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 그리스 로마 신화와 문학
1)그리스 로마 신화란?
2)문학 속에서 나오는 그리스 로마 신화와 특징
3)그리스 로마 신화에 영향을 받은 작품들.
3. 결론
-참고문헌
2.본론 - 그리스 로마 신화와 문학
1)그리스 로마 신화란?
2)문학 속에서 나오는 그리스 로마 신화와 특징
3)그리스 로마 신화에 영향을 받은 작품들.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생하고 있다. 다만 그리스 로마 신화보다는 북유럽 신화 중심으로 쓰여지는 경우가 대 다수라는 점도 있다. 다만 이렇게 쓰고 있다는 이유는 문학적으로 보았을 때 그리스 로마 신화에 나오는 캐릭터들의 모습들이 특별하거나 한 캐릭터들을 표현할 때 좋은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 크다.
고대부터 내려온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근대에는 반지의 제왕, 호빗, 현대에는 왕좌의 게임이 그 계보를 이어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영향력을 받았던 작품들은 하나의 원인으로 본다면 대부분 신화와 관련이 되어 있고 그 신화들 중 그리스 로마 신화가 한 몫을 크게 하고 있다는 점이 있다. 세계를 창조하는 창조신의 권능들은 고대부터 지금까지 크게 바뀌지 않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신화적 이야기라는 점에서 이야기의 대부분의 결말은 권선징악과 인물들의 성장이 들어나는 이야기들이 많다. 권선징악이라는 간단한 틀을 크게 세계관과 역사성을 합쳐서 크게 만들어낸다는 것이 현대의 작가들이 만들어내기 어려운 일이다. 국내 작가들도 국내 신화 이야기들을 새로 재 각색하여 이야기를 만들어내지만 이에 대해 큰 흥행을 이끌어냈던 작품들은 별로 없다.
3. 결론
그리스 로마 신화라는 이야기를 가지고 영향력 있는 작품들을 살펴본다면 주로 서양권의 작품들이 크게 눈에 띈다는 점이다. 물론 이러한 문학 작품들도 동양권에서 성장할 수 있지만 유입된 시기가 길지 못하다는 점과 신화라는 점, 동양권 신화와 문화에 익숙한 사람들이 쓰고 재창조하기가 어렵다는 것도 추가된다.
또한 그리스 로마 신화는 문학에 국한되지 않았다는 점도 있었다. 최근에 들어서 위에 예로 들었던 두 작품은 영화화와 게임화까지 성공한 작품들이었기 때문이다. 단순히 신화라는 점과 단편적인 줄거리들을 많이 만들어내고 세부적인 이야기들을 추가로 넣어 발전시켰다고 보기는 힘들다. 신화가 가지고 있는 이야기의 배경 지식들을 대부분의 사람들이 공감하였기에 이러한 성과를 거두었다고 생각된다.
북유럽 신화보다 유명하고 많은 기록들이 남겨져 있는 그리스 로마 신화의 경우에는 게임 시나리오나 스토리에도 많은 요소들이 비슷하거나 같은 경우가 있다. 세계관이 넓은 워크래프트 또한 이와 비슷한 창조신 설화와 행성의 탄생과 발전의 과정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또한 그에 등장하는 종족들 또한 그 나름대로 서사적인 요소들을 가지고 있어서 보는 이에게도 큰 재미를 선사한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우리나라 단군 신화나 삼국 신화 또한 이러한 그리스 로마 신화처럼 발전하고 전 세계에게 퍼트려 많은 문화권에 영향력을 주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최근에 들어 해외 문화권에서 나온 신화들을 많은 장르 문학계에서 인용하는 경우가 많다. 앞으로 우리나라가 해야 할 일은 우리나라의 문학과 신화들을 해외에 알려서 활동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
그리스 로마 신화처럼 서로 연계가 되면서 이야기가 이어지는 신화는 우리나라의 단군 왕검 신화와 고구려 건국, 백제 건국, 부여 신화와 연계가 된다는 점이 큰 장점이 되면서 중국이 실시하는 대북공정을 막을 수 있는 하나의 방파제 역할로도 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 참고 문헌 -
신화를 바탕으로 한 상징적 이미지 조형 표현 연구 : 그리스 시지프스 신화를 중심으로 = (An) Artistic Study on Symbolic Images of Myth - 학위논문(석사)-황순영-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대학원
J. R. R. 톨킨의 『반지의 제왕』 : 신화 역사 판타지 = J. R. R. Tolkien\'s The Lord of the Rings : myth, history and fantasy - 학위논문(석사) -이하영 --- 연세대학교 대학원
고대부터 내려온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근대에는 반지의 제왕, 호빗, 현대에는 왕좌의 게임이 그 계보를 이어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영향력을 받았던 작품들은 하나의 원인으로 본다면 대부분 신화와 관련이 되어 있고 그 신화들 중 그리스 로마 신화가 한 몫을 크게 하고 있다는 점이 있다. 세계를 창조하는 창조신의 권능들은 고대부터 지금까지 크게 바뀌지 않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신화적 이야기라는 점에서 이야기의 대부분의 결말은 권선징악과 인물들의 성장이 들어나는 이야기들이 많다. 권선징악이라는 간단한 틀을 크게 세계관과 역사성을 합쳐서 크게 만들어낸다는 것이 현대의 작가들이 만들어내기 어려운 일이다. 국내 작가들도 국내 신화 이야기들을 새로 재 각색하여 이야기를 만들어내지만 이에 대해 큰 흥행을 이끌어냈던 작품들은 별로 없다.
3. 결론
그리스 로마 신화라는 이야기를 가지고 영향력 있는 작품들을 살펴본다면 주로 서양권의 작품들이 크게 눈에 띈다는 점이다. 물론 이러한 문학 작품들도 동양권에서 성장할 수 있지만 유입된 시기가 길지 못하다는 점과 신화라는 점, 동양권 신화와 문화에 익숙한 사람들이 쓰고 재창조하기가 어렵다는 것도 추가된다.
또한 그리스 로마 신화는 문학에 국한되지 않았다는 점도 있었다. 최근에 들어서 위에 예로 들었던 두 작품은 영화화와 게임화까지 성공한 작품들이었기 때문이다. 단순히 신화라는 점과 단편적인 줄거리들을 많이 만들어내고 세부적인 이야기들을 추가로 넣어 발전시켰다고 보기는 힘들다. 신화가 가지고 있는 이야기의 배경 지식들을 대부분의 사람들이 공감하였기에 이러한 성과를 거두었다고 생각된다.
북유럽 신화보다 유명하고 많은 기록들이 남겨져 있는 그리스 로마 신화의 경우에는 게임 시나리오나 스토리에도 많은 요소들이 비슷하거나 같은 경우가 있다. 세계관이 넓은 워크래프트 또한 이와 비슷한 창조신 설화와 행성의 탄생과 발전의 과정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또한 그에 등장하는 종족들 또한 그 나름대로 서사적인 요소들을 가지고 있어서 보는 이에게도 큰 재미를 선사한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우리나라 단군 신화나 삼국 신화 또한 이러한 그리스 로마 신화처럼 발전하고 전 세계에게 퍼트려 많은 문화권에 영향력을 주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최근에 들어 해외 문화권에서 나온 신화들을 많은 장르 문학계에서 인용하는 경우가 많다. 앞으로 우리나라가 해야 할 일은 우리나라의 문학과 신화들을 해외에 알려서 활동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
그리스 로마 신화처럼 서로 연계가 되면서 이야기가 이어지는 신화는 우리나라의 단군 왕검 신화와 고구려 건국, 백제 건국, 부여 신화와 연계가 된다는 점이 큰 장점이 되면서 중국이 실시하는 대북공정을 막을 수 있는 하나의 방파제 역할로도 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 참고 문헌 -
신화를 바탕으로 한 상징적 이미지 조형 표현 연구 : 그리스 시지프스 신화를 중심으로 = (An) Artistic Study on Symbolic Images of Myth - 학위논문(석사)-황순영-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대학원
J. R. R. 톨킨의 『반지의 제왕』 : 신화 역사 판타지 = J. R. R. Tolkien\'s The Lord of the Rings : myth, history and fantasy - 학위논문(석사) -이하영 --- 연세대학교 대학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