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목차
제1부 가사노동의 개념과 연구
제1장 가사노동의 의의
제2장 가사노동연구의 경향
제3장 가사노동의 생산이론과 가치평가
제2부 가사노동의 관리와 전망
제4장 가사노동의 관리
제5장 가사노동의 정서적 요소
제6장 가사노동의 노동과학적 연구
제7장 가사노동의 전개와 전망
제3부 시간의 개념과 연구
제8장 시간의 개념
제9장 시간사용의 연구
제10장 시간사용의 연구방법
제4부 시간사용의 이해
제11장 우리나라 국민의 시간사용 실태 및 특징
제12장 시간사용의 국제비교
제13장 가족공유시간과 가사노동분담
제5부 시간관리와 시간사용의 과제
제14장 시간관리
제15장 시간사용의 변화와 과제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 해설포함 *
제1장 가사노동의 의의
제2장 가사노동연구의 경향
제3장 가사노동의 생산이론과 가치평가
제2부 가사노동의 관리와 전망
제4장 가사노동의 관리
제5장 가사노동의 정서적 요소
제6장 가사노동의 노동과학적 연구
제7장 가사노동의 전개와 전망
제3부 시간의 개념과 연구
제8장 시간의 개념
제9장 시간사용의 연구
제10장 시간사용의 연구방법
제4부 시간사용의 이해
제11장 우리나라 국민의 시간사용 실태 및 특징
제12장 시간사용의 국제비교
제13장 가족공유시간과 가사노동분담
제5부 시간관리와 시간사용의 과제
제14장 시간관리
제15장 시간사용의 변화와 과제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 해설포함 *
본문내용
제1장 가사노동의 의의
1. 가사노동의 개념
(1) 초기 학문적 접근의 전개
① 1920년대: 노동보다 작업의 관점에서 접근, 가정생활의 개선을 강조
② 1930년대: Reid - 가계생산 (household production)으로 명명
③ 1960년대
- Walker: 가사노동 시간배분 및 화폐가치 평가 시도
- Beutler & Owen: 가정생산활동모형(home production activity model)
④ 1970년대: Becker - 신가정경제학(New Home Economics) 가계생산모형
(2) 초기 가사노동 연구의 한계
주부에 의한 가계유지(housekeeping), 관리, 가족구성원 돌봄 관련 활동으로 정의
(3) Reid의 가계생산 (household production)
① 가사노동을 가족원에 의해, 가족원을 위해 수행되는 무보수 활동으로 정의
② 소득, 시장여건, 개인의 취향 등에 따라 상품대체 가능
③ 의의: 가사노동을 ‘생산’으로 이해하고 ‘대체가능성’을 명시
(4) Beutler & Owen의 가정생산(home production)
① 생산활동을 ‘시장생산’과 ‘가정생산’으로 유형화
② Reid의 가계생산 개념 보완
- 분리가능한 가정생산: 가계생산
- 분리불가능한 가정생산: 가계 내 생산, 가계 간 생산, 지역사회봉사
(5) Walker & Woods(1976)
① 가계생산과 가사노동을 동일시
② 재화와 용역을 창출하기 위해 개별 가계에서 수행하는 모든 의도적 활동
③ 무보수활동뿐 아니라 보수활동도 포함한 개념정의
- 중략 -
1. 가사노동의 개념
(1) 초기 학문적 접근의 전개
① 1920년대: 노동보다 작업의 관점에서 접근, 가정생활의 개선을 강조
② 1930년대: Reid - 가계생산 (household production)으로 명명
③ 1960년대
- Walker: 가사노동 시간배분 및 화폐가치 평가 시도
- Beutler & Owen: 가정생산활동모형(home production activity model)
④ 1970년대: Becker - 신가정경제학(New Home Economics) 가계생산모형
(2) 초기 가사노동 연구의 한계
주부에 의한 가계유지(housekeeping), 관리, 가족구성원 돌봄 관련 활동으로 정의
(3) Reid의 가계생산 (household production)
① 가사노동을 가족원에 의해, 가족원을 위해 수행되는 무보수 활동으로 정의
② 소득, 시장여건, 개인의 취향 등에 따라 상품대체 가능
③ 의의: 가사노동을 ‘생산’으로 이해하고 ‘대체가능성’을 명시
(4) Beutler & Owen의 가정생산(home production)
① 생산활동을 ‘시장생산’과 ‘가정생산’으로 유형화
② Reid의 가계생산 개념 보완
- 분리가능한 가정생산: 가계생산
- 분리불가능한 가정생산: 가계 내 생산, 가계 간 생산, 지역사회봉사
(5) Walker & Woods(1976)
① 가계생산과 가사노동을 동일시
② 재화와 용역을 창출하기 위해 개별 가계에서 수행하는 모든 의도적 활동
③ 무보수활동뿐 아니라 보수활동도 포함한 개념정의
- 중략 -
추천자료
여성의 가사노동과 노동현실
가사노동, 감정 노동
[교육학] 성공하는 리더를 위한 시간관리 테크닉을 읽고
남녀 비교우위론 -가사노동과 사회노동 측면
[가사노동의 가치] 여성의 가사노동에 대한 이해와 사획적, 경제적 가치
본인과 성인 1인의 1주일간의 시간사용 실태를 분석하고, 자신의 생활목표에 근거한 요일별 ...
여성문제 근본적 이유, 여성의 가사노동문제(여성 가사노동문제), 여성의 직업문제(여성 직업...
능력있는 사람의 시간관리 총체적 분석
[2000년대, 산업기술기반조성사업]2000년대의 산업기술기반조성사업, 2000년대의 경제정세, 2...
[산업기술, 공정혁신, 지식인프라, 벤처기업, 가사노동]산업기술과 공정혁신, 산업기술과 지...
열심히 일한 당신, 더 일해라.[노동시간과 생산성을 중심으로]
[세상읽기와논술 B형] 가정 또는 직장 및 사회생활에서 경험한 부조리 또는 모순이 있다면 실...
[가사노동] 가사노동논쟁, 가사노동과 여성의 지위, 가사노동에 대한 긍정적 및 부정적 견해,...
성과없이 바쁘기만 한 당신을 위한 시간관리 스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