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지혁명
2. 농업혁명
3. 인류통합
4. 과학혁명
2. 농업혁명
3. 인류통합
4. 과학혁명
본문내용
과 함께 극에 달한다. 그리고 그 뒤에 원자폭탄의 발명으로 경쟁적 광기는 사라지고, 좀 더 다른 방향의 흐름을 찾아가게 된다. 그래서 한편으로 저자는 원자폭탄을 발명한 사람들에게 노벨 평화상을 주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 만큼 원자폭탄은 평화 유지에 위대한 공헌을 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과학혁명의 흐름이 선택한 방향은 일명 ‘길가메시 프로젝트’이다. 수메르의 신화를 모티브로 불사(不死)의 길을 찾겠다는 것이다. 결국 인류는 신을 발견하면서 역사가 시작되었고, 신이 되는 순간 역사가 끝날 수 있는 길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하지만 한편으로 저자는 이런 생각을 이야기한다. 인류가 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나아가는 과정은 어떤 위대한 계획이 있었던 것도 아니고, 무언가 특별한 선택이 있었던 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철저히 우연에 의해서 골목과 골목의 모퉁이를 돌아서 새로운 것을 발견하는 것처럼 나아온 것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내일 지구가 멸망을 한다고 해도 절대 특별할 것이 없고, 지금의 옳게 보이는 행위가 수만년의 역사 후에는 어떤 평가를 받을 지도 절대 알 수 없다고 말한다.
이 책을 보면서 우리는 어떤 틀을 벗어나서 나 혼자만의 독보적인 주체성이나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노력이 무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제한된 피아노의 건반 안에서 우리는 무한한 음악을 연주하고 창조할 수 있다. 하지만 결국 그 모든 무한한 음악은 피아노의 제한된 건반 안에 있다. 우리도 마찬가지다. 무한한 상상을 하고 무한한 발전과 진화를 시도하지만, 결국 우리가 그것을 위해 사용하는 모든 도구들은 인류의 역사와 집단 상상이라는 제한된 틀 안에서만 존재한다는 것이다.
더불어 저자가 이 모든 행위가 단순히 지식의 발견, 앎을 위한 앎에서 끝나면 안 된다고 말에 백프로 공감한다. 우리는 이 모든 행위가 결국은 좀 더 나은 행복을 위한 것임을 잊어서는 안 되고, 과연 우리는 행복을 위해 나아가고 있는지 끝없이 반문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어떤 존재가 되고 싶은가를 물을 것이 아니라 무엇을 원하는가를 물어야 한다는 저자의 주장을 곱씹을 필요가 있다. 특히 내일을 기대할 수 없는 인류의 현재를 깨닫는다면 이제는 상상의 매트릭스에서 벗어나서 과거 사피엔스가 누렸던 실제에 대한 인식을 회복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이에 저자는 불교에 대한 이야기, 명상에 대한 이야기로 다른 종교에 비해 좀 더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는 것은 의미심장하다.
하지만 한편으로 저자는 이런 생각을 이야기한다. 인류가 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나아가는 과정은 어떤 위대한 계획이 있었던 것도 아니고, 무언가 특별한 선택이 있었던 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철저히 우연에 의해서 골목과 골목의 모퉁이를 돌아서 새로운 것을 발견하는 것처럼 나아온 것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내일 지구가 멸망을 한다고 해도 절대 특별할 것이 없고, 지금의 옳게 보이는 행위가 수만년의 역사 후에는 어떤 평가를 받을 지도 절대 알 수 없다고 말한다.
이 책을 보면서 우리는 어떤 틀을 벗어나서 나 혼자만의 독보적인 주체성이나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노력이 무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제한된 피아노의 건반 안에서 우리는 무한한 음악을 연주하고 창조할 수 있다. 하지만 결국 그 모든 무한한 음악은 피아노의 제한된 건반 안에 있다. 우리도 마찬가지다. 무한한 상상을 하고 무한한 발전과 진화를 시도하지만, 결국 우리가 그것을 위해 사용하는 모든 도구들은 인류의 역사와 집단 상상이라는 제한된 틀 안에서만 존재한다는 것이다.
더불어 저자가 이 모든 행위가 단순히 지식의 발견, 앎을 위한 앎에서 끝나면 안 된다고 말에 백프로 공감한다. 우리는 이 모든 행위가 결국은 좀 더 나은 행복을 위한 것임을 잊어서는 안 되고, 과연 우리는 행복을 위해 나아가고 있는지 끝없이 반문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어떤 존재가 되고 싶은가를 물을 것이 아니라 무엇을 원하는가를 물어야 한다는 저자의 주장을 곱씹을 필요가 있다. 특히 내일을 기대할 수 없는 인류의 현재를 깨닫는다면 이제는 상상의 매트릭스에서 벗어나서 과거 사피엔스가 누렸던 실제에 대한 인식을 회복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이에 저자는 불교에 대한 이야기, 명상에 대한 이야기로 다른 종교에 비해 좀 더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는 것은 의미심장하다.
추천자료
[최신A+우수자료][바보빅터서평, 바보빅터독후감, 독서감상문] - 바보빅터 서평, 줄거리요약,...
[올해최신A+) 안철수의 생각 [안철수의생각서평][안철수의생각독후감][안철수의생각독서감상...
[A+독후감]행복도 선택이다, 독후감, 감상문, 요약, 후기, 서평
[2016최신A+자료][총균쇠요약및서평과비판][총균쇠독후감][총균쇠독서감상문][총균쇠줄거리요...
[탁월한 선택 A+ 리포트] 총, 균, 쇠, 총균쇠, 총 균 쇠, 독후감, 감상문, 후기, 서평, 요약,...
[탁월한 선택 A+ 리포트] 마음, 나쓰메 소세키, 독후감, 감상문, 후기, 서평, 요약, 줄거리
[탁월한 선택 A+ 리포트] 키루스의 교육, 크세노폰, 키루스, 독후감, 감상문, 후기, 서평, 요...
[최고의 선택 A+ 리포트]레이스, Race, 영화, 감상문, 줄거리, 감상, 요약
[최고의 선택 A+ 리포트]7년의 밤, 7년, 정유정, 독후감, 감상문, 후기, 서평, 요약, 줄거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