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통사론 조사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어 통사론 조사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초점 강세가 놓이게 되는 것이다. 이것으로 부정문에서 한 가지의 해석이 선호될 수 있다.
(8) ① 철수는 시계를 훔치지 않았다. (밑줄: 초점 강세)
→ 시계를 훔친 것은 철수가 아니다.
② 철수가 시계는 훔치지 않았다.
→ 철수가 훔친 것은 시계가 아니다.
③ 철수가 시계를 훔치지는 않았다.
→ 철수가 시계에 대해 한 것은 훔치는 것이 아니었다.
위의 예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①번 문장의 경우에는 그 의미 한정이 약하게 느껴진다. 보조사 ‘는’이 주격 조사의 자리에 많이 쓰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보조사 ‘는’을 통해 의도를 형태적으로 분명히 표현함으로써 의미 전달의 명확성을 높일 수가 있다.
마무리
한국어 부정문에서 ‘안’부정문과 ‘못’부정문은 단형과 장형의 구조로 나타날 수 있으며, 각기 중의적 해석이 가능하다. 그리고 장형 부정문의 중의성이 단형 부정문의 그것보다 훨씬 쉽게 인식된다는 것을 본고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부정문은 초점 강세에 따라서, 휴지에 따라서 중의적 해석이 가능하며, 그 문장이 가지는 성분의 수만큼이나 중의적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들 부정문은 부사어와 휴지, 보조사 ‘는’의 위치에 따라서 선호되는 해석이 있다. 그리고 이것을 사용함으로써, 이들의 선호되는 해석에 의해서 부정문의 중의성을 해소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참고문헌 >>
박정규(2003), 『국어 부정문의 체계적 연구』, 서울: 보고사
허재영(2002), 『부정문의 통사적 연구』, 역락
박종갑(2001), 「국어 부정문의 중의성에 대하여(1)」, 『한민족어문학』제38집, 한민족어 문학회
박종갑(2001), 「“국어 부정문의 중의성”에 대하여(2) -중의적 의미 해석과 관련된 인식적 편향성을 중심으로-」,『어문학』제74권
박정규(1996), 『국어 부정문 연구』, 서울: 보고사
구종남(1991), 「부정의 영역과 언어 내적 논리-단형 부정문의 중의적 해석과 관련하여-」, 『국어 국문학』통권 106호
구종남(1990), 「부정문의 통사 구조와 의미」『한국 언어문학』28, 한국 언어문학회
임흥빈(1987), 「국어 부정문의 통사와 의미」, 『국어생활』10, 국어연구소
남기심고영근(1985), 『표준국어문법론』, 탑 출판사
서상규(1984), 「국어 부정문의 의미 해석 원리」『말』9집,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김동식(1980), 「현대국어 부정법의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 논문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04.02
  • 저작시기201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16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