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38.5
38.2
37.8
37.5
37.0
36.9
S
M
3/6
BT
0AM
3AM
5AM
8AM
12PM
1PM
6PM
7PM
9PM
36.7
37.2
36.7
36.9
36.7
37.0
36.8
37.1
36.9
③-1 38도 이상 시setophen susp 과 maxibupen syr번갈아 4시간마다 투여
② 보호자에게 Tepid massage(수건을 미지근한 물에 적셔 손과 발, 접히는 부분을 닦아줄 것)을 교육함.
③ 온도를 조절한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여 최대의 휴식을 도모함.
-온도 조절을 위해 창문을 닫아주었다.
-환의나 시트가 젖었을 경우 교환을 해주었다.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간호사에게 말할 것을 격려했다.
평가
①12시간 안에 체온을 36.9도로 도달하였다.
아이의 열은 39.1도에서 setophen susp 투여후 4시간 안에 37.8도까지 내려갔다.
3/5
10AM
11AM
12AM
1PM
2PM
3PM
5PM
7PM
9PM
BT
38.0
38.3
39.1
38.5
38.2
37.8
37.5
37.0
36.9
S
M
3/6
BT
0AM
3AM
5AM
8AM
12PM
1PM
6PM
7PM
9PM
36.7
37.2
36.7
36.9
36.7
37.0
36.8
37.1
36.9
②보호자는 보호자는 Tapid massage의 방법을 알고 적절히 수행하였다.
출처
1.[아동간호학] 2012. 03. 05 Marilyn Hockenberry, David Wilson저 역자 홍경자, 안채순, 조경미
2.네이버 백과사전
3.기본간호학
■ 논문제목 : 크룹에서 Nebulized Budesonide와 Dexamethasone 근주의 치료효과
■ 출처(학술지)/발표일/저자
출처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발표일
1998년
저자
이수진 이현주 황수자 박은애 김호성 이승주
구분
내용
연구의 필요성
급성기의 후두폐색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mist치료나 racemic epinephrine이 사용되어 왔으나 치료효과는 미흡하다. 강력한 항염중제인 corticosteroiddml 전신적 투여는 1960년대부터 경험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후두 폐색증상의 신속한 완화, 기관삽관의 방지 및 기관삽관 기간의 단축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크룹은 자연 치유될 수 있고 TM테로이드의 전신전 부작용을 고려할 때 모든 환아에서 일률적으로 전신적으로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는데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최근 후두점막에 대한 직접적인 작용이 있는 nebulizer를 이용한 budesonide 분무흡입으로 전신적 부작용의 위험없이 신속한 후두 폐색완화를 보고한 바 있다.
연구의 목적
크릅환아의 급성기에 투여한 budesonide 분무흡입과 Dexamethasone 근주의 상기도 폐색 완화 효과를 관찰하고자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1994년 3월부터 1997년 2월까지 이화의대 부속 목동병원에 중등도의 크룹으로 입원한 환아 4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budesonide 흡입군 [budesonide 2ml(1mg) 분무 흡입, 15명), Dexamethasone 근주군 (Dexamethasone 0.5 mg/kg 근주, 10명), 대조군(saline 2ml 분무 흡입, 15명)으로 나누어 치료하였다. 치료효과로 크룹점수, 심박수, 호흡수 및 동맥혈 산소 포화도를 치료 전과 치료 후 12, 24, 36, 48시간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치료 후 12, 24, 36, 48시간에서 크룹점수 1점이하로 호전된 환아의 비율 및 입원기간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1) 치료 후 12, 24, 46 시간에서의 크룹점수는 budesonide 흡입군에서는 각각 1.7+-0.8점, 1.1+-0.7점, 0.8점 +-0.7점, Dexamethasone 군주근에서 각각 2.2+-0.7점, 1.2+-0.8점, 1.0+-0.5점으로 대조군의 3.4+-0.9점, 2.8+-0.9점, 1.7+-0.8점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P<0.05), budesonide 흡인군과 Dexamethasone 근주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심박수 호흡수 동맥혈 산소포화도는 치료 후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3) 치료 후 크룹점수 1점 이하로 호전된 환아의 비율을 치료후 12, 24, 36,시간에 budesonide 흡입군에서 53%(8/15), 73%(8/15), 87%(13/15)로 대조군의 0%(0/15), 13%(2/15), 47%(7/15)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5), Dexamethasone 근주군에서는 치료후 24시간에만 60%(6/10)로 대조군의 13%(2/15)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4) 입원시간과 48시간이전에 퇴원한 환아의 비율은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중등도 크룹의 급성기에 budesonide 흡입과 dexamathasone 근주의 치료는 상기도 폐색을 신속하게 완화시켰으며 특히 budesonide 흡입치료의 보다 신속한 효과는 임상치료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임상현장에서의 활용방안
크룹은 소아기에 비교적 흔한 호흡기 질환으로 성문하 부종에 의한 후두 폐색을 일으킬 수 있으며, 임상경과는 자연 완화되는 경한 경우부터 입원이나 기관삽관이 필요할 정도로 심한 경우까지 다양하게 발현된다. 급성기의 후두폐색을 완화시키기 위해여 mist치료나 racemic epinephrine의 사용은 치료효과는 미흡하다. 그러나 후두점막에 대한 직접적인 작용이 있는 nebulizer를 이용한 budesonide 분무흡입으로 전신적 부작용의 위헙없이 신속한 후두 폐색완화를 보고한 바 있다.
결론적으로 budesonide 흡입과 dexamethasone 근주 모두 중등도 크룹의 급성기 증상완화에 도움이 된다. 특히 budseonide 흡입치료는 부종이 있는 후두점막에 직접 작용하여 신속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응 뿐 아니라 오랜 시간 동안 효과가 지속되는장점이 있고 근주에 다른 동통이 없으며 전식적 부작용이거의 없기 때문에 dexamethasone 보다 더 유용 할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budesonide 흡입 치료는 천식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38.2
37.8
37.5
37.0
36.9
S
M
3/6
BT
0AM
3AM
5AM
8AM
12PM
1PM
6PM
7PM
9PM
36.7
37.2
36.7
36.9
36.7
37.0
36.8
37.1
36.9
③-1 38도 이상 시setophen susp 과 maxibupen syr번갈아 4시간마다 투여
② 보호자에게 Tepid massage(수건을 미지근한 물에 적셔 손과 발, 접히는 부분을 닦아줄 것)을 교육함.
③ 온도를 조절한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여 최대의 휴식을 도모함.
-온도 조절을 위해 창문을 닫아주었다.
-환의나 시트가 젖었을 경우 교환을 해주었다.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간호사에게 말할 것을 격려했다.
평가
①12시간 안에 체온을 36.9도로 도달하였다.
아이의 열은 39.1도에서 setophen susp 투여후 4시간 안에 37.8도까지 내려갔다.
3/5
10AM
11AM
12AM
1PM
2PM
3PM
5PM
7PM
9PM
BT
38.0
38.3
39.1
38.5
38.2
37.8
37.5
37.0
36.9
S
M
3/6
BT
0AM
3AM
5AM
8AM
12PM
1PM
6PM
7PM
9PM
36.7
37.2
36.7
36.9
36.7
37.0
36.8
37.1
36.9
②보호자는 보호자는 Tapid massage의 방법을 알고 적절히 수행하였다.
출처
1.[아동간호학] 2012. 03. 05 Marilyn Hockenberry, David Wilson저 역자 홍경자, 안채순, 조경미
2.네이버 백과사전
3.기본간호학
■ 논문제목 : 크룹에서 Nebulized Budesonide와 Dexamethasone 근주의 치료효과
■ 출처(학술지)/발표일/저자
출처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발표일
1998년
저자
이수진 이현주 황수자 박은애 김호성 이승주
구분
내용
연구의 필요성
급성기의 후두폐색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mist치료나 racemic epinephrine이 사용되어 왔으나 치료효과는 미흡하다. 강력한 항염중제인 corticosteroiddml 전신적 투여는 1960년대부터 경험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후두 폐색증상의 신속한 완화, 기관삽관의 방지 및 기관삽관 기간의 단축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크룹은 자연 치유될 수 있고 TM테로이드의 전신전 부작용을 고려할 때 모든 환아에서 일률적으로 전신적으로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는데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최근 후두점막에 대한 직접적인 작용이 있는 nebulizer를 이용한 budesonide 분무흡입으로 전신적 부작용의 위험없이 신속한 후두 폐색완화를 보고한 바 있다.
연구의 목적
크릅환아의 급성기에 투여한 budesonide 분무흡입과 Dexamethasone 근주의 상기도 폐색 완화 효과를 관찰하고자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1994년 3월부터 1997년 2월까지 이화의대 부속 목동병원에 중등도의 크룹으로 입원한 환아 4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budesonide 흡입군 [budesonide 2ml(1mg) 분무 흡입, 15명), Dexamethasone 근주군 (Dexamethasone 0.5 mg/kg 근주, 10명), 대조군(saline 2ml 분무 흡입, 15명)으로 나누어 치료하였다. 치료효과로 크룹점수, 심박수, 호흡수 및 동맥혈 산소 포화도를 치료 전과 치료 후 12, 24, 36, 48시간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치료 후 12, 24, 36, 48시간에서 크룹점수 1점이하로 호전된 환아의 비율 및 입원기간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1) 치료 후 12, 24, 46 시간에서의 크룹점수는 budesonide 흡입군에서는 각각 1.7+-0.8점, 1.1+-0.7점, 0.8점 +-0.7점, Dexamethasone 군주근에서 각각 2.2+-0.7점, 1.2+-0.8점, 1.0+-0.5점으로 대조군의 3.4+-0.9점, 2.8+-0.9점, 1.7+-0.8점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P<0.05), budesonide 흡인군과 Dexamethasone 근주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심박수 호흡수 동맥혈 산소포화도는 치료 후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3) 치료 후 크룹점수 1점 이하로 호전된 환아의 비율을 치료후 12, 24, 36,시간에 budesonide 흡입군에서 53%(8/15), 73%(8/15), 87%(13/15)로 대조군의 0%(0/15), 13%(2/15), 47%(7/15)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5), Dexamethasone 근주군에서는 치료후 24시간에만 60%(6/10)로 대조군의 13%(2/15)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4) 입원시간과 48시간이전에 퇴원한 환아의 비율은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중등도 크룹의 급성기에 budesonide 흡입과 dexamathasone 근주의 치료는 상기도 폐색을 신속하게 완화시켰으며 특히 budesonide 흡입치료의 보다 신속한 효과는 임상치료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임상현장에서의 활용방안
크룹은 소아기에 비교적 흔한 호흡기 질환으로 성문하 부종에 의한 후두 폐색을 일으킬 수 있으며, 임상경과는 자연 완화되는 경한 경우부터 입원이나 기관삽관이 필요할 정도로 심한 경우까지 다양하게 발현된다. 급성기의 후두폐색을 완화시키기 위해여 mist치료나 racemic epinephrine의 사용은 치료효과는 미흡하다. 그러나 후두점막에 대한 직접적인 작용이 있는 nebulizer를 이용한 budesonide 분무흡입으로 전신적 부작용의 위헙없이 신속한 후두 폐색완화를 보고한 바 있다.
결론적으로 budesonide 흡입과 dexamethasone 근주 모두 중등도 크룹의 급성기 증상완화에 도움이 된다. 특히 budseonide 흡입치료는 부종이 있는 후두점막에 직접 작용하여 신속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응 뿐 아니라 오랜 시간 동안 효과가 지속되는장점이 있고 근주에 다른 동통이 없으며 전식적 부작용이거의 없기 때문에 dexamethasone 보다 더 유용 할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budesonide 흡입 치료는 천식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추천자료
폐렴 케이스-아동간호학
[아동간호학]환아의 죽음 -마이걸 (1991, My Girl)
[아동간호학]소아과 케이스 스터디, 요로감염(UTI), case study
[아동간호학] 가와스키병 케이스 스터디
[아동간호학][Pneumonia][폐렴]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아동간호학] 신생아 신체사정
[아동간호학] 가사, 중이염 Asphyxia 문헌고찰
[아동간호학] 급성편도염 Acute Tonsilitis 실습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 호흡,소화,순환기계 용어 정리 - 호흡기계, 소화기계 순환기계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성장(成長)과 발달(發達)의 개념 - 성장과 발달의 원리, 성장과 발...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유아기 성장과 발달의 단계별 특징 - 유아기의 개념, 신체 성장발달...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성장과 발달의 이론 - 학습이론(행동주의이론, 사회학습이론), 인지...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성건강 교육 - 성건강 정의, 성건강 교육(목적, 성윤리의 개념, 심...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다문화 가정(多文化家庭)과 영유아 건강 - 다문화 가정의 개념, 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