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의녀제도의 시작
2. 의녀의 신분
3. 의녀의 종류
4. 의녀의 임무
5. 의료기관의 종류
6. 의녀가 전문의가 되는 과정
7. 대표적인 어의녀 대장금
8. 의녀제도가 간호에 미친 영향
9. 참고문헌
2. 의녀의 신분
3. 의녀의 종류
4. 의녀의 임무
5. 의료기관의 종류
6. 의녀가 전문의가 되는 과정
7. 대표적인 어의녀 대장금
8. 의녀제도가 간호에 미친 영향
9.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녀제도의 시작
성리학의 영향으로 남녀구별이 엄격 -> 부녀자들이 아프면 남자 의원에게 진료를 받을 수 없었다.
태조 6년 3월 16일, 허도의 상소
“부인들이 병이 있는데 남자 의원으로 하여금 진맥하여 치료하게 하면 부끄러워서 병을 숨기다가 사망에 이르곤 하니, 여자아이들을 골라 의술을 가르쳐서 부인을 치료하게 하소서”
여성들이 아플 때 남의에게 진찰을 받는 것을 부끄러워 하였다.
성리학의 영향으로 남녀구별이 엄격 -> 부녀자들이 아프면 남자 의원에게 진료를 받을 수 없었다.
태조 6년 3월 16일, 허도의 상소
“부인들이 병이 있는데 남자 의원으로 하여금 진맥하여 치료하게 하면 부끄러워서 병을 숨기다가 사망에 이르곤 하니, 여자아이들을 골라 의술을 가르쳐서 부인을 치료하게 하소서”
여성들이 아플 때 남의에게 진찰을 받는 것을 부끄러워 하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