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수술 전 간호진단, 결과 및 중재
2. 수술 전 교육
Ⅲ. 결론
Ⅳ. 용어정리
Ⅴ. 참고문헌
Ⅵ. 참고자료
Ⅱ. 본론
1. 수술 전 간호진단, 결과 및 중재
2. 수술 전 교육
Ⅲ. 결론
Ⅳ. 용어정리
Ⅴ. 참고문헌
Ⅵ. 참고자료
본문내용
수 있으며, 합병증을 감소시키고 입원 기간과 퇴원 후 회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수술 전 교육 시 주의사항으로는 정보는 균형있게 제공하며, 수술 직전에는 핵심적인 사항만 교육한다. 또한 모든 교욱은 환자의 의무기록으로 문서화해야한다. 수술 후 관리를 위한 교육으로는 심호흡 연습, 기침 연습, 체위변경 연습, 사지운동 연습, 거동하기, 통증조절, 사용장비 등이 있다.
Ⅳ. 용어정리
1. 무기폐(atelectasis) : 어떠한 이유에 의해서 폐의 일부가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부피가 줄어 쭈그러든 상태(이를 ‘허탈’이라고 함)
2. 무릎인공관절수술 TKRA(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 무릎 관절의 외상이나 질환으로 동통, 운동장애, 변형 및 보행 장애 등이 있을 때 변형된 관절 부위를 제거하고 인공으로 된 관절 면으로 바꾸어 주는 수술
3. 통증자가조절기 PC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 수술 후 급성 통증 조절에 유용한 기구
4. 강화 폐활량계(Incentive Spirometer) : 호흡을 최대로 들여 마신 후 가능한 오래 참도록 유도하는 기구
5. 정맥울혈 : 정맥에 피가 몰려 있는 증상
6. 혈전성 정맥염(thrombophlebitis) : 정맥에 1차적으로 염증이 생기고 2차적으로 혈전을 수반하는 병태
7. Hemovac : 수술부위에 삼출물이나 혈액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고 지속적인 음압을 유지하여 배액이 잘 되도록 도와주는 기구
8. Jackson-pratt 배액관 : 실리콘으로 제작되었고 폐쇄배액기구, 수술 후에 이상액체가 몸안에 고이는 것을 막기위한 장치
9. 항색전스타킹 : 색전증을 막기 위해 신는 스타킹
Ⅴ. 참고문헌
1. 김진환 외. (2011). 성인간호학, 서울: 정담미디어, pp. 213~221
2. 신경림 외. (2010). 성인간호학, 서울: 현문사, pp. 514~518
2. 김금순 외. (2012). 성인간호학, 서울: 수문사, pp. 320~323
3. 송경애 외. (2011). 기본간호학, 서울: 수문사, pp. 517~523
4. 변영순 외. (2004). 최신 수술환자간호, 서울: 수문사, pp. 110~111
Ⅵ. 참고자료
감각 정보
대기실은 시끄러울 수 있음.
약물과 소독액은 냄새가 날 수 있음
수술실은 추울 수 있지만, 담요를 사용할 수 있음
수술실에서 말하는 소리는, 마스크 때문에 왜곡되어 들릴 수 있음. 이해하지 못한 것 은 질문할 수 있음
수술침대는 좁고, 안전띠를 무릎 위에 착용할 것임
수술실의 조명은 매우 밝을 것
깨어있을 때 틱틱 소리를 내는 감시장치 소리가 들릴 수 있음. 이 장치는 신체상태를 감시하고, 안전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작동됨
과정 정보
수술의 전반적인 흐름에 대한 정보
입원실에 대해 설명
술 전 대기실, 수술실, 회복실에 대해 설명
가족들은 수술할 때 대기실에 머물 수 있음
가족들은 환자가 깨어나자마자 회복실로 들어갈 수 있음
마취에서 깨어났을 때 모니터와 중심정맥관(central lines)과 같은 기구를 확인할 수 있 음
수술 중 가족들의 대기 장소
환자와 가족구성원에게 걱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
수술실 직원은 가족들에게 언제 수술이 종료되는지 알려줄 것
의사는 일반적으로 수술이 끝나면 가족들과 의논할 것.
심리사회정보
환자들은 ‘내가 죽는다면?’, ‘누가 아이들을 돌보지’, ‘내가 소용없어진다면 어떡하지?’, ‘누가 우리 가족을 부양할 돈을 벌어오지?’ 등의 전형적인 의심을 함. 이에 대한 유용 한 정보가 있다면 답을 해주도록 함
사회사업가나 성직자와 같은 사람을 연결해 주어 대상자가 자신의 고민을 이야기 할 수 있도록 함.
수행될 수술과정이 잠재적으로 장기적인 영향을 미친다면, 수술 전에 지지제공을 위해 서 지지그룹과 접촉하게 해 줄 수 있음(e.g. 암협회, 절단 환자 지지그룹, 장루치료사 연합회)
절차 정보
통원수술센터에 무엇을 가져와야 하고 어떤 종류의 옷을 입는지에 대해 설명
수술 시간이 변할 수 있음
수분과 음식 제한이 있음
필요한 신체적 준비를 함(e.g. 장이나 피부의 준비)
활력징후를 자주 측정하는 목적을 설명
통증조절과 기타 안위중재에 대해 설명
수술 후 체위변경, 기침, 심호흡이 중요한 이유와 수술 전에 연습을 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
정맥주사선의 삽입에 대해 설명
마취 시행과정에 대해 설명
수술부위 또는 수술면은 지워지지 않는 잉크 또는 마커로 표시한다는 것을 설명
Ⅳ. 용어정리
1. 무기폐(atelectasis) : 어떠한 이유에 의해서 폐의 일부가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부피가 줄어 쭈그러든 상태(이를 ‘허탈’이라고 함)
2. 무릎인공관절수술 TKRA(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 무릎 관절의 외상이나 질환으로 동통, 운동장애, 변형 및 보행 장애 등이 있을 때 변형된 관절 부위를 제거하고 인공으로 된 관절 면으로 바꾸어 주는 수술
3. 통증자가조절기 PC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 수술 후 급성 통증 조절에 유용한 기구
4. 강화 폐활량계(Incentive Spirometer) : 호흡을 최대로 들여 마신 후 가능한 오래 참도록 유도하는 기구
5. 정맥울혈 : 정맥에 피가 몰려 있는 증상
6. 혈전성 정맥염(thrombophlebitis) : 정맥에 1차적으로 염증이 생기고 2차적으로 혈전을 수반하는 병태
7. Hemovac : 수술부위에 삼출물이나 혈액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고 지속적인 음압을 유지하여 배액이 잘 되도록 도와주는 기구
8. Jackson-pratt 배액관 : 실리콘으로 제작되었고 폐쇄배액기구, 수술 후에 이상액체가 몸안에 고이는 것을 막기위한 장치
9. 항색전스타킹 : 색전증을 막기 위해 신는 스타킹
Ⅴ. 참고문헌
1. 김진환 외. (2011). 성인간호학, 서울: 정담미디어, pp. 213~221
2. 신경림 외. (2010). 성인간호학, 서울: 현문사, pp. 514~518
2. 김금순 외. (2012). 성인간호학, 서울: 수문사, pp. 320~323
3. 송경애 외. (2011). 기본간호학, 서울: 수문사, pp. 517~523
4. 변영순 외. (2004). 최신 수술환자간호, 서울: 수문사, pp. 110~111
Ⅵ. 참고자료
감각 정보
대기실은 시끄러울 수 있음.
약물과 소독액은 냄새가 날 수 있음
수술실은 추울 수 있지만, 담요를 사용할 수 있음
수술실에서 말하는 소리는, 마스크 때문에 왜곡되어 들릴 수 있음. 이해하지 못한 것 은 질문할 수 있음
수술침대는 좁고, 안전띠를 무릎 위에 착용할 것임
수술실의 조명은 매우 밝을 것
깨어있을 때 틱틱 소리를 내는 감시장치 소리가 들릴 수 있음. 이 장치는 신체상태를 감시하고, 안전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작동됨
과정 정보
수술의 전반적인 흐름에 대한 정보
입원실에 대해 설명
술 전 대기실, 수술실, 회복실에 대해 설명
가족들은 수술할 때 대기실에 머물 수 있음
가족들은 환자가 깨어나자마자 회복실로 들어갈 수 있음
마취에서 깨어났을 때 모니터와 중심정맥관(central lines)과 같은 기구를 확인할 수 있 음
수술 중 가족들의 대기 장소
환자와 가족구성원에게 걱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
수술실 직원은 가족들에게 언제 수술이 종료되는지 알려줄 것
의사는 일반적으로 수술이 끝나면 가족들과 의논할 것.
심리사회정보
환자들은 ‘내가 죽는다면?’, ‘누가 아이들을 돌보지’, ‘내가 소용없어진다면 어떡하지?’, ‘누가 우리 가족을 부양할 돈을 벌어오지?’ 등의 전형적인 의심을 함. 이에 대한 유용 한 정보가 있다면 답을 해주도록 함
사회사업가나 성직자와 같은 사람을 연결해 주어 대상자가 자신의 고민을 이야기 할 수 있도록 함.
수행될 수술과정이 잠재적으로 장기적인 영향을 미친다면, 수술 전에 지지제공을 위해 서 지지그룹과 접촉하게 해 줄 수 있음(e.g. 암협회, 절단 환자 지지그룹, 장루치료사 연합회)
절차 정보
통원수술센터에 무엇을 가져와야 하고 어떤 종류의 옷을 입는지에 대해 설명
수술 시간이 변할 수 있음
수분과 음식 제한이 있음
필요한 신체적 준비를 함(e.g. 장이나 피부의 준비)
활력징후를 자주 측정하는 목적을 설명
통증조절과 기타 안위중재에 대해 설명
수술 후 체위변경, 기침, 심호흡이 중요한 이유와 수술 전에 연습을 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
정맥주사선의 삽입에 대해 설명
마취 시행과정에 대해 설명
수술부위 또는 수술면은 지워지지 않는 잉크 또는 마커로 표시한다는 것을 설명
추천자료
신경계(개두술수술간호,척수수술간호)수술간호
[간호][간호사례][가와사키병 간호 사례][위암 간호 사례][실어증환자 간호][수혈 간호][뇌수...
[장루][장루수술][장루수술 환자 간호][장루 정의][장루 유형][장루수술 전후 간호법][장루수...
[간호][환자간호]안수술과 백내장수술환자의 간호, 제왕절개수술환자의 간호, 기분장애환자의...
[제왕절개수술][제왕절개]제왕절개수술(제왕절개분만)의 정의와 원인, 제왕절개수술(제왕절개...
[환자간호][관절염][골절][무의식][실어증][두부수술][천식]관절염환자간호 사례, 골절환자간...
[제왕절개][제왕절개수술][분만][산모]제왕절개(제왕절개수술)의 정의, 제왕절개(제왕절개수...
골절, 무의식환자 간호, 고위험가족 간호, 실어증, 신장이식환자 간호, 산과중환자 간호, 뇌...
[모성간호][임신중절수술(낙태)][태아감시][미혼모][임신초기출혈][자궁근종]모성간호와 임신...
[수술실, 수술실과 수술부위준비, 수술실과 수술실간호, 수술실과 수술실간호사, 수술실과 수...
[환자간호, 안수술 환자간호, 두부수술 환자간호, 심장수술 환자간호, 위암수술 환자간호, 안...
[수술간호, 유방암수술간호, 안수술간호, 신경계수술간호, 흉곽수술간호, 두부, 제왕절개, 아...
1. 결장암으로 외과적 수술과 함께 장루형성술을 받은 환자의 수술 직후의 간호와 회복기 간...
복막염, penperitonitis, 복막염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복막염 수술 후 관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