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문법적 교수요목
개념·기능적 교수요목
공통점 및 문제점
해결방안
결론
출처 및 참고문헌
본론
문법적 교수요목
개념·기능적 교수요목
공통점 및 문제점
해결방안
결론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라의 민족성이요, 그 나라를 상징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언어를 익힌다면, 당연히 언어의 의미와 문법적인 구조 등에 집중하게 되는 것이 당연하다. 하지만 가르치는 사람들은 반드시 숙지해야할 것이 있다. 영어나 다른 언어들은 몰라도 한글에 존재하는 “한글 창제 이유”가 그것이다. ‘훈민정음 서문’를 보면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문자와를 서로 사맛디 아니할세 이런 전차로 어린백성이 니르고저 할빼이셔도 마참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할 놈이 하니다. 내이를 어여삐 녀겨 새로 스물여덟자를 맹가노니 사람마다 수비니겨 날로쓰매 편아케 하고저 할 따라미니라.”라고 하였으니 이는 우리의 언어가 중국의 언어와 달라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할 수도, 말을 읽거나 적을 수 없는 백성들을 위하여 “글을 읽고. 쓰며, 자신의 뜻을 알리고자”하기 위함이라 하셨다. 즉 한글은 세종대왕께서 백성과 정부가 서로 “소통”하기 위해, 서로의 말을 ‘이해’하기 위해 만든 언어라는 것이다. 그런데 이를 무시하고 문법적인 구조나 의미만을 찾아다닌다면, 세종대왕님께서 저승에서 한탄할 것이라 생각한다.
출처 및 참고문헌
우즈베키스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내용중심 교수요목 연구, 김영희, 한국외대 석사학위논문, 2010
한국의 중학생 영어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요목 설계 연구, 신미영, 강원대 석사학위논문, 2004
공학계열 내용기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연구, 정미혜, 경희대 박사학위논문, 2012
한국어교육용어 해설, 한재영·안경화·박지영·권순희, 신구문화사, 2011
교육학용어사전-서울대학교교육연구소, 하우동설, 1955.06.29
출처 및 참고문헌
우즈베키스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내용중심 교수요목 연구, 김영희, 한국외대 석사학위논문, 2010
한국의 중학생 영어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요목 설계 연구, 신미영, 강원대 석사학위논문, 2004
공학계열 내용기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연구, 정미혜, 경희대 박사학위논문, 2012
한국어교육용어 해설, 한재영·안경화·박지영·권순희, 신구문화사, 2011
교육학용어사전-서울대학교교육연구소, 하우동설, 1955.06.29
추천자료
사회과(사회수업, 사회교육)의 개념과 특징, 사회과(사회수업, 사회교육)의 목표, 사회과(사...
과학과수업(교육, 학습) 성격과 목적, 과학과수업(교육, 학습) 탐구이론과 학습교재, 과학과...
초등학교 영어과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 초등학교 영어과교육과정과 인터넷활용교육과 TEE정...
[영유아교수방법론] 구성주의 프로그램에 적합한 학습방법과 그것을 실천할 때 교사가 해야 ...
강의법과 시범의 정의 및 개념, 장단점을 기술하고, 두 교수법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서술
2016년 2학기 원격교육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1학기 다문화교육론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2학기 원격교육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다문화교육론] 다문화교육론 교재를 참고하여 ‘다문화주의적 준거’를 기반으로, 주변의 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