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문학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920년대 문학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꽃싸움 – 한용운
2. 삼수갑산(三水甲山) - 김억
3. 산유화 -김소월
4. 차 안서선생 삼수갑산 운 - 김소월
5.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이상화
6. 우리 오빠와 화로 - 임화
7. 약한 자의 슬픔 – 김동인
8. 탈출기 - 최서해

본문내용

하게 하고, 즐겁게 하고, 가멸퀼게 하고, 굳세게 할 것이로다.
기쁜 웃음과 만세의 부르짖음으로 지나간 세상을 조상(弔喪)하는 '무정(無情)'을 마치자.
이인직의 ‘혈의 누’와 김동인의 ‘약한 자의 슬픔’의 상황은 서로 다르지만, 묘사를 한 방법을 비교해 보면 ‘혈의 누’는 작가의 눈으로 상황을 묘사하고 있다. 이광수의 ‘무정’ 마지막 부분 역시 작가의 설명으로 끝을 맺는다. 반면에 ‘약한 자의 슬픔’은 등장인물의 눈으로 상황을 섬세하게 표현하고 작가의 개입이 없다. 이렇게 작가가 작품에 두드러지게 개입하는 이전 소설의 경향을 따르지 않고 김동인은 작가의 개입 없이 소설을 창작하였다는데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인물 명명과 심리묘사, 상황묘사는 신소설, 그리고 그 이전의 소설보다 김동인의 소설이 더 근대적으로 발전했다고 이야기 할 수 있다. 물론 엘리자베트의 공상과 주관적 느낌의 배경 묘사 등, 심리묘사가 많이 드러나는 부분은 있지만 우리나라에서 이 이전과는 다른 최초의 사실주의 작품으로 문학사적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8. 탈출기 -최서해
(1) 서술방식: 편지글 형식(서간체 소설)의 효과
①편지 형식을 통해 박군의 내밀한 사연을 알 수 있다.
②김 군과 독자가 같은 위치로 박 군과 거리가 가까워 져 친근감을 느낄 수 있다.
③주인공의 심리를 생생하게 전달 받을 수 있어 주인공의 내면 심리를 독자들에게 이해시키 는 데 효율적이다.
(2) 제목의 상징적 의미: 이 소설의 제목을 ‘탈출기’라고 붙인 이유를 생각해 보자.
탈출이란 어떤 상황이나 구속 따위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의미한다. 소설에서는 두 번의 탈출 과정이 나온다. 첫 번째는 조선으로부터 탈출하여 간도에 정착한 것이고, 두 번째는 가족으로부터 탈출하여 XX단에 가입한 것이다. 즉, ‘탈출기’ 제목의 의미는 고향과 가족으로부터의 탈출을 의미한다. 그리고 탈출기의 제목 그대로 탈출기의 내용은 내가 왜 XX단에 가입하게 되었는가에 대한 설명이 담겨있다.
(3) 등장 인물
①나(박 군): 소설의 주인공(작품의 화자)으로 고향을 떠나 간도에서 생활고에 시달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내와 어머니를 두고 집을 나섰다. 처음에는 성실히 일하면 잘 살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부조리한 현실을 바꾸어야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현실의 모순을 개혁하기 위해 XX단에 가입하는 입체적인 인물이다.
②아내: 남편이 하자는 대로 따르는 전통적인 여성이다.
③어머니: 아들을 걱정하는 전형적 모성을 지닌 어머니이다.
④김 군: 편지의 수신인으로 나의 탈가를 반대하고, 집으로 돌아가 가족을 돌볼 것을 권고하고 있다.
(4) 박 군의 삶과 현실 인식의 변화 과정
이 소설은 박군이 조선을 떠나 간도로 정착하고, 간도에서 가족을 떠나기까지 나의 심리 변화와 현실 인식의 변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사회 구조적 모순 인식
인식 이전
인식 이후
간도 정착 전
간도 정착 후
깨달음의 과정
구체적 활동 결심
간도는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농민에게 희망을 주는 곳.
관념적이고 이상주의적 사고에 빠져 있음.
간도는 척박한 황무지이며, 농민의 빈곤을 심화시키는 곳.
현실에 대한 자각.
성실히 살아도 가난에서 벗어날 수 없는 이유가 개인적인 측면이 아닌 사회적인 측면임을 깨달음.
세상과 제도를 바꾸기 위해 XX단에 가입을 결심함.
※ 박 군의 인식 변화를 보여주는 구절 p.108(박 군이 탈가한 이유)
나는 여태까지 세상에 대하여 충실하였다. 어디까지든 충실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세상은 우리를 속였다. 우리의 충실을 받지 않았다. (중략) 김 군! 나는 더 참을 수 없었다. 나는 나부터 살려고 한다. 이때까지는 최면술에 걸린 송장이었다. 제가 죽은 송장으로 남(식구들)을 어찌 살리랴? 그러려면 나는 나에게 최면술을 걸려는 무리들, 험악한 이 공기의 원류(사회 제도의 구조적 모순)를 쳐부수어야 하는 것이다.
※박 군의 가족에 대한 사랑과 인간적 고뇌를 보여주는 구절 p.108
아! 나의 식구도 그럴 것을 생각할 때면 자연히 흐르는 눈물과 뿌직뿌직 찢기는 가슴을 덮쳐잡는다.
(5)주제
일제 강점기의 가난한 삶과 부조리한 현실에 대한 저항.
(6)배경
①시간적 배경: 일제 강점기
②공간적 배경: 만주의 간도 지방 일대
(7)형식적 특징과 내용적 특징
네이버 백과사전(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23&contents_id=4488)참고.
①서간체 형식을 취하고 있다.
②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인식하고, 저항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주인공의 성격 변화.)
작가 ‘최서해’
탈출기의 ‘박 군’
17세에 어머니와 함께 간도로 이주하여 20세에 결혼.
부농의 꿈을 안고 어머니, 아내와 함께 간도로 이주.
나무, 두부 장수 생활로 연명, 나무하다가 붙들려 곤욕을 치루기도 함.
생선, 두부 장수 생활, 남의 산에서 나무를 하다가 경찰서로 끌려감.
무장 투쟁 단체에 가입하고 신경향파 작가로 활동.
사회주의 투쟁 단체인 XX단에 가입함.
③탈출기는 작가 최서해의 개인적 체험을 바탕으로 쓴 자전적 소설이다.
(8)작품의 문학사적 의의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1권/ 해법 14종 문학 참고)
1920년대 다른 사실주의 작품들이 빈궁한 삶 자체를 사실적으로 묘사 (예:현진건-운수 좋은 날)하고 있는 데 반해, 탈출기는 빈궁에 항거하는 저항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빈궁의 원인을 사회의 탓으로 돌리는 신경향파 문학의 특징이 잘 나타난다.
※ 신경향파 문학
- 한국 근대소설에서 식민지 현실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이 제기되기 시작한 것은 1920년대 중반.
- 일본의 식민지 지배와 경제적 착취에서 비롯된 삶의 궁핍화 현상이 이 시기 소설의 중요한 소재.
- ‘빈궁의 문학’(신경향 문학)
도시를 배경으로 가난한 지식인의 삶과 좌절을 보여주거나, 궁핍한 노동자의 고통을 그린 작품.
농민들이 겪는 가난을 집중적으로 조명하면서 착취를 견디지 못하고 농촌을 떠나는 농민들의 고통스런 삶을 그려내는 작품.
- 경향소설은 농민소설과 노동소설이라는 두 가지 부류로 구분되면서 그 가능성을 확보.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8.07.31
  • 저작시기201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96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