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요약
1, ‘경건함’을 정의하는 과정2, ‘경건함’ 첫 번째 정의 3, ‘경건함’ 두 번째 정의 4, ‘경건함’ 세 번째 정의 5, ‘경건함’ 네 번째 정의
감상
참고문헌
요약
1, ‘경건함’을 정의하는 과정2, ‘경건함’ 첫 번째 정의 3, ‘경건함’ 두 번째 정의 4, ‘경건함’ 세 번째 정의 5, ‘경건함’ 네 번째 정의
감상
참고문헌
본문내용
들에게 충격과 치료로써 작용하는데《변론》에서는 보다 강력한 호소의 느낌이 들기도 한다.. 또한 간략하고 명료하게 어떤 것을 정의 내리지 못하는 것은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그릇된 행동으로 이어진다는 그의 철학관 역시 담겨 있다. 소크라테스와 에우티프론과의 대화에서 깊이 다룰 만한 주제인 신과 인간 혹은 윤리관과 종교관에 관해서는 좀 더 많은 연구와 깊은 사고를 필요로 한다.
감상
에우티프론 편에서 경건에 대한 정의를 추구하는 탐구의 측면은 논박의 목표의 측면, 에우티프론이 제시하는 명제들을 논파해가는 과정은 논박의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논박의 전체 과정은 소크라테스의 ‘경건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과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제시되는 에우티프론의 명제들에 대한 검토와 논박의 과정으로 구성된다. 에우티프론에 의해서 제시되는 명제들은 ‘경건이란 기소하는 것이다’(정의 ①), ‘경건은 신들의 사랑을 받는 것이다’(정의 ②)‘경건이란 신들에 대한 섬김의 기술/지식이다’(정의 ③)는 세 가지다. 그런데 차례로 제시되는 에우티프론의 세 명제에는 ‘무엇-물음’에 대해서 답하는 방식, 즉 경건에 대한 정의 규정 방법에 대한 에우티프론의 인식의 확장이 반영되어 있다. 인식의 발전은 자신의 무지, 즉 성취된 편견이나 선입견에 대한 자각 없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에우티프론의 명제에 인식의 발전이 반영되어 있다면, 그것은 논박의 논박이 가져온 효과라는 것을 함의하는 것이고, 따라서 논박은 단지 부정성만이 아니라 탐구적인 측면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로부터 에우티프론의 세 명제가 어떻게 경건을 정의 규정하는 방법적인 발전을 보이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경건의 정의는 모든 경건한 것들을 경건하게 만드는 공통된 하나의 특성, 즉 경건의 본질을 규정하는 것이다.
그런데 에우티프론의 정의 ①은 ‘기소’라는 경험적인 사례로써 제시되고, 정의 ②는 ‘신들의 사랑’이라는 경건의 우연적인 속성에 의해서 제시되고 있다. 그래서 정의 ①에 대한 논박에서는 ‘기소’는 경건한 것들을 경건하게 하는 경건의 본질이 아니라 많은 경건한 것 중의 하나에 지나지 않음이 드러나게 되고, 정의 ②에 대한 논박에서는 ‘신들의 사랑’은 경건한 것을 경건하게 해주는 본질이 아니라, 오히려 경건히 경건함으로 인해 신들의 사랑을 받게 되는 것임이 드러나게 된다. 즉 ‘기소’도 ‘신들의 사랑’도 모든 경건한 것들을 경건하게 하는 본질이 아니다. 그리하여 에우티프론은 정의 ①과 정의 ②에 대한 논박의 단계를 거치고 난 다음, 올바름의 일종인 경건은 인간이 아닌 신들과 관련된 올바름으로써 ‘신들에 대한 보살핌의 기술/지식’이라는 정의 ③에 이르러서야 외견상 일반적인 정의 규정의 형식을 갖추게끔 된다. 그러므로 제시된 명제에 합당한 논거에 따라 전개되는 소크라테스의 논박도 정의 ③의 단계에서 ‘덕-기술 유비’의 도입하는 쇼크라 체적 논박의 전형을 보인다. 그러나 에우티프론은 ‘덕-기술 유비’에는 동의하나 보살핌의 기술을 받는 대상인 신들에게 어떤 유익/좋음을 주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답변을 하지 못하고, 정의 ③은 다시 신들에 대한 보살핌의 기술이 아니라 ‘신들과 인간들 사이의 거래기술’로 변형된다. 그런데 에우티프론은 변형된 정의 ③에 대한 검토 과정에서 인간의 선물로 신들로부터 사랑받는 것이라고 답변함으로써, 이미 논박된 정의 ②로 되돌아가고 만다. 이렇게 하여 에우티프론의 모든 명제는 논박되고 경건히 무엇인지는 알지 못하고 탐구 과제로 남겨진 채 논박은 마무리된다.
참고문헌
아주 오래된 질문들, 한국철학사상연구회와 정암학당 편, 동녘
철학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에우튀프론, 플라톤, 강성훈, 이제이북스
감상
에우티프론 편에서 경건에 대한 정의를 추구하는 탐구의 측면은 논박의 목표의 측면, 에우티프론이 제시하는 명제들을 논파해가는 과정은 논박의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논박의 전체 과정은 소크라테스의 ‘경건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과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제시되는 에우티프론의 명제들에 대한 검토와 논박의 과정으로 구성된다. 에우티프론에 의해서 제시되는 명제들은 ‘경건이란 기소하는 것이다’(정의 ①), ‘경건은 신들의 사랑을 받는 것이다’(정의 ②)‘경건이란 신들에 대한 섬김의 기술/지식이다’(정의 ③)는 세 가지다. 그런데 차례로 제시되는 에우티프론의 세 명제에는 ‘무엇-물음’에 대해서 답하는 방식, 즉 경건에 대한 정의 규정 방법에 대한 에우티프론의 인식의 확장이 반영되어 있다. 인식의 발전은 자신의 무지, 즉 성취된 편견이나 선입견에 대한 자각 없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에우티프론의 명제에 인식의 발전이 반영되어 있다면, 그것은 논박의 논박이 가져온 효과라는 것을 함의하는 것이고, 따라서 논박은 단지 부정성만이 아니라 탐구적인 측면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로부터 에우티프론의 세 명제가 어떻게 경건을 정의 규정하는 방법적인 발전을 보이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경건의 정의는 모든 경건한 것들을 경건하게 만드는 공통된 하나의 특성, 즉 경건의 본질을 규정하는 것이다.
그런데 에우티프론의 정의 ①은 ‘기소’라는 경험적인 사례로써 제시되고, 정의 ②는 ‘신들의 사랑’이라는 경건의 우연적인 속성에 의해서 제시되고 있다. 그래서 정의 ①에 대한 논박에서는 ‘기소’는 경건한 것들을 경건하게 하는 경건의 본질이 아니라 많은 경건한 것 중의 하나에 지나지 않음이 드러나게 되고, 정의 ②에 대한 논박에서는 ‘신들의 사랑’은 경건한 것을 경건하게 해주는 본질이 아니라, 오히려 경건히 경건함으로 인해 신들의 사랑을 받게 되는 것임이 드러나게 된다. 즉 ‘기소’도 ‘신들의 사랑’도 모든 경건한 것들을 경건하게 하는 본질이 아니다. 그리하여 에우티프론은 정의 ①과 정의 ②에 대한 논박의 단계를 거치고 난 다음, 올바름의 일종인 경건은 인간이 아닌 신들과 관련된 올바름으로써 ‘신들에 대한 보살핌의 기술/지식’이라는 정의 ③에 이르러서야 외견상 일반적인 정의 규정의 형식을 갖추게끔 된다. 그러므로 제시된 명제에 합당한 논거에 따라 전개되는 소크라테스의 논박도 정의 ③의 단계에서 ‘덕-기술 유비’의 도입하는 쇼크라 체적 논박의 전형을 보인다. 그러나 에우티프론은 ‘덕-기술 유비’에는 동의하나 보살핌의 기술을 받는 대상인 신들에게 어떤 유익/좋음을 주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답변을 하지 못하고, 정의 ③은 다시 신들에 대한 보살핌의 기술이 아니라 ‘신들과 인간들 사이의 거래기술’로 변형된다. 그런데 에우티프론은 변형된 정의 ③에 대한 검토 과정에서 인간의 선물로 신들로부터 사랑받는 것이라고 답변함으로써, 이미 논박된 정의 ②로 되돌아가고 만다. 이렇게 하여 에우티프론의 모든 명제는 논박되고 경건히 무엇인지는 알지 못하고 탐구 과제로 남겨진 채 논박은 마무리된다.
참고문헌
아주 오래된 질문들, 한국철학사상연구회와 정암학당 편, 동녘
철학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에우튀프론, 플라톤, 강성훈, 이제이북스
추천자료
한국의 철학적 사유와 그리스 철학의 도움
[인간관][인간론]고대 그리스 철학자의 인간관, 소크라테스의 인간론, 슐라이에르마허의 인간...
그리스(아테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소피스트, 그리스(아테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
[그리스][그리스음악][그리스 철학][그리스 예술][그리스음악 역사][그리스음악 모방기법]그...
[자연철학]자연철학과 후기다원론자, 자연철학과 자연철학자, 자연철학과 헤겔, 자연철학과 ...
희랍시대(그리스시대, 희랍)의 양가적 판단, 희랍시대(그리스시대, 희랍)의 철학, 희랍시대(...
Post modernism과 상생철학 시대의 종교 이해
[인간과 교육 공통]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인간과교육) 1.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 설명, 과...
인간과교육 1. 후기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있는 인간관의 특징, 과학적인간...
철학의 이해 C형 철학의 교실 존 롤스 ‘정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