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III. 결론
IV. 참고 문헌
II. 본론
III. 결론
IV. 참고 문헌
본문내용
게도 중국작가 모옌이 수상자가 됐습니다.
[ 붉은 수수밭의 평가 ]
영화에서는 일반적으로 역사라는 주제를 다룰 때는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곤 한다.
첫 번째 역사의 큰 물줄기 자체를 보여주는 것이고 두 번째로는 그 역사 속에 살아가는 소시민 혹은 민중들의 모습을 통해서, 역설적으로 그 시대의 상황을 상징해내는 것이다. 이러한 첫 번째의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는 역사의 main stream 혹은 leading group 에 속하는 인물들을 중심으로 사건을 전개해 나간다. 그래서 주요한 역사적 사건들을 서술해 나가서 그 시대에 대한 큰 개념과 틀을 잡아준다. 예를 들자면 `잔다르크`라던가 `브레이브 하트` 류의 영화들이 이에 속한다. 이런 영화들은 영웅 중심의 사관을 적나라하게드러내 준다. 하지만 이와는 정 반대로 역사속에 묻혀 버릴 수 밖에 없는 나약한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영화가 두 번째에 속한다. 알반 소수 민중 혹은 민초 중심의 사관을 보여주는 영화들로서 앞의 분류에 따르면 후자에 속한다고 볼 수 있는 영화이다. `남경 1937` 이라던가 지금 지금 논하고 있는 `붉은 수수밭`이 이에 속한다. 나는 따로 역사를 전공한 사람이 아니라서 영웅 중심의 사관과 민중 중심의 사관을 정확한 용어로 무엇이라고 부르는지는 잘 알지 못한다. 하물며 그 각각의 사관에 어떤 의미가 담겨있는지도 잘 알지 못한다. 하지만 만약 보통 사람의 삶에 더욱 근접한 것, 따라서 더욱 감동을 줄 수 있는 것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후자를 망설임 없이 택하겠다. 붉은 수수밭은 연약한 한 여인의 운명을 빚대어서 중국근대사에 침략해 들어온 일본군의 만행과 역사적 모순을 가감없이 표현 하고저 한 것이었고, 그것은 어느 정도 성공 하였다고 볼수 있겠다.
III. 결론
이상과 같이 붉은 수수밭의 주요 내용과 그 역사적인 의미에 대해서 살펴 보았다. 그 역사적인 근간과 내용을 같이 훑어 내려가다보니, 이 영화가 단순한 명절용 영화가 아니라 의외로 큰 역사적 의미와 내용을 가진 영화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앞으로는 영화를 감상할 때 단순히 영화뿐 만이 아니라, 그 역사적인 함축된 의미도 같이 생각해 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앞으로 우리나라의 영화계나 문학계에도 이런 큰 작품이 빨리 나왔으면 하는 개인적인 바램을 가져 보았다.
IV. 참고 자료
붉은 수수밭 (1989년도, 장예모 감독)
붉은 수수밭 (모옌 지음/ 심혜영 옮김/ 문학과 지성사/2014)
[ 붉은 수수밭의 평가 ]
영화에서는 일반적으로 역사라는 주제를 다룰 때는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곤 한다.
첫 번째 역사의 큰 물줄기 자체를 보여주는 것이고 두 번째로는 그 역사 속에 살아가는 소시민 혹은 민중들의 모습을 통해서, 역설적으로 그 시대의 상황을 상징해내는 것이다. 이러한 첫 번째의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는 역사의 main stream 혹은 leading group 에 속하는 인물들을 중심으로 사건을 전개해 나간다. 그래서 주요한 역사적 사건들을 서술해 나가서 그 시대에 대한 큰 개념과 틀을 잡아준다. 예를 들자면 `잔다르크`라던가 `브레이브 하트` 류의 영화들이 이에 속한다. 이런 영화들은 영웅 중심의 사관을 적나라하게드러내 준다. 하지만 이와는 정 반대로 역사속에 묻혀 버릴 수 밖에 없는 나약한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영화가 두 번째에 속한다. 알반 소수 민중 혹은 민초 중심의 사관을 보여주는 영화들로서 앞의 분류에 따르면 후자에 속한다고 볼 수 있는 영화이다. `남경 1937` 이라던가 지금 지금 논하고 있는 `붉은 수수밭`이 이에 속한다. 나는 따로 역사를 전공한 사람이 아니라서 영웅 중심의 사관과 민중 중심의 사관을 정확한 용어로 무엇이라고 부르는지는 잘 알지 못한다. 하물며 그 각각의 사관에 어떤 의미가 담겨있는지도 잘 알지 못한다. 하지만 만약 보통 사람의 삶에 더욱 근접한 것, 따라서 더욱 감동을 줄 수 있는 것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후자를 망설임 없이 택하겠다. 붉은 수수밭은 연약한 한 여인의 운명을 빚대어서 중국근대사에 침략해 들어온 일본군의 만행과 역사적 모순을 가감없이 표현 하고저 한 것이었고, 그것은 어느 정도 성공 하였다고 볼수 있겠다.
III. 결론
이상과 같이 붉은 수수밭의 주요 내용과 그 역사적인 의미에 대해서 살펴 보았다. 그 역사적인 근간과 내용을 같이 훑어 내려가다보니, 이 영화가 단순한 명절용 영화가 아니라 의외로 큰 역사적 의미와 내용을 가진 영화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앞으로는 영화를 감상할 때 단순히 영화뿐 만이 아니라, 그 역사적인 함축된 의미도 같이 생각해 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앞으로 우리나라의 영화계나 문학계에도 이런 큰 작품이 빨리 나왔으면 하는 개인적인 바램을 가져 보았다.
IV. 참고 자료
붉은 수수밭 (1989년도, 장예모 감독)
붉은 수수밭 (모옌 지음/ 심혜영 옮김/ 문학과 지성사/2014)
키워드
추천자료
2009년 2학기 노인교육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노인자서전)
2008년 2학기 여가와삶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영화 님은 먼 곳에를 보고)
2008년 2학기 여가와삶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영화 울학교 이티를 보고)
2008년 2학기 여가와삶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영화 신기전을 보고)
2006년 2학기 여가와삶 중간시험과제물3(영화 타짜를 보고)
2006년 2학기 여가와삶 중간시험과제물2(영화 라디오스타를 보고)
2006년 2학기 여가와삶 중간시험과제물(영화괴물을보고)
2011년 1학기 교육고전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교재 소개된 고전에 대한 독후감)
2011년 1학기 동서양고전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E형(사진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2011년 1학기 동서양고전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D형(박세당의노자)
2011년 1학기 동서양고전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B형(니코마코스윤리학)
2011년 1학기 패션산업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21세기한국패션산업의현황)
2012년 2학기 현대일본경제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년차경제재정보고)
2015년 2학기 언어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D형(인간 언어의 음성 특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