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냉장용기에 보관함
-가능하면 아동을 반좌위로 유지하여 소변이 채집기로 잘 흘러가도록 함
-소변수집 주머니를 사용할 경우에는 부착 부위의 자극 징후나 밀봉 여부를 확인함
(3) 청결뇨 수집
-소변배양이 필요한 경우 시행하며 검사물을 받기 전에 요도와 주변 조직을 청결하게 하여 소변이 다른 균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함
-첫 소변은 버리고 중간뇨를 수집함
(4) 치골상부 흡인
-소변 검사물을 얻기 위해 방광에 직접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수집하는 방법
-영아에게서 깨끗한 소변을 얻을 때 혹은 요로감염이 의심될 때 소변배양검사를 위해 이용 됨
(5) 기타 뇨 수집
-도뇨관 삽입을 통한 뇨 수집은 요도폐색이나 신부전에 의한 무뇨로 인해 배뇨를 못할 때 가장 많이 시행되는 방법
2) 혈액검사
-혈액검사는 아동에게 매우 두려운 경험이므로 간호사는 적당한 준비를 시키고 격려해야함
-ABGA의 경우 공기방울이 들어가면 혈액가스 농도가 변화되고 울음이나 두려움, 움직임
은 가스 측정치에 영향을 주므로 아동을 편안하게 해줌
-정맥혈액 검사물은 정맥천자 혹은 말초나 중심정맥장치를 통해 흡인해서 얻을 수 있음
-동맥혈은 혈액가스 분석을 위해 필요함. 동맥혈은 요골, 상완, 대퇴동맥의 천자나 유치 동 맥관을 삽입하여 채취함. 응고되지 않은 혈액이 필요하므로 항응고제로 처리된 주사기를 이용함
-모세혈관천자는 성인과 같이 손가락이나 귓불을 천자하여 얻는다. 영아는 발뒤꿈치를 찌 름. 검사물을 채집하기 전에 발뒤꿈치를 5~10분 정도 온열 찜질하여 혈관을 확장시킨다. 천자부위는 알코올로 소독하고 발은 단단히 잡고 천자한다. 통증을 줄이기 위해 EMLA 크 림을 사용하기도 한다. 천자가 끝나면 마른거즈로 덮어 지혈이 될 때까지 압력을 가하고 반창고를 붙여준다.
13. 사고예방 및 안전관리
(1) 환경관리
-안전관리를 위해 대상자를 확인할 경우 이름표를 사용한다.
-낙상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에 물이나 물건을 없도록 한다.
-특히 부모가 없을 때는 반드시 침대 난간을 올려 둔다.
-걸을 수 있는 아동은 화상, 낙상, 중독을 일으키는 위험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잘 감시한 다.
-산소텐트 안에 있으면 전기를 사용하거나 마찰이 일어나는 장난감은 사용하지 않도록 한 다.
(2) 이동
입원기간 동안 영아나 아동을 병동의 다른 장소나 외부로 옮길 수 있다. 가까운 거리의 이동은 안전하나 멀리 가는 경우 휠체어나 이동침대 등의 적절한 운반기구를 이용한다.
(3) 낙상
사고 예방을 위하여 입원시 낙상방지교육이 필요하다. 영아 뒤집기를 시작산지 4개월이후 가장 흔한 사고이며, 어느 연령대나 일어날 수 있다. 침대에서 낙상사고가 자주 일어나는데 아이를 보조 난간이 없는 높은 곳에 두어서는 안된다.
(4) 이물질 흡인 & 질식
기도내 이물질 흡인으로 인한 질식은 1세 이하의 영아에게 치명적인 상태이다. 음식물이나 물체의 크기나 형태와 농도가 치명적인 손상에 결정적인 요소가 될 수 있으며 영아가 손을 사용할 수 있는 순간부터 여러 물체들을 집어 삼킬 수 있으므로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
14. 아동간호 장비 및 기구 사용
1) nebulizer
(1) nebulizer의 구성
마우스 피스 또는 마스크, 약물주입통, 튜브
(2) nebulizer 사용방법
① 기구의 뚜껑을 연다, 전원이 켜져 있는지 확인한다.
② 콘센트에 연결한다.
③ 손을 씻는다.
④ 튜브의 한쪽 끝을 배출구에 연결한다.
⑤ 약물주입통을 연결하고, 약물을 넣고 약물주입통을 닫는다.
⑥ 전원을 켠다.
⑦ 입과 코를 마우스로 씌우고, 천천히, 깊이 숨을 들이 쉬고, 천천히 내뱉도록 한다.
⑧ 5~15분간 흡입하도록 한다.
⑨ 전원을 끈다.
⑩ 소염제를 사용할 경우 드물게, 구강칸디다증이 생길수 있으므로 사용후 구강 내를 물로 헹구어 내며, 마스크를 사용할 경우에는 얼굴도 함께 닦아야 한다.
2) infusion pump
-아동은 심장과 순환계통이 성인보다 작기 때문에 천천히 주입해야 하는데 만약 성인과
동일하게 투여할 경우 심장 과부하를 초래할 수 있음
-Infusion Pump를 사용하여 소량의 약물 투여 시에도 유속을 정확하게 통제하여 속도와
양을 정확하여 주입할 수 있음
infusion pump 목적 :
정확한 용액 투입과 환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간호함을 목적으로 개발된 기계장치
(1) infusion pump 사용방법
① 준비된 수액을 폴대에 걸고, 수액라인을 infusion pump 내관에 팽팽하게 잘 꽂는다.
② 클램프를 위까지 모두 열어둔다.
③ sensor를 chamber를 반절로 이등분했을 경우 수액방울이 떨어지는 윗부분에 꽂는다.
④ 시간당 몇cc로 줄것인지 숫자를 방향키로 맞춘후 start를 누른다.
3) 경피산소측정기
-산소는 head hood, 지속적 기도 내 양압 장치(continuous positlve airway pressure)또는 기관 삽관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청색증, 빈맥, 무호흡 발작 등은 산소 투여의 적응증이기는 하나, 이러한 증상을 없애는 최소 농도의 산소를 투여해야 하며, 고산소증이나 저산소증에 의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는 동맥혈 산소 분압을 계속 암시하며, 투여하는 산소의 농도를 조절하지 않으면 안 된다.
-경피 산소 농도 측정법이나 산소 포화도 측정기(pluse oximetry)는 산소 농도 감시의 효과 를 증가시킨다. 모세혈관 혈액 분석법에 의한 산소 분압 측정은 동맥혈 산소 분압을 잘 반 영하지 못한다.
-미숙아나 중등도의 증상을 가진 신생아에게 산소를 투여할 때 미숙아 망막증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경피산소측정기를 통해 지속적으로 PaO2 농도를 확인할 수 있음
4) 소아용 혈압기
-커프의 넓이는 측정하는 팔의 넓이보다 20% 넓게 한다.
-길이는 측정하는 팔을 충분히 감쌀 수 있게 한다.
-커프의 폭이 너무 좁은 경우에는 혈압이 비정상적으로 높게 측정되고 너무 넓을 경우에는 낮게 측정된다.
※ 참고문헌
1. 아동간호학의 기초 /군자출판사 / 김미예 외
2. 아동의 성장발달과 간호 (군자출판사, 김미예 외)
3. 아동의 건강문제와 간호 (군자출판사, 김미예 외),
-가능하면 아동을 반좌위로 유지하여 소변이 채집기로 잘 흘러가도록 함
-소변수집 주머니를 사용할 경우에는 부착 부위의 자극 징후나 밀봉 여부를 확인함
(3) 청결뇨 수집
-소변배양이 필요한 경우 시행하며 검사물을 받기 전에 요도와 주변 조직을 청결하게 하여 소변이 다른 균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함
-첫 소변은 버리고 중간뇨를 수집함
(4) 치골상부 흡인
-소변 검사물을 얻기 위해 방광에 직접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수집하는 방법
-영아에게서 깨끗한 소변을 얻을 때 혹은 요로감염이 의심될 때 소변배양검사를 위해 이용 됨
(5) 기타 뇨 수집
-도뇨관 삽입을 통한 뇨 수집은 요도폐색이나 신부전에 의한 무뇨로 인해 배뇨를 못할 때 가장 많이 시행되는 방법
2) 혈액검사
-혈액검사는 아동에게 매우 두려운 경험이므로 간호사는 적당한 준비를 시키고 격려해야함
-ABGA의 경우 공기방울이 들어가면 혈액가스 농도가 변화되고 울음이나 두려움, 움직임
은 가스 측정치에 영향을 주므로 아동을 편안하게 해줌
-정맥혈액 검사물은 정맥천자 혹은 말초나 중심정맥장치를 통해 흡인해서 얻을 수 있음
-동맥혈은 혈액가스 분석을 위해 필요함. 동맥혈은 요골, 상완, 대퇴동맥의 천자나 유치 동 맥관을 삽입하여 채취함. 응고되지 않은 혈액이 필요하므로 항응고제로 처리된 주사기를 이용함
-모세혈관천자는 성인과 같이 손가락이나 귓불을 천자하여 얻는다. 영아는 발뒤꿈치를 찌 름. 검사물을 채집하기 전에 발뒤꿈치를 5~10분 정도 온열 찜질하여 혈관을 확장시킨다. 천자부위는 알코올로 소독하고 발은 단단히 잡고 천자한다. 통증을 줄이기 위해 EMLA 크 림을 사용하기도 한다. 천자가 끝나면 마른거즈로 덮어 지혈이 될 때까지 압력을 가하고 반창고를 붙여준다.
13. 사고예방 및 안전관리
(1) 환경관리
-안전관리를 위해 대상자를 확인할 경우 이름표를 사용한다.
-낙상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에 물이나 물건을 없도록 한다.
-특히 부모가 없을 때는 반드시 침대 난간을 올려 둔다.
-걸을 수 있는 아동은 화상, 낙상, 중독을 일으키는 위험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잘 감시한 다.
-산소텐트 안에 있으면 전기를 사용하거나 마찰이 일어나는 장난감은 사용하지 않도록 한 다.
(2) 이동
입원기간 동안 영아나 아동을 병동의 다른 장소나 외부로 옮길 수 있다. 가까운 거리의 이동은 안전하나 멀리 가는 경우 휠체어나 이동침대 등의 적절한 운반기구를 이용한다.
(3) 낙상
사고 예방을 위하여 입원시 낙상방지교육이 필요하다. 영아 뒤집기를 시작산지 4개월이후 가장 흔한 사고이며, 어느 연령대나 일어날 수 있다. 침대에서 낙상사고가 자주 일어나는데 아이를 보조 난간이 없는 높은 곳에 두어서는 안된다.
(4) 이물질 흡인 & 질식
기도내 이물질 흡인으로 인한 질식은 1세 이하의 영아에게 치명적인 상태이다. 음식물이나 물체의 크기나 형태와 농도가 치명적인 손상에 결정적인 요소가 될 수 있으며 영아가 손을 사용할 수 있는 순간부터 여러 물체들을 집어 삼킬 수 있으므로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
14. 아동간호 장비 및 기구 사용
1) nebulizer
(1) nebulizer의 구성
마우스 피스 또는 마스크, 약물주입통, 튜브
(2) nebulizer 사용방법
① 기구의 뚜껑을 연다, 전원이 켜져 있는지 확인한다.
② 콘센트에 연결한다.
③ 손을 씻는다.
④ 튜브의 한쪽 끝을 배출구에 연결한다.
⑤ 약물주입통을 연결하고, 약물을 넣고 약물주입통을 닫는다.
⑥ 전원을 켠다.
⑦ 입과 코를 마우스로 씌우고, 천천히, 깊이 숨을 들이 쉬고, 천천히 내뱉도록 한다.
⑧ 5~15분간 흡입하도록 한다.
⑨ 전원을 끈다.
⑩ 소염제를 사용할 경우 드물게, 구강칸디다증이 생길수 있으므로 사용후 구강 내를 물로 헹구어 내며, 마스크를 사용할 경우에는 얼굴도 함께 닦아야 한다.
2) infusion pump
-아동은 심장과 순환계통이 성인보다 작기 때문에 천천히 주입해야 하는데 만약 성인과
동일하게 투여할 경우 심장 과부하를 초래할 수 있음
-Infusion Pump를 사용하여 소량의 약물 투여 시에도 유속을 정확하게 통제하여 속도와
양을 정확하여 주입할 수 있음
infusion pump 목적 :
정확한 용액 투입과 환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간호함을 목적으로 개발된 기계장치
(1) infusion pump 사용방법
① 준비된 수액을 폴대에 걸고, 수액라인을 infusion pump 내관에 팽팽하게 잘 꽂는다.
② 클램프를 위까지 모두 열어둔다.
③ sensor를 chamber를 반절로 이등분했을 경우 수액방울이 떨어지는 윗부분에 꽂는다.
④ 시간당 몇cc로 줄것인지 숫자를 방향키로 맞춘후 start를 누른다.
3) 경피산소측정기
-산소는 head hood, 지속적 기도 내 양압 장치(continuous positlve airway pressure)또는 기관 삽관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청색증, 빈맥, 무호흡 발작 등은 산소 투여의 적응증이기는 하나, 이러한 증상을 없애는 최소 농도의 산소를 투여해야 하며, 고산소증이나 저산소증에 의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는 동맥혈 산소 분압을 계속 암시하며, 투여하는 산소의 농도를 조절하지 않으면 안 된다.
-경피 산소 농도 측정법이나 산소 포화도 측정기(pluse oximetry)는 산소 농도 감시의 효과 를 증가시킨다. 모세혈관 혈액 분석법에 의한 산소 분압 측정은 동맥혈 산소 분압을 잘 반 영하지 못한다.
-미숙아나 중등도의 증상을 가진 신생아에게 산소를 투여할 때 미숙아 망막증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경피산소측정기를 통해 지속적으로 PaO2 농도를 확인할 수 있음
4) 소아용 혈압기
-커프의 넓이는 측정하는 팔의 넓이보다 20% 넓게 한다.
-길이는 측정하는 팔을 충분히 감쌀 수 있게 한다.
-커프의 폭이 너무 좁은 경우에는 혈압이 비정상적으로 높게 측정되고 너무 넓을 경우에는 낮게 측정된다.
※ 참고문헌
1. 아동간호학의 기초 /군자출판사 / 김미예 외
2. 아동의 성장발달과 간호 (군자출판사, 김미예 외)
3. 아동의 건강문제와 간호 (군자출판사, 김미예 외),
소개글