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요약
1, 왜 일하지 않으면 안 되는가?
2, 활동적 삶과 정신적 삶 1) ‘활동적 삶’(vita active) 2) 노동(labor)
3) 생명유지와 노동
3, 정신적 삶과 예술
감상
참고자료
요약
1, 왜 일하지 않으면 안 되는가?
2, 활동적 삶과 정신적 삶 1) ‘활동적 삶’(vita active) 2) 노동(labor)
3) 생명유지와 노동
3, 정신적 삶과 예술
감상
참고자료
본문내용
‘축복이나 즐거움’은 모든 살아있는 피조물들과 공유하는 살아 있음의 순전한 기쁨을 경험하는 인간의 방식이다. 또한, 노동은 규정된 자연의 순환 운동 속에 남아 있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이며, 마치 낮과 밤, 삶과 죽음이 이어지듯 아무런 목적 없이 규칙적으로 행복하게 수고와 휴식, 노동과 소비 사이를 왔다 갔다 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수고와 고통의 보상은 자연의 다산성에, 곧 ‘수고와 고통’을 인내하고 자기 일을 해내는 자는 자신의 아이들과 그들의 아이들이 살게 될 미래에 자연의 한 부분으로 남게 된다는 큰 확신에 놓여 있다(Arendt, 1958년: 106~107p). 삶의 실재성은 “삶을 통해 느끼는 강렬함과 그 자체의 영향력에 의해 좌우된다.” 삶에 대한 활력은 인간이 ‘수고와 고통’이 따르는 삶을 유지하고 있을 때 가능해진다. 곧 현실 속에서 인간은 노동의 ‘수고와 고통’ 그리고 소비를 통해 얻은 ‘축복과 기쁨’의 순환과 그 균형을 통해 행복감을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아렌트는 노동과 소비의 순환 과정에서 벗어나 있는 극빈함이나 과도한 부유함은 인간이 행복감을 얻지 못하도록 한다고 했다. 인간은 기꺼이 자신의 신체를 활용한 노동을 통해 삶의 실재를 느낀다. 아렌트는 여기서 노동 활동의 한계를 경계하고 있다. 노동과 소비를 통한 ‘슬픔과 기쁨’은 순전히 자기 삶의 필수재를 얻는 데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아렌트는 이와 관련하여 “노동 활동이 전적으로 생명과 그것의 유지에만 집중함으로서 무 세계성에 이를 만큼 세계를 의식하지 못하게 한다.
아렌트는 노동이 지닌 이러한 한계성에도 불구하고 노동 활동을 다른 활동들에 견주어 경중을 가리거나 깎아내리거나 부정적으로만 인식하고 있지는 않다. 모든 삶의 활동들이 제각각의 의미와 가치를 지닌 것처럼 노동 역시 인간의 삶을 위해 필연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활동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노동은 소비를 통해 끊임없이 반복적으로 순환하는 과정에서 자기 욕구의 충족에만 집중하여 세계에 관한 관심을 표출하지 못함으로서 인간을 개별적으로만 존재하게 할 뿐 공동세계의 ‘관계’로 나아가지 못하게 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그러나 노동이 지닌 이러한 사적이며 무 세계적 속성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인간 탄생의 문제와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아렌트의 말처럼 인간 활동으로서의 의미와 가치를 지니기도 한다. 노동의 중요성은 그것이 인간의 ‘신체’ 그 자체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통해 드러난다. 노동은 인간이 이 세계에 자신의 ‘신체’를 드러내고 생명을 유지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삶을 지속할 수 있는 필연적인 활동이다. 인간은 태어나면서 ‘얻게 되는 몸’을 노동을 통해 이 세계에서 유지되도록 한다. 노동이 인간의 탄생 때문에 부여받게 되는 몸 그 자체의 유지를 위한 활동이라는 점에서 탄생 성도 인간 ‘몸의 주어짐 성’이라는 의미와 무관하지 않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인간을 포함해 모든 존재는 그들 자체가 지닌 본디 가치 곧 ‘생’(生) 의 원리대로 살아간다.
참고자료
‘철학의 교실’, 오가와 히토시 지음, 파이카
아렌트는 노동이 지닌 이러한 한계성에도 불구하고 노동 활동을 다른 활동들에 견주어 경중을 가리거나 깎아내리거나 부정적으로만 인식하고 있지는 않다. 모든 삶의 활동들이 제각각의 의미와 가치를 지닌 것처럼 노동 역시 인간의 삶을 위해 필연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활동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노동은 소비를 통해 끊임없이 반복적으로 순환하는 과정에서 자기 욕구의 충족에만 집중하여 세계에 관한 관심을 표출하지 못함으로서 인간을 개별적으로만 존재하게 할 뿐 공동세계의 ‘관계’로 나아가지 못하게 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그러나 노동이 지닌 이러한 사적이며 무 세계적 속성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인간 탄생의 문제와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아렌트의 말처럼 인간 활동으로서의 의미와 가치를 지니기도 한다. 노동의 중요성은 그것이 인간의 ‘신체’ 그 자체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통해 드러난다. 노동은 인간이 이 세계에 자신의 ‘신체’를 드러내고 생명을 유지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삶을 지속할 수 있는 필연적인 활동이다. 인간은 태어나면서 ‘얻게 되는 몸’을 노동을 통해 이 세계에서 유지되도록 한다. 노동이 인간의 탄생 때문에 부여받게 되는 몸 그 자체의 유지를 위한 활동이라는 점에서 탄생 성도 인간 ‘몸의 주어짐 성’이라는 의미와 무관하지 않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인간을 포함해 모든 존재는 그들 자체가 지닌 본디 가치 곧 ‘생’(生) 의 원리대로 살아간다.
참고자료
‘철학의 교실’, 오가와 히토시 지음, 파이카
추천자료
피타고라스의 철학 이해 - 『The hours』와 연관하여
[서양철학의 이해] 데카르트 철학에 대한 논의(방법서설) 데카르트 방법서설
포스트모더니즘과 상생철학시대의 종교이해
2017 인간과교육] 후기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 종래의...
인간과교육:)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 관점 인간관의 특징 / 과학적 인간관 비판 / 콜버그...
인간과교육3공통) 후기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
인간과교육2017)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하...
방통대 중간과제 철학의 이해 B형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 철학 -미셸 푸코가 배운 ‘자기’의 ...
[인간과교육]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