포 소실
진단
시진으로 경부, 질, 외음의 다발성 궤양, 소포, 발적 확인
병소로부터 얻은 삼출물로 균배양하여 확진
Pap 도말검사 및 Tzanck's검사(herpes simplex진단을 위한 세포검사)
혈청검사, 직접면역형광법검사
치료 및 간호
증상에 따른 대증 요법
항 바이러스 제제 투여; 5% acyclovir 연고
모유수유 가능
좌욕: 통증 완화
5) 성병성 림프육아종(Lymphogranuloma)
원인
성병성 임파육종 바이러스(Chlamydia trachomatis)
-> Feri 검사로 진단
증상
며칠의 잠복기-> 질, 자궁경부, 외생식기에 소농포가 나타났다가 소실 -> 2~3주 후 화농성 서혜부위샘염, 서혜부위샘종, 림프관의 이상비대 성 변화, 림프수종, 배농루 초래
치료 및 관리
항생제 투여: 클로로마이세틴, 스트렙토마이신, 아크로 마이신
설파제
외과적 절개: 상피병의 큰 덩어리 제거
모든 육아종성 질병 시 생검하여 악성종양과 감별진단 필요
Ⅲ. 결론
우리는 정경아님에게 나타날 수 있는 성전파성 질환에 대해 알아보았다. 질·항문·구강성교를 통한 미생물의 전파에 의해 유발되는 생식기의 감염인 성전파성 질환에는 세균성 성전파 감염과 바이러스성 성전파 감염이 있다. 세균성 성전파 감염 중 다수의 성 파트너가 있는 경우와 피임도구의 사용부족으로 발생하는 클라미디아가 있는데 이는 항생제를 사용하여 관리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치료에 대한 내성이 빨리 생기며 높은 전염성을 가지는 임질이 있는데 eficime, cefriaxone 투여하여 치료를 할 수 있다. 그 외 매독, 골반염증성질환등이 있을 수 있다. 두 번째로 바이러스성 성전파 감염에는 먼저 인유두종 바이러스는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바이러스성 성병이다. 증상이 잘 나타지 않으며 HPV-DNA검사로 진단을 내릴 수 있다. 다음 바이러스성 간염에는 A형ㆍB형ㆍC형 간염으로 나눠져 각각 다른 증상과 진단등이 있다. 체액의 교환, 임신 동안에 모체에서 태아로의 전달 등으로 인해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의 감염이 나타날 수 있는데 급성 혈청 변환 단계, 무증상 감염 단계. AIDS로의 진전인 3단계로 증상이 나타나며 Rapid HIV 검사, 확증 검사로 진단을 내릴 수가 있다. 그 외 단순포진 바이러스, 성병성 림프육아종 등의 감염이 있다.
우리는 이번 과제를 통해 여러 가지의 성전파성 질환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이 과제를 토대로 알게된 내용을 잘 숙지하고 이해해야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1. 유은광 외(2008). 모성 · 여성 건강 간호학 Ⅰ, 서울: 현문사, pp. 239~261
2. 김혜원 외(2014). 여성건강간호학Ⅰ, 서울: 현문사, pp. 182~207
3.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2012). 여성건강간호학Ⅰ, 서울: 수문사, pp. 435~453
Ⅴ. 부록1
[성전파성감염과 태아 및 신생아]
성전파성감염
태아와 신생아에 미치는 영향
클라미디아
분만하는 동안 감염될 수 있음.
신생아 결막염, 폐렴, 저체중아, 조산, 사산
임질
분만하는 동안 감염될 수 있음.
비염, 질염, 요도염, 태아 모니터부위의 감염
실명, 패혈증
헤르페스Ⅱ
출생 시 노출될 수 있음.
정신지체, 조산, 저체중아, 사망
매독
자궁으로 전파될 수 있음.
태아와 신생아 사망 초래
피부궤양, 발진, 열, 약하고 거친 울음, 간과 비장 비대, 황달과 빈혈, 다양항 기형 등
트리코모나스
열, 과민성, 조산, 저체중아
생식기 사마귀
후두의 사마귀로 발전(후두유두종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