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 업체 중국 진출 사업계획서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어 교육 업체 중국 진출 사업계획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아이템 선정
1-1. 아이템 선정 배경
1-2. 아이템 소개

2. 업체 선정
2-1. 업체 선정 배경
2-2. 업체 소개
2-3. 업체 분석

3. 판매 시장 선정
3-1. 판매 시장 선정배경
3-2. 판매시장 분석

4. 마케팅 전략
4-1. Positioning
4-2. 온, 오프라인 전략 개념도
4-3. 마케팅 믹스 전략(4P Mix’s)

5. 바이어 발굴

6. 향후 추진 계획

7. Conclusion

본문내용

1-1. 아이템 선정 배경
<중국 대학 한국어과 개설 수>

< 중 략 >

한국어 공식언어 지정
한국어, 국제특허협력조약(PCT·Patent Cooperation Treaty)의 국제 공개어로 공식 채택
한국어 처음으로 각종 국제기구나 국제조약의 공식 언어로 지정
(source : ‘한국어, 국제특허 출원 공식언어 됐다!’, 조선일보 기사 발췌 및 정리 2017.09)
-> 한국어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한국어 교육 시장에 대한 향후 전망이 매우 밝다고 할 수 있음

<한국어 교육 실태>
한국어 강좌수 부족
-수강 희망 인원에 비해, 한국어 강좌수 부족
-각 정부부처와 기관 힌국어 교육 시스템 분산
한국어 전문 교사 부족
-중국어 전공한 조선족 위주
-교사의 잦은 교체
-교사의 한국어 전문성 떨어짐
한국어 전문 교재 부족
-학습자의 교육수준에 적절한 한국어 교재 부재
-한국어 교재 유통망 잘 되어 있지 않음
한국어에 대한 급증하는 수요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미흡함으로 인해,
고급 인력의 공급이 부족한 실정임
  • 가격3,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8.10.02
  • 저작시기2018.10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10642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