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오랜만에 무거운 업무의 짐을 벗어 던지고 도서관에서 가서 건축서적 서가에 섰다. 사실 나 자신은 학부에서 건축을 전공하지 않았기에 이론적으로 깊이 있게 다룬 책들은 보아도 잘 이해하지는 못한다. 하지만, 오랜 시간 글로벌 기업에서 ‘퍼실리티 매니지먼트’ 업무를 해왔던 나로서는 평소 건축이나 인테리어 혹은 설비를 전공한 사람 중 영어를 잘 하는 사람이 이 업무에 많이 뛰어드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을 해 왔다(실제 관련 학회에는 건축 관련 전공자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전문 분야로 활성화 되어있는 직업 분야는 아니기에 관련 업무를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총무부’라고 불리는 부서에서 하고 있고, 회사들은 ‘총무부’ 업무는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할 수 있는 업무라는 막연한(?) 인식 때문에 이 부서 근무자들은 연봉이나 승진 등에서 아직은 손해를 보는 경향이 있기도 하다.
추천자료
건축에 있어서 지역성 구현과 작품사례 분석 및 특성
데스틸 건축
ARCHITECTURE by 류춘수
안도 다다오와 근현대건축
오스카 니마이어와 근현대건축
제임스 스털링과 근현대 건축
찰스 무어(Charles Moore)와 근현대 건축
미스반데로에
Eero Saarinen과 근현대 건축
르꼬르뷔제
[공학/컴퓨터/통신] 르꼬르뷔제
근․현대 건축디자인의 변화와 특징에 관한 연구
근 현대 건축디자인의 변화와 특징에 관한 연구
장 프루베 (Jean Prouve ; Jean Prouvé)의 인생과 작품관 (선택한 이유, 생애, 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