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교수 학습 상황
1) 기반
2) 학습자
2. 교재 외적인 구성
3. 교재 내적인 구성
1) 구성 목표 및 원리
2) 학습 내용
Ⅲ. 결론
Ⅱ. 본론
1.교수 학습 상황
1) 기반
2) 학습자
2. 교재 외적인 구성
3. 교재 내적인 구성
1) 구성 목표 및 원리
2) 학습 내용
Ⅲ. 결론
본문내용
소개, 녹음테이프
발음 방법 소개, 녹음테이프
발음 방법 소개, 녹음 테이프
내용
구어축약, 강세, 억양, 음운 규칙을 다룸
구어축약, 음운규칙을 다룸
구어 축약, 음운규칙을 다룸
구어 축약, 음운규칙을 다룸
구어축약, 강세, 억양, 음운 규칙을 다룸
마. 담화와 화용
전반적으로 매우 부족한데 교재 <가>, <다>, <라>가 문장 이상의 언어 사용이 나타나고 있었다. 문체나 발화 상황은 상황에 필요한 표현을 제공하는 정도였고, 실생활과 관련된 담화 표지나 간접 표현도 주저 표현 정도가 나타나고 있었다. 상호작용의 특징도 반응을 나타내는 표현을 담고 있는 정도였다.
라. 문화
문화는 성취 문화와 일상 문화가 함께 나타나나 교재 <라>의 경우, 초급의 일상 문화, 중급은 일상 문화와 성취 문화, 고급은 성취 문화로 배열을 하고 있다.
교재 <나>와 <바>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별도의 문화 항목을 단원 말미에 두어 문화 정보를 제공하며, 교재 <라>만 중간에 문화가 나타나고 있다. 문화는 주로 문화적인 요소에 대해 설명하는 방식이어서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인데, 교재 <가>가 한국 문화와 학습자 문화를 비교하는 글쓰기를 시키는 등 활동하는 방식을 시도하고 있다. 그리고 교재 <나>가 목표 문화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내나 다른 교재는 객관적인 태도로 문화를 담고 있다.
<표9> 문화
가
나
다
라
마
바
내용
성취 문화와 일상 문화
성취 문화와 일상 문화
성취 문화와 일상 문화
일상 문화,성취 문화
성취 문화와 일상 문화
일상 문화가 주로 나타남
시각
문화 상대 주의
목표 문화에 대해 부정적
문화 상대 주의
문화 상대 주의
문화 상대 주의
문화 상대 주의
제시
설명, 활동
별도의 문화 항목이 없음
설명
설명 (영어)
설명
별도의 문화항목이 없음
Ⅲ. 결론
1990년대부터 급성장하기 시작한 한국어교육은 2000년대 들어 학문적인 정체성 확립, 학문 간의 연계활동,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등으로 안정적인 교육여건을 확립하고 있다. 여기에 한국의 경제력 향상, 한국문화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과 국내외의 한국어 학습자의 수요 증가 등의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여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을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되었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는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사용 능력 신장을 위하여 필요한 지식과 기능이 무엇인가에 대해 고민하고 연구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육의 목적이 전제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한국어교육 현황과 교육자료 분석은 국내외 정규 교육기관에서 학습하는 일반적인 학습자와 여기에서 출간한 교재들을 주된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특수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교육현황과 교육자료 분석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수준 높은 한국어교육과 보급을 위해서는 다양한 수요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이에 맞춰 교수법, 교재 개발, 교수 과정 설계 등의 세부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탕이 되어야만 한국어가 세계적인 언어가 될 수 있고 세계적인 학문으로까지 발전 할 수 있을 것이다.
발음 방법 소개, 녹음테이프
발음 방법 소개, 녹음 테이프
내용
구어축약, 강세, 억양, 음운 규칙을 다룸
구어축약, 음운규칙을 다룸
구어 축약, 음운규칙을 다룸
구어 축약, 음운규칙을 다룸
구어축약, 강세, 억양, 음운 규칙을 다룸
마. 담화와 화용
전반적으로 매우 부족한데 교재 <가>, <다>, <라>가 문장 이상의 언어 사용이 나타나고 있었다. 문체나 발화 상황은 상황에 필요한 표현을 제공하는 정도였고, 실생활과 관련된 담화 표지나 간접 표현도 주저 표현 정도가 나타나고 있었다. 상호작용의 특징도 반응을 나타내는 표현을 담고 있는 정도였다.
라. 문화
문화는 성취 문화와 일상 문화가 함께 나타나나 교재 <라>의 경우, 초급의 일상 문화, 중급은 일상 문화와 성취 문화, 고급은 성취 문화로 배열을 하고 있다.
교재 <나>와 <바>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별도의 문화 항목을 단원 말미에 두어 문화 정보를 제공하며, 교재 <라>만 중간에 문화가 나타나고 있다. 문화는 주로 문화적인 요소에 대해 설명하는 방식이어서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인데, 교재 <가>가 한국 문화와 학습자 문화를 비교하는 글쓰기를 시키는 등 활동하는 방식을 시도하고 있다. 그리고 교재 <나>가 목표 문화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내나 다른 교재는 객관적인 태도로 문화를 담고 있다.
<표9> 문화
가
나
다
라
마
바
내용
성취 문화와 일상 문화
성취 문화와 일상 문화
성취 문화와 일상 문화
일상 문화,성취 문화
성취 문화와 일상 문화
일상 문화가 주로 나타남
시각
문화 상대 주의
목표 문화에 대해 부정적
문화 상대 주의
문화 상대 주의
문화 상대 주의
문화 상대 주의
제시
설명, 활동
별도의 문화 항목이 없음
설명
설명 (영어)
설명
별도의 문화항목이 없음
Ⅲ. 결론
1990년대부터 급성장하기 시작한 한국어교육은 2000년대 들어 학문적인 정체성 확립, 학문 간의 연계활동,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등으로 안정적인 교육여건을 확립하고 있다. 여기에 한국의 경제력 향상, 한국문화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과 국내외의 한국어 학습자의 수요 증가 등의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여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을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되었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는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사용 능력 신장을 위하여 필요한 지식과 기능이 무엇인가에 대해 고민하고 연구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육의 목적이 전제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한국어교육 현황과 교육자료 분석은 국내외 정규 교육기관에서 학습하는 일반적인 학습자와 여기에서 출간한 교재들을 주된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특수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교육현황과 교육자료 분석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수준 높은 한국어교육과 보급을 위해서는 다양한 수요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이에 맞춰 교수법, 교재 개발, 교수 과정 설계 등의 세부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탕이 되어야만 한국어가 세계적인 언어가 될 수 있고 세계적인 학문으로까지 발전 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과학과 교육의 본질, 과학과 교육의 유형, 과학과 교육의 성격과 특성, 과학과 교육의 목표, ...
[특수교육]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과정과 목표,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수준과 위상, 특수...
중등(중학교) 컴퓨터교과(컴퓨터교육)의 교과목표, 중등(중학교) 컴퓨터교과(컴퓨터교육)의 ...
[과학]고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성격과 목표, 고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내용과 선택...
사회과(사회과교육)의 성격과 목표,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의 내용체계, 초등학교 사회...
[초등사회과교육]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사회과교육) 실태와 내용체계, 초등학교 3학년 사회...
고등학교 이산수학의 특징과 배경, 고등학교 이산수학의 내용체계와 영역별내용, 고등학교 이...
컴퓨터과(컴퓨터수업, 컴퓨터교육)의 성격과 목표, 컴퓨터과(컴퓨터수업, 컴퓨터교육)의 실태...
슬기로운생활 교과의 성격과 목표, 슬기로운생활 교과의 변천 과정, 슬기로운생활 교과의 기...
초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의 교과용도서활용과 발문활용, 초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의 계산...
[환경교육][환경교육 교수학습방법][환경교육 발전과제]환경교육의 의미, 환경교육의 목적, ...
[유아 수학교육][유아교육]유아 수학교육의 목적, 유아 수학교육의 필요성, 유아 수학교육의 ...
유아 음악교육의 의미, 유아 음악교육의 강조사항, 유아 음악교육의 필요성, 유아 음악교육의...
유치원교육과정(유아교육과정) 목적과 변천과정, 유치원교육과정(유아교육과정) 기본방향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