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의여가생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인의여가생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서론

본론
1. 여가 활동의 개념 및 유형
2, 여가의 개념
3, 1주간 일별 여가활동 내역
4, 1주간의 여가활동 중 육체적인 여가활동 한가지와 제시된 여가 비교
1) 카누경기의 기원과 특성 2) 카누경기의 종목 결론: 내가 즐기는 여가의 특징과 장단점 비교

참고자료

본문내용

래 카누의 형태를 갖춘 모습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우리 선조들도 이와 같은 유사한 카누를 사용하였다는 것은 국립 경주박물관에 보관 중인 통나무로 만든 배에서 알 수 있다. 카누는 사용자의 주변 환경에 따라 다양한 재질과 모습으로 발전하였는데 북미 인디언들은 자작나무로 배를 만들어 사용하였고, 그린랜드 일원의 에스키모인들은 동물의 뼈에 바다표범의 가죽을 씌워 만든 조그만 배를 수렵이나 수송수단으로 사용하면서부터 카누와 카약이 다른 모습으로 발전하게 되었다(대한카누연맹,2006년). 2) 카누경기의 종목 카누 경기는 인공 또는 자연으로 된 물이 흐르지 않는 정수에서 시행되며 9개의 직선 주로를 부표(buoys)로 표시된 레인(lane) 위에서 선수는 일정한 거리를 가능한 빨리 노를 저어 결승점에 먼저 도착하는가를 겨루는 경기이며, 카누는 배의 모양에 따라 카약과 카누로 구분된다. 카약은 위 덮개가 있으며 양날 노를 사용하고, 카누는 북미 인디언들이 사용한 배에서 유래하였다 하여 캐나디안 카누라고도 부르며 덮개가 없고 외날 노를 사용한다(대한카누연맹,2006년). (1) 카약(kayak:K) 카약은 배가 진행하는 방향 쪽을 향해 스트레처(stretch)에 양발을 대고 앉아 양쪽에 너깃(blade)이 노(paddle)를 사용하여 좌우로 번갈아 저어가면서 배를 전진시킨다. 카약의 노 젓기는 크게 4가지 동작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몸통을 틀어 팔을 곧게 편 상태로 패들을 물에 넣는 입수(entry) 동작, 이어 몸통을 회전시키면서 패들을 끌어당기는(draw) 동작, 패들을물 밖으로 빼내는 출수(exit) 동작, 그리고 다시 입수하기 위하여 몸통을 틀어서 팔을 곧게 펴 패들을 입수지점으로 가져가는 공중 동작(recovery)으로 나눌 수 있다(류지선,이정수,1997년). 노를 젓는(paddling) 일반적인 방법은 어깨에 힘을 빼고 오른팔은 수축한 자세에서 앞으로 밀어 어깨와 수평이 되는 동안 왼팔은 곧게 편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구부리며 몸통의 회전과 함께 당긴다. 이 때 팔을 밀고 당기는 동작이 동시에 일어남으로써 노가 물을 견고하게 가르며, 몸통의 회전으로부터 힘을 끌어내어 배를 전진시킨다(박규태,1994년). 방향의 조정은 배의 고물 쪽에 방향키(puddle)가 달려서 이것을 와이어로 연결된 딜러(tiller)를 발로 조작한다. 카약의 종류로는 1인승(K1), 2인승(K2), 4인승(K4)이 있으며(대한카누연맹 카누 교본, 1984년),카약 노 젓기의 끌어당기기(draw) 동작, 출수(exit) 동작, 공중(recovery) 동작, 입수(entry) 동작 (2) 카나디안(canadian:C) 캐나디안은 양쪽으로 노 젓기 하는 카약과는 달리 한쪽에만 블레이드가 있는 패들을 사용하여 좌우측 중 어느 한쪽에만 노 젓기 함으로써 배를 전진시켜야 하는 종목으로 입수(entry) 동작, 끌어당기기(drop) 동작, 출수(exit) 동작, 공중동작(recovery)으로 나눌 수 있다(류지선, 이정수, 1997년; 박규태, 1994년). 패들링을 하는 방법으로서 오른쪽 노 젓기의 경우 배가 진행하는 방향 쪽을 향해 오른쪽 무릎은 꿇고, 그 앞쪽으로 왼쪽 무릎은 세운 자세에서 오른팔이 몸통을 틀어 앞으로 숙이며 패들을 입수시킬 때 왼팔은 미리 위쪽으로 팔을 펴 물에 대한 저항으로부터 패들을 지탱하게 된다. 이어 오른팔이 패들을 당길 때 왼팔은 얼굴 앞쪽을 지그시 눌러주게 되며, 동시에 숙였던 몸통을 일으키고 회전시키는 힘으로 배가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카약과는 달리 방향을 조종하는 키(ruddle)가 없고 또한 한쪽으로만 노 젓기 하므로 노 젓기 하는 반대쪽으로 배의 앞부분이 틀어지게 되는데, 배를 반듯하게 진행하기 위하여 패들을 J자 형태로 출수(exit) 시킴으로써(J-stroke) 배를 반듯하게 진행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카나디안종류로는 1인승(C1), 2인승(C2), 7인승(C7)이 있다. (3) 카누정(canoe) 및 패들(paddle) 카약과 캐나디안 카누는 선체의 단면과 세로 선은 볼록하여야 하고 항상 휘어지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규격과 형태, 무게가 I, C, F(InternationalCanoeFederation) 규정에 저촉되지 않으면 어떤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거나 경기에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카누를 전진시킬 때 사용하는 노를 일반적으로 paddle이라고 하는데 카약용 패들은 양쪽 끝에 너깃(blade)이 붙어 있으며, 약 45°~ 90° 정도로 틀어져 있다. 그리고 패들의 길이는 선수의 신장에 따라 다르게 사용하나 대체로 서서 손을 뻗친 길이로써 210~225cm 정도의 것을 사용하며 무게는 1kg 전후다. 카나디안 카누용 패들은 한쪽에만 블레이드가 있고 다른 쪽에는 그림(grip)이 붙어 있는데, 무게는 약 0.9kg~1kg 정도이며, 패들의 길이는 C1의 경우, 선수의 머리 높이 그리고 C2의 경우에는 눈 또는 눈썹 높이 정도의 것을 사용한다.
결론: 내가 즐기는 여가의 특징과 장단점 비교
내가 일 주일에 두 세 번 하는 헬스와 카누를 비교하면, 첫 번째 헬스는 실내 스포츠이고 카누는 주로 실외에서 운동을 한다. 두 번째는 헬스에 비해 카누는 더 역동적이다. 특히 카누는 전신을 쓰고 헬스는 주로 부위마다 해당되는 운동이나 기구 등이 다르다. 셋째, 헬스는 자세를 배워서 실내외 어디서도 할 수 있는 종목이지만, 카누는 장소에 제약이 크다. 넷째, 헬스는 장비나 도구가 거의 갖춰져서 휴대할 물건이 얼마 안 되지만, 카누는 이것저것 갖출 것이 많다. 물론 장비가 잘 갖춰진 카누, 카약 경기장이 있을 수도 있지만 초반에 배우는 데 한계가 있을 수도 있다. 무엇보다 장소의 제약이 가장 크고 지도자 구하기도 쉽지 않아 시간적인 제약이 많다. 날씨도 영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헬스보다 카누가 초반 비용이 더 많이 들고 기타 경비도 더 많이 든다.
무엇보다도 체력적인 여건이 문제가 될 수도 있어 중년 스포츠로는 좀 어려울 수 있다.
참고자료
현대인의 여가생활 / 저자 : 장호찬 외 공저 / 출판사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출판년도 : 2013
  • 가격4,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8.09.27
  • 저작시기201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39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