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협진과 CASE] 만성적인 설사를 주소로 하는 수두증 환자 1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서협진과 CASE] 만성적인 설사를 주소로 하는 수두증 환자 1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증례
Ⅱ. 고찰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會穴, 삼초의 기가 소생하는 곳으로 補腎固本, 補益氣原, 回陽固脫의 주치를 가지고 있다6).
한편, 본 환자는 인체 전반의 기혈음양부조로 사기(폐렴균, VRE등)의 침입에 노출되었고 그로 인해 현재 주된 標證은 호흡곤란, 객담이라고 할 수 있다. 폐렴은 한의학적으로 肺癰, 넓게는 瘟病에 해당한다. 항생제 치료로 인해 약투여를 중지하였으나 증상이 개선된다면 攻補兼施의 의미로 기존 처방인 삼출건비탕에 喀痰 및 咳嗽, 肺鬱을 치료하는 패모, 상백피, 방풍, 의이인, 반하, 과루인, 행인을 가미하여 투여해볼 수 있다. 기침이 심할 경우에는 加味鎭咳湯(숙지황, 나복자, 황기, 백출, 백복령, 반하, 진피, 당귀, 맥문동, 길경, 소엽, 전호, 오미자, 패모, 감초)를 응용할 수 있다 정병주, 한승혜, 김진원, 기관지확장증과 폐렴이 병발한 고령의 환자를 폐옹으로 변증한 치험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6(3),2005;626-633
. 상기처방들은 모두 거담진해하는 攻劑만으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더불어 補脾, 補腎하는 약제들을 기본으로 가감된 처방이므로 고령의 허약한 상태의 환자에게 처방하였을 때 큰 부담이 없이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Ⅲ. 참고문헌
  • 가격2,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8.05.25
  • 저작시기201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57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