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사노동시간관리 B형 시간관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사노동시간관리 B형 시간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I. 본인 소개

II. 현재의 시간사용 평가

1. 시간사용 실태

2. 시간사용의 평가
1) 평균과의 비교
2) 자신이 원하는 시간 사용방식과의 비교
3) 시간사용의 낭비요인
(1) 외적 낭비요인
(2) 내적 낭비요인

III. 목표설정
1. 주요가치
2. 목표
1) 장기목표
2) 중기목표
3) 단기목표
3. 목표달성을 위한 활동

VI. 시간계획표
1. 일일시간계획표 (요일별 또는 주중/주말별)
2. 기타 연간계획표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댁, 친정)
의무생활시간

㉠, ㉢, ㉣
12:15~1:00
점심식사(외식, 시댁에서)
필수생활시간

㉠, ㉢, ㉣, ㉥
1:00~2:00
다과, 가족단란
여가시간

㉠, ㉢, ㉣, ㉥
2:00~4:00
쇼핑 및 마트장보기
의무생활시간

㉠, ㉢, ㉣
4:00~4:30
귀가
의무생활시간

㉠, ㉢, ㉣
4:30~5:00
휴식
여가시간

㉠, ㉢, ㉣
5:00~6:30
요리(반찬, 간식만들기)
의무생활시간

㉠, ㉢
6:30~7:00
저녁식사
필수생활시간

㉠, ㉢, ㉣
7:00~7:30
설거지
의무생활시간

㉠, ㉢
7:30~8:00
샤워, 피부관리
필수생활시간


8:00~9:30
휴식(TV시청, 아이들과 놀아주기)
여가시간

㉠, ㉢, ㉣
9:30~10:00
아이들 씻기기, 잠자리 준비
의무생활시간

㉠, ㉢, ㉣
10:00~10:20
요가
필수생활시간


10:20
취침
필수생활시간

㉠, ㉢, ㉣
결론: 결론은 가사분담
가정 내 부부간의 가사노동분담과 관련된 이론적 설명은 경제학적 접근 이론과 가족 사회학적 접근 이론이 있다. 경제학적 접근은 논리정연하고, 설득력이 있지만, 실제적인 가정생활에 적용할 때에는 한계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임정빈,2002). 경제학적 접근은 시간의 경제적 가치 및 노동의 성과에 관심(양세정, 2008)을 많이 두었으나, 가사노동분담을 설명하는 사회학적 가설들은 부부간의 가사노동분담과 관련한 타협과정, 주권, 공평성 에 더 큰 관심을 두었다(허경옥,1994). 가사노동분담이 여성들의 기대수준과 실제 상황 간의 차이를 경험하고 있어 가사노동에 대한 공정성 여부에 대한 학자들의 관심이 높았다. 공정성에 대한 인지는 주부의 삶의 질 에 결정적 요인으로 판단된다(이정수,1984).
개인이 자신이 투입한 행위와 결과들을 타인의 행위와 결과들을 비교할 때 동등성 여부를 판단하는 공정성 이론은 대인관계의 산출을 비교한다는 점에서 공평성 여부를 판단하지만, 개인의 행위는 투입과 산출로 그리고 보상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교환이론과 차이가 있다(홍대식,1984). 교환이 론에서는 부부관계에서 남편이나 아내는 자신의 투입이 적고 산출이 많을수록 만족하지만, 공정성 이론에서는 의사결정이나 가사노동 면에서 남편과 아내 중 누군가가 많이 하거나 적게 하는 관계가 아니라 두 사람에게 공정하다고 인식될 때 부부는 가장 행복하다는 것이다(suitor, 1991; spitze, 1988; mirowisky, 1985; 유승숙, 1997).즉, 배우자간의 공평성이란 남편 또는 부인이 자신과 배우자 간에 가정생활 전반 및 각 영역에 이바지한 바와 얻어진 결과가 비슷함을 인지하는 것이다(이순미 외,2008). 주부가 가사노동을 수행하면서 자신이 가정에 이바지한 바와 얻어진 결과들은 남편의 기여도 및 결과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가사노동 수행이 얼마나 자신에게 공평한가를 주부 입장에서 인지하는 가사노동의 공정성은 공정한 분배에 대한 상대적인 평가를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가사노동과 관련한 공평도 연구에서 차상란(1997)은 ‘아내의 취업으로 인하여 가사노동과 시장노동의 과중한 부담이 주는 실제 상황이 공평성 인지에 영향을 준다.’라고 하였다. 외벌이 아내의 경우 남편의 근로시간이 길수록 남편의 가사노동 분담이나 시장노동까지 고려하여 공평하다고 인지하였다. 남편들은 조력 시간이 길수록 가사노동 분담에 대하여 공평하게 인지한다고 하였다.
유승숙(1997)의 연구에서는 주부의 가사노동 공정성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가사노동 분담도로, 이는 남편의 가사노동 참여가 클수록 자신에게 공정한 것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주부의 취업 여부도 공정성 인지도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취업주부들이 비취업 주부보다 가사노동이 더 불공정하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기은광(2003)의 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 공평성 인지의 연구에서는 대체로 부인에게 불공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순미, 김혜경(2008)의 부부간 가사노동 분담에 대한 공평성 인지의 영향요인 연구에서는 현재의 가사노동 분담이 공평하다는 응답은 전체의 37.1%이고, 부인에게 불공평하다는 응답은 61.9%였다. 또한, 불균등적인 가사분담 상황에 대해 공평하다고 인지하는 여성 집단을 분석한 결과, ‘부부가 서로 배려하고 잘 챙겨준다’라는 느낌이 드는 것과 식사준비나 설거지, 세탁 등의 일상적인 집안일에 대한 남편의 참여도가 결정적으로 중요한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절대적 가사노동 시간이나 분담률에서의 불평등과 같은 객관적 요인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남편이 식사준비, 설거지, 세탁, 청소와 같은 일상적 가사노동에 참여하는 경향을 많이 보일수록 여성들은 자신들의 가사분담 상황을 공평하게 인지하는 속성을 보였다.
참고문헌
김정희(1994). 한국 주부의 가사노동의 경제적 가치 평가와 대(對) GNP 비율 추정, 경북대학교 가정학박사학위논문. p20-27
김준영(2001). 주부의 가사노동가치평가, 국민경제에 대한 기여도 분석, 1999 생활시간조사 종합분석사업결과, pp. 13-36.
김태홍(2001). 무급노동의 경제적 가치평가와 정책화 방안, 여성의 무급 노동 평가와 정책화를 위한 세미나, 한국여성개발원여성부 UNDP
노동부.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 2000.
문숙재(1990). 가정생산 : 가정노동의 생산정과 평가를 위한 접근, 신광출판사, p121-139
문숙재(1996). 생활시간연구, 학지사
문숙재김순미정순희(1994). 여성과 남성 그리고 노동의 경제학, 학지사
문숙재윤소영(1998). 대한가정학회지. 36(4). 가사노동의 정책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Ⅰ: 가사노동의 측정을 위한 제안.
문숙재정순희허경옥(2000). 가족경제학, 교문사
손애리(2001). 생활시간조사, 개발현황과 전망, 1999 생활시간조사 종합분석사업 결과, pp. 1-12.
윤소영(1997). 가사노동의 가치평가를 위한 방법론적 모색. 이화여자대학교박사학위 청구논문.
윤소영(1998). 대한가정학회지. 36(4). 가사노동의 정책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Ⅰ : 가사노동의 측정을 위한 제안
  • 가격5,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8.03.26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06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