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요약] 과학 오디세이 -과학이 신화와 만나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책 요약] 과학 오디세이 -과학이 신화와 만나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의 위치가 거의 변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항성에는 ‘붙박이별’이란 뜻도 포함되어 있다.
천문학의 여러 분야에서는 별의 상대적 위치만으로도 중요한 정보를 얻어내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현대의 천문학자들은 그리스 로마 신화의 하늘과 비슷한 ‘천구’라는 개념을 만들어 냈다. 천구는 지구를 중심으로 거리가 무한대인 가상의 공이다. 그리고 모든 천체는 이 천구에 붙어 있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해 별까지의 거리를 무시하고 생각한 우주이며, 아폴론이 날아다니는 하늘과 비슷한 셈이다.
아주 오래 전, 신화 시대의 사람들에게는 별까지의 거리가 전혀 중요하지 않았다. 기원전 2700년 무렵의 이집트 사람들은 해뜨기직전에 떠오르는 시리우스를 보고 나일강이 범람할 때임을 알았다. 기원전 2000년 무렵의 바빌로니아 사람들은 태양과 달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달력을 만들었다. 고대인들에게는 태양과 달과 행성 그리고 별들의 움직임이 생활과 그만큼 밀접하였던 것이다. 그래서 별자리를 만들고 여러 천체들의 위치를 정확히 관측하였으며, 그처럼 중요한 천체들을 자신들의 생활을 주관하는 신으로 생각하였다.
이와 같은 고대인들의 생각은 신화로 발전하였으며, 그 신화 속에서 헤파이스토스는 태양의 이륜마차를 고안하였고, 아폴론은 그 이륜마차를 끌고 별 사이의 하늘을 질주하였다. 이렇게 보면 현대의 천문학자들이 만들어 낸 천구는 다름아닌 아폴론이 개척한 하늘의 지도가 아닐까?
<참고 문헌>
-토마스 벌핀치 『신화의 시대(The Age Fable)』 http://www.bulfinch.org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1, 2』이윤기 지음/웅진닷컴/2002년
-『그리스 로마 신화』토마스 벌핀치 지음/최혁순 옮김/범우사/2002년
-『Encyclopedia Mythica』http://www.pantheon.org
-『세계의 유사 신화』J. F. 비얼레인 지음/현준만 옮김/세종서적/2000년
·강의 범람이 만든 풍요의 뿔
-『Geology』Stan Chernicoff/Worth Publishers Inc./1995
-『월간 뉴턴』<1985년 10월호/함안 3늪의 유존중>
-『인터넷 언양읍지』http://www.eonyang.com
·불과 연기의 분출구 ‘화산’
-『The Cradle of Volcanology』http://boris.vulcanoetna.com
-『Volcano World』http://volcano.und.nodak.edu
-『FATHOM-The Source for online learning』http://www.fathom.com/featur/122490
·피부색의 진화와 유전
-『Ethiopian History.com』http://www.ethiopianhistory.com
-『ABC online』 http://www.abc.net.au
·줄기 세포의 유전 공학
-『Ohmy News』<하나의 간이 두 생명 살려> 2000. 3. 18
-『Ask A Biologist』 http://askabiologist.asu.edu
-『The Why Files』 http://whyfiles.org
-『Stem Cell Research Foundation』
http://www.stemcellresearchfoundation.org
·소리를 통해 세상을 본다
-『Howard Hughes Medical institute』
http://www.hhmi.org
-『Sea World』
http://www.seaworld.org
·우주를 바라보는 거대한 거울들
-『Gibraltar Crystal』
http://www.gibraltarcrystal.com
-『SEDS』
http://www.seds.org
·에게 해를 날아오르다
-『Andrian Fisher Maze Design』
http://www.mazemaker.com
-『Cretan or Classical Maze』
http://www.gwydir.demon.co.uk
-『HOW TO FLY AS A BIRD』
http://www.geocities.com
-『How Fast and High Do Birds Fly』
http://www.stanfordalumni.org
-『The Daedalus project』
http://204.189.12.10/ed/cur/liv/ind/mastery/work/hpf/second.html
·발견은 천문학자에게, 영광은 제우스에게
-『The Perseus Digital Library』
http://www.perseus.tufts.edu
-『Views of the Solar System』http://www.solarviews.com
-『SEDS』
http://seds.lpl.arizona.edu
·태양과 별의 운동
-『두산 세계 대백과사전』<고유 운동>
-『From Stargazers to Starships』
http://www-istp.gsfc.nasa.gov
·우주와 물질 그리고 인류의 기원
-『한국의 창세 신화』김헌선 지음/길벗/1994년
-『코스모스』칼 세이건 지음/ 서광운 번역/주우/1981년
-『T-셔츠 위의 만물이론』댄 폴크 지음/강주헌 옮김/휘슬러/2003년
-『Microwave Anisotropy Probe』
http://map.gsfc.nasa.gov/m_uni/uni_101stars.html
  • 가격1,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8.08.16
  • 저작시기201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07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