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30% 섭취하지 않은 여성의 경우 18% 증가
혈장량은 평균 50%증가한다
혈장량 증가가 적혈구의 증가보다 많아서 헤마토크릿트는 약간 감소> 생리적빈혈
백혈구 수는 평균적으로 5000~12000 정도> 15000수준의 생리적 백혈구 증가증 >분만과정과 초기 산욕기 동안 백혈구의 수는 25000까지 증가
혈장섬유소원은 50% 이상 증가 >침강속도를 야기
임신시에는 혈액응고요인 Ⅶ,Ⅷ,Ⅸ 와 Ⅹ이 증가 >혈액응고경향이 높아짐
임신말기에 정맥정체현상과 함께 정맥혈전증의 위험을 증가
소화기계
임신초기에 탄수화물대사의 변화와 융모생식샘자극호르몬(hcg)의 영향으로 흔히 입덧이라고 불리는 구토와 메스꺼움의 증상을 경험하게 된다
잇몸은 충혈되고 부드러워져 약한 충격에도 쉽게 출혈된다
치은종으로 인한 잇몸증대현상때문으로 임신 3개월 정도에 나타나고 임신이 진행되면서 더욱 심해지지만 출산후 대부분 자연히 없어진다
타액분비증가
임신후반기에 이르면 증대된 자궁의 압력과 상승된 프로게스테론영향 >평활근 이완, 장이 후방측위 , 위는 위로 밀려이동, 분문괄약근의 이완은 산도가 높은 위내용물이 식도 하부로 역류되어 가슴앓이 증상이 나타난다
음식물 통과시간과 장운동이 저하됨에 라 가스가 차고 변비가 나타난다
치질
비뇨기계
임신 1기에 증대된 자궁이 방광을 압박해 빈뇨가 발생한다
만삭에 가까워짐에 따라 다시 방광에 압력이 가해져 빈뇨가 나타난다
압박은 방광의 혈관과 림프로의 배액을 저해하게 되어 감염과 손상의 위험을 가중시키게 되며 전방으로 더 돌출되고 용적의 감소가 따른다
우측의 신장과 요관의 팽대가 흔하다
요관이 늘어나고 꼬일 수 있다
신혈류량과 사구체여과율은 임신초기부터 증가한다
사구체여과율은 임신 2기 초반까지 50%정도증가하며 임신말기까지 유지
신혈류량은 임신 3기 동안 약간 감소한다
신세뇨관의 재흡수율이 증가
피부와 모발
임신 중 피부의 색소침착은 흔하게 나타난다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과 알파멜라닌 자극 호르몬에 의해자극
유두, 유륜, 외음, 회음부의 색까지 짙어진다
치골에서 배꼽위까지 복부중앙에 있는 선 백선
백선은 임신중 피부 색소침착의 증가로 선의 색이 진해지면 흑선
뺨, 이마, 코 등의 얼굴부위에 기미로 불리우는 갈색반 > 태양에 노출될 경우 특히 심해지지만 출산후 옅어지거나 사라진다
복부, 유방, 대퇴부에는 약간 함몰된 붉은색을 띤 임신선
거미혈관종이 목, 가슴, 얼굴, 팔 등에 나타나기도 한다 > 에스트로겐 증가로 혈류가 증가되기 때문
근골격계
임신 말기에는 치골결합, 천장골관절과 천미골관절이 다소 이완된다 > 뒤뚱거리는 걸음걸이
임부의 복부가 증대됨에 따라 척추만곡이 두드러지고 임부의 자세도 변화된다
하부요통 유발
말초신경의 압박으로 사지의 감각이상이 임신 후기에 나타날 수 있다
자궁 증대로 복부근육이 늘어나고 복직근이 정중선에서 분리>복직근이개
눈
안압감소
각막의 비후
산욕6주경에 회복
중추신경계
주의력, 집중력과 기억력감소
기억력저하> 출산후에 곧바로 사라진다
대사
체중증가
정상임신에서의 체중증가는 대부분 자궁과 부속물의 증대, 유
혈장량은 평균 50%증가한다
혈장량 증가가 적혈구의 증가보다 많아서 헤마토크릿트는 약간 감소> 생리적빈혈
백혈구 수는 평균적으로 5000~12000 정도> 15000수준의 생리적 백혈구 증가증 >분만과정과 초기 산욕기 동안 백혈구의 수는 25000까지 증가
혈장섬유소원은 50% 이상 증가 >침강속도를 야기
임신시에는 혈액응고요인 Ⅶ,Ⅷ,Ⅸ 와 Ⅹ이 증가 >혈액응고경향이 높아짐
임신말기에 정맥정체현상과 함께 정맥혈전증의 위험을 증가
소화기계
임신초기에 탄수화물대사의 변화와 융모생식샘자극호르몬(hcg)의 영향으로 흔히 입덧이라고 불리는 구토와 메스꺼움의 증상을 경험하게 된다
잇몸은 충혈되고 부드러워져 약한 충격에도 쉽게 출혈된다
치은종으로 인한 잇몸증대현상때문으로 임신 3개월 정도에 나타나고 임신이 진행되면서 더욱 심해지지만 출산후 대부분 자연히 없어진다
타액분비증가
임신후반기에 이르면 증대된 자궁의 압력과 상승된 프로게스테론영향 >평활근 이완, 장이 후방측위 , 위는 위로 밀려이동, 분문괄약근의 이완은 산도가 높은 위내용물이 식도 하부로 역류되어 가슴앓이 증상이 나타난다
음식물 통과시간과 장운동이 저하됨에 라 가스가 차고 변비가 나타난다
치질
비뇨기계
임신 1기에 증대된 자궁이 방광을 압박해 빈뇨가 발생한다
만삭에 가까워짐에 따라 다시 방광에 압력이 가해져 빈뇨가 나타난다
압박은 방광의 혈관과 림프로의 배액을 저해하게 되어 감염과 손상의 위험을 가중시키게 되며 전방으로 더 돌출되고 용적의 감소가 따른다
우측의 신장과 요관의 팽대가 흔하다
요관이 늘어나고 꼬일 수 있다
신혈류량과 사구체여과율은 임신초기부터 증가한다
사구체여과율은 임신 2기 초반까지 50%정도증가하며 임신말기까지 유지
신혈류량은 임신 3기 동안 약간 감소한다
신세뇨관의 재흡수율이 증가
피부와 모발
임신 중 피부의 색소침착은 흔하게 나타난다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과 알파멜라닌 자극 호르몬에 의해자극
유두, 유륜, 외음, 회음부의 색까지 짙어진다
치골에서 배꼽위까지 복부중앙에 있는 선 백선
백선은 임신중 피부 색소침착의 증가로 선의 색이 진해지면 흑선
뺨, 이마, 코 등의 얼굴부위에 기미로 불리우는 갈색반 > 태양에 노출될 경우 특히 심해지지만 출산후 옅어지거나 사라진다
복부, 유방, 대퇴부에는 약간 함몰된 붉은색을 띤 임신선
거미혈관종이 목, 가슴, 얼굴, 팔 등에 나타나기도 한다 > 에스트로겐 증가로 혈류가 증가되기 때문
근골격계
임신 말기에는 치골결합, 천장골관절과 천미골관절이 다소 이완된다 > 뒤뚱거리는 걸음걸이
임부의 복부가 증대됨에 따라 척추만곡이 두드러지고 임부의 자세도 변화된다
하부요통 유발
말초신경의 압박으로 사지의 감각이상이 임신 후기에 나타날 수 있다
자궁 증대로 복부근육이 늘어나고 복직근이 정중선에서 분리>복직근이개
눈
안압감소
각막의 비후
산욕6주경에 회복
중추신경계
주의력, 집중력과 기억력감소
기억력저하> 출산후에 곧바로 사라진다
대사
체중증가
정상임신에서의 체중증가는 대부분 자궁과 부속물의 증대, 유
추천자료
[모성간호학] 부인과적 치료와 간호
[모성간호학 실습] 분만 과정 - 분만 1기 케이스 스터디 (미래여성병원 모성병동+DR)
[모성간호학][Oligohydramnios][양수과소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자궁내막증][Endometriosis of uteru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전치태반][placenta previa]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자궁근종][myoma uteri][Uterine myoma]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endometriosis][자궁내막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자궁근종][Uterine myoma]문헌고찰.
[모성간호학][자궁육종][Sarcoma of uteru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자궁경부암][cervical cancer]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PIH][임신중독증][자간전증]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분만 케이스][분만과정]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모성간호학 실습] A+받은 myoma(자궁근종) 케이스
[모성간호학 실습] C-SEC 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