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인터뷰 대상자의 불편함, 결핍, 위험
2) 위험의 원인
3) 문제 해결
4) 느낀점
3. 결론
4. 부록: 인터뷰 내용
5. 참고문헌 및 출처
2. 본론
1) 인터뷰 대상자의 불편함, 결핍, 위험
2) 위험의 원인
3) 문제 해결
4) 느낀점
3. 결론
4. 부록: 인터뷰 내용
5.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게 한 명을 정해서 괴롭히는 것이 즐거우니까, 그 대상이 제가 된 건 그냥 우연이라고 생각해요. 어찌되었든 저는 운이 좋지 않게 그 애들의 대상이 되었고, 그 이후로 오랜 시간 시달렸어요. 책상에 낙서를 하거나 저한테 물건을 던지는 등은 그냥 가벼운 놀이였고, 그 놀이는 점점 심해졌어요. 제가 화장실에 갈 때마다 와서 머리에 더러운 화장실 물을 붓거나 쓰레기통을 털어서 붓는 경우도 많았어요. 나중에는 주기적으로 저를 옥상에 끌고 올라가 폭행을 했어요. 뺨을 때리거나 정강이를 발로 차는 행동으로 시작하다가....
필자: 괴로우시면 구체적인 묘사는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대상자: 아니에요. 괜찮아요. 저한테 있는 이 트라우마를 다 극복하고 싶은데, 그 방법 중 하나가 맞서는 거라고 생각해요. 그러다가 적으면 몇 십분, 길면 하루 종일 번갈아가면서 폭행을 했어요. 교실에서 다른 학생들 앞에서 노예처럼 행동하라고 시키기도 했죠.
필자: 도움을 요청할 대상은 없었나요?
대상자: 물론 부모님이나 선생님들을 떠올리긴 했지만.. 그 아이들이 어른들에게 이르는 경우에는 가만두지 않겠다고 협박했어요.
필자: 그래서 요청을 하지 않았나요?
대상자: 약 2년 간 참다가 중학교 3학년에 올라가면서 그 아이들과 다른 반이 되었어요. 그래서 조금이나마 벗어날 수 있을 것 같은 마음에 선생님께 상담을 드렸는데.. 제 예상과는 다르게 반응하셨어요. 문제를 크게 일으키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하시고. 친구들한테 제가 무슨 잘못을 했는지에 대해서 따져 물으시더라구요.. 마치 이 모든 것이 저로 인해 시작된 일인 것 같은 생각이 들어서 많은 죄책감에 시달리고.. 그 때는 심지어 자살까지 생각했어요. 부모님께는 차마 말씀드리지 못했네요.
필자: 이런.. 그래서 담임 선생님과의 상담은 그렇게 끝나고 아무런 도움을 받지 못하신 건가요?
대상자: 아무런 도움을 받지 못했으면 다행이죠. 공개적으로 설문지를 돌리시고 해당 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야기하시는 바람에 저를 괴롭히던 아이들이 제가 선생님께 이른 것을 알게 되었어요.
필자: 선생님께서 해당 내용을 공개하셨다는 말씀이세요?
대상자: 물론 비밀을 보장해야 한다고 하시면서 제 이름을 말하거나 하지는 않으셨죠. 하지만 이미 제가 괴롭힘을 당하고 있는 것을 전교생이 다 알고 있었기 때문에 해당 내용만 듣고도 모든 아이들이 바로 제 이야기인 것을 알았어요. 게다가 폭력의 내용까지 말씀하셨기 때문에 확실했죠.
필자: 이런.. 그래서 고등학교 진학하면서는 어떻게 벗어날 수 있었나요?
대상자: 그냥 다른 지역으로 옮겼어요. 저는 지금 인천에 거주하고 있지만 중학교는 부산에서 나왔어요. 이사를 오면서 정신과 상담을 받고, 새로운 학교에서는 많은 노력을 통해 친구들이랑 친해질 수 있었어요.
필자: 가해자 학생들에게는 아무런 처벌이 없었나요?
대상자: 당연하죠. 담임 선생님은 설문조사를 했지만, 따돌림이 있다고 답한 사람은 저밖에 없었어요. 다른 모든 친구들이 그냥 가벼운 장난을 제가 심각하게 받아들였다고 말했고, 선생님은 그냥 넘어가셨죠. 가해자 친구 중 한 명의 아버지가 저희학교 교장선생님과 동문이더라고요. 말 다했죠.
필자: 그 때의 경험이 지금 생활하는 데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시나요?
대상자: 네. 아직도 매일 꿈에 나와요. 더 이상 생각하고 싶지도 않네요. 인터뷰 그만해도 되나요?
필자: 네. 어려운 경험 저와 공유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앞으로 모든 일 다 잘되시길 빕니다.
5. 참고문헌 및 출처
손진희, 홍지영 “청소년 따돌림 문제의 이해와 대처” 학지사(2008)
이승현 “청소년 따돌림에 대한 형사정책적 대응방안” KIC(2014)
필자: 괴로우시면 구체적인 묘사는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대상자: 아니에요. 괜찮아요. 저한테 있는 이 트라우마를 다 극복하고 싶은데, 그 방법 중 하나가 맞서는 거라고 생각해요. 그러다가 적으면 몇 십분, 길면 하루 종일 번갈아가면서 폭행을 했어요. 교실에서 다른 학생들 앞에서 노예처럼 행동하라고 시키기도 했죠.
필자: 도움을 요청할 대상은 없었나요?
대상자: 물론 부모님이나 선생님들을 떠올리긴 했지만.. 그 아이들이 어른들에게 이르는 경우에는 가만두지 않겠다고 협박했어요.
필자: 그래서 요청을 하지 않았나요?
대상자: 약 2년 간 참다가 중학교 3학년에 올라가면서 그 아이들과 다른 반이 되었어요. 그래서 조금이나마 벗어날 수 있을 것 같은 마음에 선생님께 상담을 드렸는데.. 제 예상과는 다르게 반응하셨어요. 문제를 크게 일으키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하시고. 친구들한테 제가 무슨 잘못을 했는지에 대해서 따져 물으시더라구요.. 마치 이 모든 것이 저로 인해 시작된 일인 것 같은 생각이 들어서 많은 죄책감에 시달리고.. 그 때는 심지어 자살까지 생각했어요. 부모님께는 차마 말씀드리지 못했네요.
필자: 이런.. 그래서 담임 선생님과의 상담은 그렇게 끝나고 아무런 도움을 받지 못하신 건가요?
대상자: 아무런 도움을 받지 못했으면 다행이죠. 공개적으로 설문지를 돌리시고 해당 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야기하시는 바람에 저를 괴롭히던 아이들이 제가 선생님께 이른 것을 알게 되었어요.
필자: 선생님께서 해당 내용을 공개하셨다는 말씀이세요?
대상자: 물론 비밀을 보장해야 한다고 하시면서 제 이름을 말하거나 하지는 않으셨죠. 하지만 이미 제가 괴롭힘을 당하고 있는 것을 전교생이 다 알고 있었기 때문에 해당 내용만 듣고도 모든 아이들이 바로 제 이야기인 것을 알았어요. 게다가 폭력의 내용까지 말씀하셨기 때문에 확실했죠.
필자: 이런.. 그래서 고등학교 진학하면서는 어떻게 벗어날 수 있었나요?
대상자: 그냥 다른 지역으로 옮겼어요. 저는 지금 인천에 거주하고 있지만 중학교는 부산에서 나왔어요. 이사를 오면서 정신과 상담을 받고, 새로운 학교에서는 많은 노력을 통해 친구들이랑 친해질 수 있었어요.
필자: 가해자 학생들에게는 아무런 처벌이 없었나요?
대상자: 당연하죠. 담임 선생님은 설문조사를 했지만, 따돌림이 있다고 답한 사람은 저밖에 없었어요. 다른 모든 친구들이 그냥 가벼운 장난을 제가 심각하게 받아들였다고 말했고, 선생님은 그냥 넘어가셨죠. 가해자 친구 중 한 명의 아버지가 저희학교 교장선생님과 동문이더라고요. 말 다했죠.
필자: 그 때의 경험이 지금 생활하는 데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시나요?
대상자: 네. 아직도 매일 꿈에 나와요. 더 이상 생각하고 싶지도 않네요. 인터뷰 그만해도 되나요?
필자: 네. 어려운 경험 저와 공유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앞으로 모든 일 다 잘되시길 빕니다.
5. 참고문헌 및 출처
손진희, 홍지영 “청소년 따돌림 문제의 이해와 대처” 학지사(2008)
이승현 “청소년 따돌림에 대한 형사정책적 대응방안” KIC(2014)
추천자료
[사회복지개론 공통] 우리는 살아가면서, 다양한 위험에 처하게 된다. 재난(세월호, 가습기 ...
[사회복지개론 공통] 우리는 살아가면서, 다양한 위험에 처하게 된다. 재난(세월호, 가습기 ...
[사회복지개론 공통] 우리는 살아가면서, 다양한 위험에 처하게 된다. 재난(세월호, 가습기 ...
사회복지개론_우리는 살아가면서, 다양한 위험에 처하게 된다. 재난(세월호, 가습기 살균제 ...
[사회복지개론 공통] 우리는 살아가면서 다양한 위험에 처하게 된다 재난(세월호 가습기 살균...
사회복지개론)우리는 살아가면서 다양한 위험에 처하게 된다 재난(세월호 가습기 살균제 성폭...
사회복지개론)우리는 살아가면서 다양한 위험에 처하게 된다 재난(세월호 가습기 살균제 성폭...
사회복지개론)우리는 살아가면서 다양한 위험에 처하게 된다 재난(세월호 가습기 살균제 성폭...
사회복지개론)우리는 살아가면서, 다양한 위험에 처하게 된다. 재난(세월호, 가습기 살균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