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드라마 선정의 의도와 목적
2)드라마의 장르적 특성
3)청소년 드라마에 대한 소개
본론
1)<상속자들>로 살펴보는 한국 드라마의 특성
(1)<상속자들>에 대한 소개
(2)<상속자들>의 전형적인 구성
(3)<상속자들>의 상업적 요소
2)<학교 2013>이 보여주는 좋은 드라마의 가능성
(1)<학교 2013>에 대한 소개
(2)<학교 2013>의 비전형적인 구성
(3)<학교 2013>의 공익적 요소
결론
1)방송으로서 드라마의 공익성
2)드라마의 교정적 리얼리즘적 접근
1)드라마 선정의 의도와 목적
2)드라마의 장르적 특성
3)청소년 드라마에 대한 소개
본론
1)<상속자들>로 살펴보는 한국 드라마의 특성
(1)<상속자들>에 대한 소개
(2)<상속자들>의 전형적인 구성
(3)<상속자들>의 상업적 요소
2)<학교 2013>이 보여주는 좋은 드라마의 가능성
(1)<학교 2013>에 대한 소개
(2)<학교 2013>의 비전형적인 구성
(3)<학교 2013>의 공익적 요소
결론
1)방송으로서 드라마의 공익성
2)드라마의 교정적 리얼리즘적 접근
본문내용
공익성이 보인다. 괴물이 되 버린 학교를 다시 한 번 살펴보자는 게 그것이었다. ‘학교의 속살을 가감 없이 보여주고 현재의 학교는 어디로 걸어가고 있는 함께 생각하고 싶다’고 제작진이 인터뷰에서 밝힌 바 있다. 엉망인 학교를 리얼하게 그려 돌직구를 날렸는데 모든 것은 실제 교사와 학생들 인터뷰를 바탕으로 했다. 대박 시청률은 욕심내지 않은 채 그저 현재 교육상황을 비판하고 사람들이 의문을 갖게 하고 싶다고 했다.
<학교 2013>은 기존 청소년 드라마보다 훨씬 더 다양하고 실감나는 학교문제를 사회에 알렸다. 그리고 잘 다뤄지지 않았던 교권추락은 물론 과잉 된 입시까지 생생하게 담아내 사회에 큰 관심과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이로서 공익성 면에서도 인정을 받았다. 서울시 교육감에게도 인정받아 감사패를 수여받기도 했다.
결론
1) 방송으로서 드라마의 공익성
방송의 수신료는 세금을 통해 납부되고 그 값으로 시청자는 TV프로그램을 즐긴다. 방송의 공공성은 방송 전파의 소유권과 방송활동의 주권이 수용자에게 있다는 전제에서 나온 개념이다. 다시 말해 방송은 어른들 뿐 아니라 청소년, 아동 까지도 늘 방송은 생활의 일부라는 것이다. 따라서 방송 프로그램은 일차적으로 오락성을 띄지만 그에 그쳐선 안 된다. 특히 공영방송의 경우에는 방송의 공익성 실현에 앞장서야 한다.
물론 모든 프로그램이 공익적일 필요는 없다. 그러나 <상속자들>처럼 지나친 엘리트주의적 의식, 상업성을 대놓고 드러내는 드라마가 한국사회에 넘친다. ‘국민 드라마’라고 불리는 드라마가 있는 것처럼 드라마를 접하는 시간은 다른 방송 프로그램보다 생활에 밀접하다. 따라서 공익성을 해치는 요소는 지양되어야 한다.
2) 드라마의 교정적 리얼리즘적 접근
<학교 2013>의 인기 비결은 대한민국의 학교문제를 다루기 위해 정성을 들인 결과였다. 드라마는 학교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면서도 학교가 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 가령 기간제 교사지만 학생들에게 정성을 쏟는 참교사, 선생님의 설득으로 자살하려던 마음을 바꾼 학생, 오랜 앙금을 풀고 우정을 회복한 두 친구, 조금씩 마음을 열고 새롭게 거듭나는 문제아 등이 이에 해당한다. 과거에 드라마가 여성계몽에 앞장선 것처럼 <학교 2013>은 드라마의 현실교정에 대한 하나의 가능성이다. 드라마를 제작하는데 상업적으로 고려할 요소가 많은 현실이지만 드라마의 진정한 성패는 시청률이 아니라 공익적인 작품성으로 평가받는 시대가 오길 희망한다.
● 참고 자료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2013.01.28 <종영 '학교2013', 끝까지 학교다웠던 참된 결말>
-헤럴드경제 2013. 01. 01 <학교 2013 - 현직 교사들의 뜨거운 공감>
-티브이데일리 2013. 01. 29 <[학교2013종영①] 이 얼마 만에 만나는 명품드라마인가?>
-뉴스엔미디어 2013. 02. 08 <‘학교 2013’ 감사패 받았다..교육청도 인정한 드라마>
-경향신문 2013. 11. 15 <[문화비평]어른들을 위한 하이틴 로맨스>
-위키피디아 [텔레비전 드라마의 본질과 특성] 항목
<학교 2013>은 기존 청소년 드라마보다 훨씬 더 다양하고 실감나는 학교문제를 사회에 알렸다. 그리고 잘 다뤄지지 않았던 교권추락은 물론 과잉 된 입시까지 생생하게 담아내 사회에 큰 관심과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이로서 공익성 면에서도 인정을 받았다. 서울시 교육감에게도 인정받아 감사패를 수여받기도 했다.
결론
1) 방송으로서 드라마의 공익성
방송의 수신료는 세금을 통해 납부되고 그 값으로 시청자는 TV프로그램을 즐긴다. 방송의 공공성은 방송 전파의 소유권과 방송활동의 주권이 수용자에게 있다는 전제에서 나온 개념이다. 다시 말해 방송은 어른들 뿐 아니라 청소년, 아동 까지도 늘 방송은 생활의 일부라는 것이다. 따라서 방송 프로그램은 일차적으로 오락성을 띄지만 그에 그쳐선 안 된다. 특히 공영방송의 경우에는 방송의 공익성 실현에 앞장서야 한다.
물론 모든 프로그램이 공익적일 필요는 없다. 그러나 <상속자들>처럼 지나친 엘리트주의적 의식, 상업성을 대놓고 드러내는 드라마가 한국사회에 넘친다. ‘국민 드라마’라고 불리는 드라마가 있는 것처럼 드라마를 접하는 시간은 다른 방송 프로그램보다 생활에 밀접하다. 따라서 공익성을 해치는 요소는 지양되어야 한다.
2) 드라마의 교정적 리얼리즘적 접근
<학교 2013>의 인기 비결은 대한민국의 학교문제를 다루기 위해 정성을 들인 결과였다. 드라마는 학교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면서도 학교가 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 가령 기간제 교사지만 학생들에게 정성을 쏟는 참교사, 선생님의 설득으로 자살하려던 마음을 바꾼 학생, 오랜 앙금을 풀고 우정을 회복한 두 친구, 조금씩 마음을 열고 새롭게 거듭나는 문제아 등이 이에 해당한다. 과거에 드라마가 여성계몽에 앞장선 것처럼 <학교 2013>은 드라마의 현실교정에 대한 하나의 가능성이다. 드라마를 제작하는데 상업적으로 고려할 요소가 많은 현실이지만 드라마의 진정한 성패는 시청률이 아니라 공익적인 작품성으로 평가받는 시대가 오길 희망한다.
● 참고 자료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2013.01.28 <종영 '학교2013', 끝까지 학교다웠던 참된 결말>
-헤럴드경제 2013. 01. 01 <학교 2013 - 현직 교사들의 뜨거운 공감>
-티브이데일리 2013. 01. 29 <[학교2013종영①] 이 얼마 만에 만나는 명품드라마인가?>
-뉴스엔미디어 2013. 02. 08 <‘학교 2013’ 감사패 받았다..교육청도 인정한 드라마>
-경향신문 2013. 11. 15 <[문화비평]어른들을 위한 하이틴 로맨스>
-위키피디아 [텔레비전 드라마의 본질과 특성] 항목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 대중문화의 이해 - 70년대를 중심으로
대중문화로서의 TV드라마(A+레포트)
[한류열풍][한국영화][드라마]한류열풍의 원인과 한국 영화, 드라마의 수용 및 향후 대안과 ...
대중문화를 주도하는 드라마의 실체
김수현의 드라마를 통해 살펴 본 대중문화
[매스미디어][디지털미디어][미디어][뉴미디어]매스미디어(매스미디어의 기능, 매스미디어 관...
한국 드라마 속 신데렐라 콤플렉스
[문화]중국대중문화와 한류, 한류로보는한중관계
성공하는 한국 드라마에 대한 고찰
한국 대중가요의 변화
한국 대중가요의 변화
한국 언어 과학 - 통신언어의 언어학적 특성
[한국문화교육론] 한국 드라마가 해외에서 인기를 얻게 된 원인을 살펴보고, 한류의 긍정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