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렉 이러닝)))) 글로벌 시대의 예술과 가치 5~7주차 정리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셀렉 이러닝)))) 글로벌 시대의 예술과 가치 5~7주차 정리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5주차
2. 6주차
3. 7주차

본문내용

성에 상응하는 예술적 무질서와 이미지들을 대중적으로 표출
-기존의 미술을 파괴하고 새로운 기법들을 도입
ex1)오브제: 뒤샹의 샘(ready-made), 칠판에 지우개를 떼고 도시락 넣는 것=전위
ex2)아상블라주(assemblage):의자+자전거->새로운 작품
ex3)꼴라주(collage)
아쌍블라주+꼴라주= 캔버스에 이것저것 붙인 것.
플럭서스 Fluxus
-변화, 움직임, 흐름을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
-1960-70년대 걸쳐 일어난 국제적인 전위예술 운동
-‘삶과 예술의 조화’를 기치로 내걺. 구분x
-미술에서 출발, 장르에 국한되지 않는 탈장르적 예술운동으로 발전
-해프닝, 이벤트 등 행위의 우연성 긍정, 일상적 행위의 성격
-대표적 예술가 : Johncage(4분 30초) , JosephBeuys , 백남준
팝아트
-예술의 상품화
-산업사회의 모순을 드러내고 어떠한 대안도 제시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암묵적으로 산업사회의 수용하게 하는 이데올로기적 역할을 함.
-해밀턴의 콜라주(2차원 평면에 갖다 붙임) 작품에서 유래
-1950년대 영국에서 발생, 60년대 이후 미국에서 확산된 현대미술의 조류
-popular의 약자로 보는 경향이 유력
-일상생활에 범람하는 기성 이미지(자본주의 상품의 이미지)에서 제재를 취한 이 경향의 특징을 압축적으로 표현
-초기 팝아트는 조롱. 냉대. 이중적인 감정 네오팝에서는 완벽하게 상품의 논리로 전환.
-현대 산업사회의 특징인 대중문화 속에 등장하는 이미지(상품이미지)를 미술로 수용한 미술사조
기존: 이미지차용 , 팝아트: 기호나 기호체계로 사용
-20세기 중반 서양 산업 국가에서 발생한 매스미디어와 고도의 산업사회에 적합한 대표적인 미술양식으로 국제적 인정 받음
-예술작품이라고 간주되는 것들과 상품으로 취급되는 것이 본질적으로 차이가 없음을 보여줌
->대중사회에서 순수예술이라는 것 역시 하나의 상품에 불과함 -> 순수예술과 대중예술의 구분은 허위적이며 이데올로기적인 것에 불과함을 보여줌. ->순수예술비판
-예술의 상품화: 전통 순수예술이미지의 상품화 방향
-상품의 예술화: 대중적 이미지들을 순수예술 이미지로 격상하는 방향
-비판점: 현실을 폭로하면서도 어떤 대안을 제시하지 않음으로써 대중문화의 승리를 ‘수동적으로 찬양’함
앤디 워홀 andy warhol
-일상적인 상품을 예술의 소재로 받아들임.
-코카콜라병나열 : 예술과 상품이 어떤 차이가 있겠는가
-마릴린먼로: 실크스크린>복제양식 보여줌. (마오쩌둥)
로이리텐슈타인 roy lichtenstein
-만화의 기법을 회화에 적용 (새로운 기법을 보여줌)
-whaam : 주체와 객체 분리되는 광경. 속에서 미국의 비행기가 격파하는 모습 > 군사강국으로써의 미국의 세계지배를 보여준다
Jeff Koons
-베르사유궁전의 강아지: 로코코시대. 귀족적임에도 잘 어울림
-자본과 결탁한 움직임을 볼 수 있음.
-아트 콜라보레이션의 대표적 상품의 예술화ex):BMW색칠
미니멀리즘
-단순함을 추구하는 예술 및 문화 사조
-1960~1970년대 미국의 시각예술과 음악을 중심으로 일어남
-기교를 지양하고 근본적인 것을 표현하려 함
-최소한>환상의 극소화를 의미>회화의 감동, 혹은 자기표현이 곧 예술이라는 신화를 기본으로 하는 종래의 예술개념을 거부하는 입장
ABC ART(미니멀 아트)
-1960~1970년대 뉴욕을 중심으로 조각, 디자인 방면에서 두드러짐
-미술의 모습, 제작방법, 재료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킴
-가장 근본적인 예술이기 때문에 누구든지 참여가능
-엄격하고 비개성적이며 건조한 구성을 추구
-지속적으로 제작되어, 하나의 시대양식 이상의 의미를 획득(양식을 기반으로 다른 영역들로 확대되어서 사용된다는 것이 중요 )
-예술이란 무엇인가 의미를 던지는 것.
*아방가르드적인 문학작품은 단순히 시간의 흐름에 따른 구성을 거부하고 불연속적으로 구성하거나 심리적 시간을 중요하게 다룸.
*19세기 낭만주의와 사실주의 문학의 등장인물들이 사회와 상호관계를 맺던 것과는 달리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정신분열증적인 인격을 묘사하기도 함
*아방가르드적인 음악은 미리 설정하지 않고 자발적 자유적 연주 형태로 드러난다.
<퀴즈>
1. 아상블리주란 프랑스어로 집합 집적을 의미하며 특히 조각내지 차원의 입체 작품의 형태를 조형하는 미술상의 방법을 말한다 반면 종이나 베의 조각 등을 평면 화면에 붙이는 2차원적 직업은 “콜라주”라고 한다.
“콜라주” 종이나 베의 조각 등을 평면화면에 붙이는 2차원적 작업은 콜라주가 한다.
2. 아방가르다가 미술에만 통용되는 움직임이 아니라 예술 전반에 걸쳐 진행된 문화 운동이고 했을 때 이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① 아방가르드 문화운동은 미국의 팝아트가 보여주는 산업사회의 다양한 사회 모순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정치적 함의를 가진다.
② 아방가르드적인 문학작품은 단순히 시간의 흐름에 따른 구성을 거부하고 과거, 현재, 미래를 불연속적으로 구성하거나 혹은 심리적 시간을 중요하게 다룬다.
③ 19세기 낭만주의와 사실주의 문학의 등장인물이 사회와 상호관계를 맺던 것과는 달리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정신분열증적인 인격을 묘사하기도 했다.
④ 아방가르드적인 음악은 연주의 경우 리듬이나 형식을 미리 설정하지 않고 연주자의 선택에 의해 자발적이고 자유롭게 연주하는 형태로 드러난다.
→ ① 아방가르드는 귀족적, 엘리트적, 지나치게 독립적 영역으로 이해되던 근대 예술에 대한 비판이었으며 오히려 시기적으로는 팝아트는 아방가르드적인 입장에서 영향을 받아 형성된다고 보아야 하지.
3. 영미권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팝아트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① 예술 작품이 상품에 대한 반대라는 주장이 아니라 오히려 양자가 본질적으로 차이가 없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순수 예술의 가식성을 비판한다.
② 순수한 예술의 이미지를 상품화시킴으로써 상품의 예술화를 꾀한다. (예술의 상품화)
③ 팝아트는 상품위주의 산업사회를 통렬히 비판함으로써 당시 미국의 대중문화에 대한 비판적 활동을 주도하게 된다.(산업사회의 수용)
④ 대표적인 작가로는 리차드 해밀턴과 앤디 워홀, 뒤상에 있다.
(뒤샹-아방가르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8.06.01
  • 저작시기201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60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