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선을 투과시키면 X-선이 지나간 조직들은 각각 다른 흡수율을 보 이며, 이렇게 조직을 통과한 후 최종 흡수되지 않고 남은 X-선은 신체 횡단면 영상을 남 기는데 이 영상 자료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종합해 입체적으로 신체 내부를 보는 방법이 다.
ㆍ보다 뚜렷한 영상을 얻어 진단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조영제를 정맥 주사하기도 하 는데 조영제는 요오드(Iodine) 성분이 들어 있는 약제이며, 드물게 요오드 성분에 과민반 응을 보이는 사람도 있으므로 미리 피부반응 검사를 하여 과민성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과민성 검사를 미리 했다 하더라도 쇼크와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아주 드물게 나타나기 도 하며, 일반 X-선 촬영보다 방사선 노출량이 많은 편이다.
ㆍ인체의 단면의 영상을 종합하여 입체 영상화하므로 단순 X-선 촬영보다는 정확도가 높 으나 단면의 간격보다 진단하고자하는 것이 작다면 영상에 나타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 MRI)
ㆍCT가 일종의 방사선 촬영이라면, MRI는 인체에 해가 없는 고주파를 이용하여 체내의 원 자핵에 핵자기공명현상을 일으켜 그 원자핵의 물리학적 특성을 영상화한 것이다.
ㆍ MRI에서는 여러 면의 다양한 영상을 얻을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다.
(횡단면만을 촬영하는 CT에 비해 비교적 자세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ㆍ인체에 무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CT보다는 검사 비용이 고가이며, 검사 시 금속성 물 질을 환자에게서 모두 제거해야 하므로 인공심박동기나 관절핀 등을 이식한 사람에게는 이용할 수 없다.
ㆍ여러 가지 보조기구를 가진 중환자가 이용할 수 없고, 복부 장기에 대한 진단의 경우 CT 보다 정확도가 떨어지며,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므로 시술비가 비싸다는 것이 가장 큰 단 점이다.
5. 수술과 치료
- 뇌압증가 소견이 보일시는 빠르면 생후 2-3개월, 늦어도 생후 1-2년 이내에 뇌압을 감소시키는 두개골 성형수술을 시행한다.
- 치료는 개개인에게 나타나는 증상들에 따라 다르게 진행된다. 이러한 치료는 의학전문가로 구성된 팀의 협조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문가로는 소아과 전문의, 외과 전문의, 정형외과 전문의, 이비인후과 전문의, 청력 전문가, 신경계통 전문의, 안과 전문의 그리고 이 밖의 다른 건강관련 전문가들이 있다.
- 크루즌 병을 앓고 있는 어린이의 경우 반드시 조기에 중재를 시행하여 그들이 할 수 있는 모든 잠재적인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사회적 지지, 언어치료, 그리고 그 밖의 의학적, 사회적, 작업적인 치료를 통해 도움을 줄 수 있다.
- 두개골 성형술은 정상보다 지나치게 일찍 융합된 두개골 부위를 절제하여 두개골이 계속 성장하도록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변형된 두개골을 잘라 재배치시켜 형태상으로도 정상적인 두개골을 만들어 준다. 뇌압 증가나 두개골변형이 심하지 않으면 초등학교 입학기전 두개골 및 안면골 동시 수술을 하거나 안면골에 대해서만 수술하기도 한다. 기형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안면골 성장을 지켜보다가 기형의 정도에 따라 청소년기 또는 안면골 성장이 끝난 17-18세경에 수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 또한 위턱을 좀 더 앞으로 나오게 하고 또한 치아가 서로 잘 교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치아 교정과 턱 교정 수술을 함께 시행한다.
- 안면골 수술은 성장이 덜된 눈 주위와 상악을 잘라 앞으로 전진시키고 고정하여 눈이 들어가게 하며 움푹 들어간 얼굴을 정상적 윤곽을 가지도록 한다. 안면골을 전진 시킨 후 그 뒤쪽에 본인의 갈비뼈를 이용한 골이식을 시행한다. 수술 후 이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약 2-6주간 아랫턱과 윗턱을 고정하여 수술한 안면골 및 이식된 뼈가 잘 유지되고 치유되도록 도와주게 한다. 고정기간 동안은 미음이나 액체류의 음식만 섭취할 수 있다.
- 본 증례에서 두개안면이골증의 치료는 3-4단계의 외과적 시술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즉 유아기에 두개궁 재건과 초기 유년시기에 두개안구 재형성, 5-7세에 중안면부 골절단술을 시행하며, 그 후 성인이 되면 이성형술와 함께 LeFort I 골절단술(상악골 교정)을 시행한다. 두 번째 증례의 경우 시력의 개선을 위해서 유아기에 두개궁 재건을 시행하였다. 두개안면이골증을 보이는 본 증례들은 두개악안면에 발생하는 다발성 방사선투과성 병소와의 감별 및 뇌압의 증가에 따른 적절한 치료시기의 선택에 다소의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ㆍ보다 뚜렷한 영상을 얻어 진단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조영제를 정맥 주사하기도 하 는데 조영제는 요오드(Iodine) 성분이 들어 있는 약제이며, 드물게 요오드 성분에 과민반 응을 보이는 사람도 있으므로 미리 피부반응 검사를 하여 과민성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과민성 검사를 미리 했다 하더라도 쇼크와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아주 드물게 나타나기 도 하며, 일반 X-선 촬영보다 방사선 노출량이 많은 편이다.
ㆍ인체의 단면의 영상을 종합하여 입체 영상화하므로 단순 X-선 촬영보다는 정확도가 높 으나 단면의 간격보다 진단하고자하는 것이 작다면 영상에 나타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 MRI)
ㆍCT가 일종의 방사선 촬영이라면, MRI는 인체에 해가 없는 고주파를 이용하여 체내의 원 자핵에 핵자기공명현상을 일으켜 그 원자핵의 물리학적 특성을 영상화한 것이다.
ㆍ MRI에서는 여러 면의 다양한 영상을 얻을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다.
(횡단면만을 촬영하는 CT에 비해 비교적 자세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ㆍ인체에 무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CT보다는 검사 비용이 고가이며, 검사 시 금속성 물 질을 환자에게서 모두 제거해야 하므로 인공심박동기나 관절핀 등을 이식한 사람에게는 이용할 수 없다.
ㆍ여러 가지 보조기구를 가진 중환자가 이용할 수 없고, 복부 장기에 대한 진단의 경우 CT 보다 정확도가 떨어지며,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므로 시술비가 비싸다는 것이 가장 큰 단 점이다.
5. 수술과 치료
- 뇌압증가 소견이 보일시는 빠르면 생후 2-3개월, 늦어도 생후 1-2년 이내에 뇌압을 감소시키는 두개골 성형수술을 시행한다.
- 치료는 개개인에게 나타나는 증상들에 따라 다르게 진행된다. 이러한 치료는 의학전문가로 구성된 팀의 협조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문가로는 소아과 전문의, 외과 전문의, 정형외과 전문의, 이비인후과 전문의, 청력 전문가, 신경계통 전문의, 안과 전문의 그리고 이 밖의 다른 건강관련 전문가들이 있다.
- 크루즌 병을 앓고 있는 어린이의 경우 반드시 조기에 중재를 시행하여 그들이 할 수 있는 모든 잠재적인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사회적 지지, 언어치료, 그리고 그 밖의 의학적, 사회적, 작업적인 치료를 통해 도움을 줄 수 있다.
- 두개골 성형술은 정상보다 지나치게 일찍 융합된 두개골 부위를 절제하여 두개골이 계속 성장하도록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변형된 두개골을 잘라 재배치시켜 형태상으로도 정상적인 두개골을 만들어 준다. 뇌압 증가나 두개골변형이 심하지 않으면 초등학교 입학기전 두개골 및 안면골 동시 수술을 하거나 안면골에 대해서만 수술하기도 한다. 기형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안면골 성장을 지켜보다가 기형의 정도에 따라 청소년기 또는 안면골 성장이 끝난 17-18세경에 수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 또한 위턱을 좀 더 앞으로 나오게 하고 또한 치아가 서로 잘 교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치아 교정과 턱 교정 수술을 함께 시행한다.
- 안면골 수술은 성장이 덜된 눈 주위와 상악을 잘라 앞으로 전진시키고 고정하여 눈이 들어가게 하며 움푹 들어간 얼굴을 정상적 윤곽을 가지도록 한다. 안면골을 전진 시킨 후 그 뒤쪽에 본인의 갈비뼈를 이용한 골이식을 시행한다. 수술 후 이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약 2-6주간 아랫턱과 윗턱을 고정하여 수술한 안면골 및 이식된 뼈가 잘 유지되고 치유되도록 도와주게 한다. 고정기간 동안은 미음이나 액체류의 음식만 섭취할 수 있다.
- 본 증례에서 두개안면이골증의 치료는 3-4단계의 외과적 시술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즉 유아기에 두개궁 재건과 초기 유년시기에 두개안구 재형성, 5-7세에 중안면부 골절단술을 시행하며, 그 후 성인이 되면 이성형술와 함께 LeFort I 골절단술(상악골 교정)을 시행한다. 두 번째 증례의 경우 시력의 개선을 위해서 유아기에 두개궁 재건을 시행하였다. 두개안면이골증을 보이는 본 증례들은 두개악안면에 발생하는 다발성 방사선투과성 병소와의 감별 및 뇌압의 증가에 따른 적절한 치료시기의 선택에 다소의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