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영양학 B형) 2016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참고하여 만 30세 이상에서의 성별 연령별 고혈압 유병률을 조사하여 제시하고 고혈압의 치료를 위한 영양 관리 방안을 조사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임상영양학 B형) 2016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참고하여 만 30세 이상에서의 성별 연령별 고혈압 유병률을 조사하여 제시하고 고혈압의 치료를 위한 영양 관리 방안을 조사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만 30세 이상에서의 성별, 연령별 고혈압 유병률 조사(2016년)
1) 만 30세 이상에서의 성별, 연령별 고혈압 유병률(2016년)
2) 만 30세 이상에서의 고혈압 유병률 추이

2. 고혈압의 치료를 위한 영양 관리 방안
1) 소금의 절제
2) 건강한 식사요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 위한 DASH 식사요법
·포화지방산 및 콜레스테롤, 지방 등의 총량을 줄인다.
·과일, 채소, 저지방 유제품 섭취를 늘인다.
·전곡류를 통하여 식이섬유 섭취를 늘인다.
·소금은 1일 6 g 이하로 줄인다.
·간식 및 설탕이 함유된 식품 섭취를 줄인다.
③지중해식 식단을 유지하며, 최소 주 2회는 생선을 먹는다.
·신선한 과일, 녹황색 채소, 전곡, 오메가-3-지방산이 풍부한 기름진 생선 섭취를 늘린다.
·저지방이나 무지방 유제품, 견과류, 올리브 또는 카놀라 오일, 평지씨, 나아마씨로 만든 마가린 등을 섭취한다.
·붉은 고기 섭취는 줄인다.
Ⅲ. 결론
고혈압은 일반적으로 뚜렷한 증상이 없어 많은 환자들이 질환을 인식하지 못하고 진단이 되더라도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한 고혈압 환자의 절반 이상은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을 가지고 있으며,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우리나라 주요 사망원인인 심근경색이나 뇌졸중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고혈압 조절의 궁극적 목표는 혈압의 감소가 아닌 심혈관 질환의 예방이므로 고혈압 환자는 동반된 위험요인을 확인함과 동시에 조절해야 하며, 고혈압에 의해 뇌졸중, 심혈관 질환 등 장기 손상이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를 해야 한다. 영양관리는 소금 절제와 과일과 채소를 많이 섭취할 수 있는 식단으로 고혈압을 조절한다.
Ⅳ. 참고문헌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1차년도(2016) 주요결과
국민 고혈압사업단 홈페이지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홈페이지
이병헌 저, 우리나라의 고혈압 진료 지침의 방향, 대한고혈압학회 , 2004
  • 가격5,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8.09.16
  • 저작시기2018.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33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