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 론
· 건축의 의미에 대한 고찰과 조사방향
□ 본 론
· 건축의 사전적 의미
· 건축의 목적
- 혼재된 건축의 목적과 의문
- 건축물의 역사와 당시의 목적
① 선사시대 건축물
② 역사시대 건축물
- 당대의 철학과 함께하는 건축
- 저명한 건축가들, 예술적 의미의 건축
□ 결 론
· 건축의 의미에 대한 고찰과 조사방향
□ 본 론
· 건축의 사전적 의미
· 건축의 목적
- 혼재된 건축의 목적과 의문
- 건축물의 역사와 당시의 목적
① 선사시대 건축물
② 역사시대 건축물
- 당대의 철학과 함께하는 건축
- 저명한 건축가들, 예술적 의미의 건축
□ 결 론
본문내용
있다고 한다.
②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1887~1965)
그는 건축물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데 모든 인생을 걸었던 건축가였다. 실제 삶에서도 사그라다파밀리아 성당을 짓는 데 본인의 전 재산을 투입했으며, 남은 모든 일생을 성당을 짓는데 썼다고 한다. 하지만 미완성인 상태로 죽음에 이르렀기 때문에 현재도 그 성당은 계속 짓는 중이며, 그의 시신 또한 성당 지하에 안치되어 있다고 한다.
②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 1887~1965>
“집은 살기위한 기계다”
“사유가 없으면 건축도 없다”
현대건축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르 코르뷔지에는 무려 17가지 건축물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건축가이다. 그는 기존의 ‘사람이 사는 집’에서 ‘더 많은 사람이 더 효율적인 공간에서 함께 살 수 있는 집’으로 건축 개념이 바뀌는 선두에 있었다. 즉, 단순히 아름다운 건축물을 남긴 건축가에 그치지 않고 기존의 건축 관념을 깨고, 오늘날 현대 건축에 적용되는 많은 이론을 만들어낸 건축 이론의 선구자이기도 했다
* 현대건축의 5원칙(르 코르뷔지에)
- 필로티(건물의 1층을 비워두는 방식)
- 옥상정원(휴식장소로서의 역할)
- 자유로운 파사드(전면에서 물러난 기둥이 벽 대신 건물 하중을 받치는 방식)
- 자유로운 평면(연속성과 개방성을 가진 벽과 칸막이)
- 수평창(자연광을 더 많이 받아들이고 파노라마가 가능한 창)
두 건축가는 모두 건축을 바라보는 데에 있어, 본인의 철학을 녹였다는 공통점이 있다. 하지만 그 철학의 성격은 엄연히 다르게 느껴지기도 한다. 가우디는 자연을 인간의 건축물에 녹여내고 그 아름다움을 극대화한 반면, 르 코르뷔지에는 “공간”의 관점을 극대화하고 인간이 사용했을 때 그 편안함이나 실용성을 접목시킨 예술을 펼쳤다.
이를 미루어 볼 때, 예술의 의미를 다시 한 번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예술이란 사전적 의미로 “문자가 아닌 형태를 빌려와 메시지를 전달하는 부드러운 표현 방법”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또한 예술은 본래 기술과 같은 의미라고 한다. 어떤 고고하고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감각적 발현뿐만 아니란 의미로 해석된다. 즉, 선사시대에 비와 눈, 바람을 피해 나뭇가지를 꺾어 지은 움막부터 현대기술의 자랑이라 할 수 있는 초고층 빌딩까지 모두 예술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앞서 거론했던 “건축의 목적”에는 “예술의 발현”이 포함되어 있다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 결 론
과제를 수행하며 건축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사전적 의미부터 그 목적에 따른 역사적 건축의 변천사를 개략적으로 알아보았다. 또한 건축이 갖는 의미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역사적으로 저명한 건축가 2명의 사상과 철학을 엿보았다. 이렇게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의문으로 예술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찾게 되었고, 건축은 결국 기술을 포함한다는 의미의 예술의 발현이라는 결론을 과정을 이어갈 수 있었다.
과제를 조사하는 중에 바벨탑에 대한 내용이 매우 인상깊었다. 이 전설은 성경에 나오는데, 인간이 신의 힘을 부정하고 자신들이 신에 도달할 수 있다는 일념 하나로 탑을 세우다 신의 권능으로 인하여 인간들 사이에 언어가 분열이 되고 그 탑이 무너졌다는 일화를 갖고 있다.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 책에 의하면 “인류는 신이 되어가는 것”이라고 한다. 인류의 철학적 사유와 기술력이 발전함에 따라 건축 또한 같이 발전해온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이를 미루어 볼 때, 우린 언젠가 바벨탑과 같이 인류가 신이 되었음을 찬양하는 건축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렇듯 총체적인 철학과 기술력이 담긴 미래의 건축을 생각할 때,
나는 “건축이란 신의 보금자리”라고 정의한다.
②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1887~1965)
그는 건축물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데 모든 인생을 걸었던 건축가였다. 실제 삶에서도 사그라다파밀리아 성당을 짓는 데 본인의 전 재산을 투입했으며, 남은 모든 일생을 성당을 짓는데 썼다고 한다. 하지만 미완성인 상태로 죽음에 이르렀기 때문에 현재도 그 성당은 계속 짓는 중이며, 그의 시신 또한 성당 지하에 안치되어 있다고 한다.
②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 1887~1965>
“집은 살기위한 기계다”
“사유가 없으면 건축도 없다”
현대건축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르 코르뷔지에는 무려 17가지 건축물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건축가이다. 그는 기존의 ‘사람이 사는 집’에서 ‘더 많은 사람이 더 효율적인 공간에서 함께 살 수 있는 집’으로 건축 개념이 바뀌는 선두에 있었다. 즉, 단순히 아름다운 건축물을 남긴 건축가에 그치지 않고 기존의 건축 관념을 깨고, 오늘날 현대 건축에 적용되는 많은 이론을 만들어낸 건축 이론의 선구자이기도 했다
* 현대건축의 5원칙(르 코르뷔지에)
- 필로티(건물의 1층을 비워두는 방식)
- 옥상정원(휴식장소로서의 역할)
- 자유로운 파사드(전면에서 물러난 기둥이 벽 대신 건물 하중을 받치는 방식)
- 자유로운 평면(연속성과 개방성을 가진 벽과 칸막이)
- 수평창(자연광을 더 많이 받아들이고 파노라마가 가능한 창)
두 건축가는 모두 건축을 바라보는 데에 있어, 본인의 철학을 녹였다는 공통점이 있다. 하지만 그 철학의 성격은 엄연히 다르게 느껴지기도 한다. 가우디는 자연을 인간의 건축물에 녹여내고 그 아름다움을 극대화한 반면, 르 코르뷔지에는 “공간”의 관점을 극대화하고 인간이 사용했을 때 그 편안함이나 실용성을 접목시킨 예술을 펼쳤다.
이를 미루어 볼 때, 예술의 의미를 다시 한 번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예술이란 사전적 의미로 “문자가 아닌 형태를 빌려와 메시지를 전달하는 부드러운 표현 방법”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또한 예술은 본래 기술과 같은 의미라고 한다. 어떤 고고하고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감각적 발현뿐만 아니란 의미로 해석된다. 즉, 선사시대에 비와 눈, 바람을 피해 나뭇가지를 꺾어 지은 움막부터 현대기술의 자랑이라 할 수 있는 초고층 빌딩까지 모두 예술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앞서 거론했던 “건축의 목적”에는 “예술의 발현”이 포함되어 있다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 결 론
과제를 수행하며 건축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사전적 의미부터 그 목적에 따른 역사적 건축의 변천사를 개략적으로 알아보았다. 또한 건축이 갖는 의미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역사적으로 저명한 건축가 2명의 사상과 철학을 엿보았다. 이렇게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의문으로 예술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찾게 되었고, 건축은 결국 기술을 포함한다는 의미의 예술의 발현이라는 결론을 과정을 이어갈 수 있었다.
과제를 조사하는 중에 바벨탑에 대한 내용이 매우 인상깊었다. 이 전설은 성경에 나오는데, 인간이 신의 힘을 부정하고 자신들이 신에 도달할 수 있다는 일념 하나로 탑을 세우다 신의 권능으로 인하여 인간들 사이에 언어가 분열이 되고 그 탑이 무너졌다는 일화를 갖고 있다.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 책에 의하면 “인류는 신이 되어가는 것”이라고 한다. 인류의 철학적 사유와 기술력이 발전함에 따라 건축 또한 같이 발전해온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이를 미루어 볼 때, 우린 언젠가 바벨탑과 같이 인류가 신이 되었음을 찬양하는 건축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렇듯 총체적인 철학과 기술력이 담긴 미래의 건축을 생각할 때,
나는 “건축이란 신의 보금자리”라고 정의한다.
추천자료
건축가 없는 건축 & 친환경건축
[건축형태론]도시논리와 건축형태(도시논리와 건축형태에 따른 강남교보타워 분석)
[건축환경공학]국내외 환경친화 건축물의 인증 및 평가제도와 적용 건축물 사례
[미니멀리즘 건축] 미니멀리즘 건축작가와 건축작품
한국어문학, 한국 전통건축에서 들어난 한국 철학사상과 현대건축에 나타난 한국전통건축
[공간구성][건축디자인][학교도서관][불국사][예술][건축][공간][리모델링][문화예술][배치][...
[실내공간, 구조주의건축, 전통적 표현, 베리어프리, 인스톨레이션, 구조주의, 건축, 매개공...
[복합, 복합용도건축, 복합문화시설, 복합예술, 복합민원, 복합복지, 복합원산지, 복합불황]...
[건축재료] 유리 및 유리제품 (Glass and an article of glass) (유리의 성질, 제조과정, 건...
[현대건축] 건축가, 일본건축과 안도 다다오 (안도 타다오 / Ando Tadao) & 쿠마 켄고 (K...
[건축학] 전통건축의 현대적 재조명 - 한국목조건축의 공포 결구체계를 응용한 현대 철골조 D...
건축계획 교수학습지도안 - Ⅱ. 건축 관련 계획. 주택의 배치 계획, 2.건축 관련 계획
[서양건축사] 바로크 건축에 해당하는 베르사유 건축 - 베르사유 궁전 (Chateau de Versaille...
[미니멀리즘 건축] 미니멀리즘 건축의 사례 ; 미니멀리즘 건축의 특징과 발전과정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